본문 바로가기

정병호기자950

“전두환, 5·18 때 대통령 전용기 타고 광주 왔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보안사령관이었던 전두환이 광주를 방문했다는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 전씨가 광주를 방문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와 맞물려 집단 발포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어떻게 광주를 찾았고 어디를 둘러봤는지 등 구체적 이동 경로와 활동 내역 등을 분석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출범을 계기로 해당 조사가 5·18 핵심 과제인 발포명령자와의 인과 관계를 밝혀 진상규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10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5·18진상조사위)에 따르면 진상조사위는 11일 서울 중구 저동에서 현판식을 갖고 조사위원 전원회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진상조사에 들어간다. 5·18진상조사위는 발포명령자와 암매.. 2020. 5. 11.
40주년 5·18민주화운동 정부기념식이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 열린다 올해로 40주년을 맞는 5·18민주화운동 정부기념식이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 열린다. 기념식이 옛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열리기는 올해가 처음이다. 8일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5·18 유족회,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등에 따르면 국가보훈처가 40주년 5·18 기념식을 옛 전남도청에서 개최키로 하고 기념식 참석자 현황을 파악중이다. 국가보훈처는 이와관련, 조만간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3단체는 보훈처의 도청 앞 광장 기념식 개최 방침에 따라 코로나 19감염 예방 차원에서 단체별로 65세 미만 회원으로 참석 대상자 70명 명단을 보훈처에 전달했다. 기념식 참석자는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막기위한 조처로 대략 400명 규모로 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 올 5·18기념식은 옛 전남.. 2020. 5. 8.
다시 오월…5·18 진실 바로세우는 해로 40주년 맞아 역사왜곡처벌법 조속 제정·진상규명위 본격 가동 시급 다시 오월이다. 올해로 40번째 맞는 5·18은 더 이상 왜곡·폄훼에 흔들리지 않고 한국 민주주의 등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않는 굳건한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당장, 5·18 민주화운동이 40년을 맞았지만 그날의 진상규명은 여전히 미흡하고 5월 정신을 흔들어 왜곡·폄훼하면서 피해자들의 상처를 헤집어놓는 세력들도 여전하다. 올해 초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원회’가 정식으로 출범할 때만 해도, 40년간 미뤄졌던 5월 영령들의 한(恨)이 풀릴 것이라는 기대감도 컸다. 하지만 활동 속도는 지역민들 기대에 못 미칠 정도로 더디기만 하다. ‘코로나19’도 5·18 40주년 기념 행사들을 쪼그라들게해 5월 정신의 전국화를.. 2020. 5. 6.
외출 금지 풀린 시설 아동들 모처럼 웃음꽃 광주·전남 시설 33곳 자체 행사로 어린이날 즐겨 광주·전남 지역 아동양육시설 어린이들이 ‘코로나19’로 시설에 갇힌 듯 지내다 모처럼 어린이날을 맞아 즐거운 한 때를 보냈다.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외출 자제’, ‘외부인 출입 제한’ 지시를 내렸다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면서 보육시설들이 어린이날을 맞아 아이들을 위한 자체 야외 행사를 마련하면서다. 5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전남 33곳(광주10곳 454명·전남23곳 974명)의 아동양육시설이 어린이날을 맞아 다양한 어린이날 행사를 진행했다. 자치단체 주관으로 열리는 어린이날 행사에 참여하던 예년과 달리,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한 자치단체의 행사 자제 방침에 따라 보육시설 위주로.. 2020. 5.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