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18민주화운동197

민형배 의원, “5·18 진상규명 조사위 모든 기록물 광주의 재산” 민형배 의원, “5·18 진상규명 조사위 모든 기록물 광주의 재산”더불어민주당 민형배(광산을) 국회의원은 17일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위원회)위원회 활동 종류 후 별도 절차 없이 5·18민주화운동기록관 및 5·18기념재단에 기록물을 옮길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민 의원은 이날 “위원회의 모든 기록물은 광주의 재산이며, 향후 귀중한 연구 자료다” 면서 이같이 밝혔다.민 의원은 이를 위해 이날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이하 5·18진상규명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개정안도 지난 10일에 이어 다시 한번 광주 국회의원 전원이 공동발의에 참여했다.5·18진상규명법 개정안은 위원회가 수집하거나 생산한 기록물의 이관 제도를 명확하게 정비하는 내용이 담겼다.현행법상.. 2024. 6. 18.
“왜곡된 5·18, 소설로 교정·복원하고 싶었습니다” 최문경 소설가, 5·18대하소설 ‘불어오는 바람’ 9권 펴내30년 집필…80년 당시 광산동 거주 금남로서 봉사 활동처절하고 참혹했던 광주 ‘눈’으로 기억하고 노트에 담아“집필하는 기간만 따지면 꼬박 30년이 세월이 걸렸습니다. 1980년의 체험이 소설로 완료되기까지는 44년이라는 시간이 흘렀구요. 저는 왜곡된 역사를 소설로 교정하고 복원하고 싶었습니다.”70세가 넘은 소설가의 표정에는 감회가 어렸다. 첫 눈에도 가냘프고 왜소해 보이는 체구였지만 특유의 강단이 느껴졌다.최문경 소설가가 5·18 44주년을 기념하는 대하소설 ‘불어오는 바람’(9권, 문예바다)을 펴내 화제다.인터뷰를 위해 만난 최 작가는 “5·18은 당시 신군부가 민주화운동에 나섰던 광주 시민들을 총칼로 학살한 사건”이라며 “저들은 권력을 찬.. 2024. 6. 12.
정호용 등 5·18 가해자들 27년만에 다시 법정 세우나 진상조사위, 시민 7명 살해 추가 확인·주남마을 집단살해 가해자 특정최세창·신우식·최웅 등 12명 내란목적살인·집단살해 혐의 등 고발키로“공소시효 완성되지 않았다” 판단…당시 작전 수행한 병사까지 첫 고발5·18진상조사위가 적용한 혐의▲정호용·최세창·신우식·최웅 → 내란목적살인▲ 11공수여단 계엄군 9명→ 집단살해·살인교사 등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가 정호용 전 특전사령관 등 5·18 당시 투입된 계엄군 등을 고발하기로 했다.이에 따라 1997년 대법원의 전두환씨 등 신군부에 대한 12·12 군사반란 및 5·18 내란목적살인죄 재판 이후 27년만에 5·18 가해자들을 법정에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5·18 당시 투입돼 직접 작전을 수행한 병사까지 고발 대상에 오른 것.. 2024. 6. 3.
가해자 진술 무검증 인용…‘오류의 역사화’ 걱정된다 5·18 진상보고서 이대론 안 된다 왜곡 불씨 안고 있는 보고서무기고 피탈 시점 등 부실 조사시민군 선제 무장설 등 왜곡 우려조사 결과, 법원 판결보다 퇴보광주 시민들 “우려가 현실로” 탄식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의 개별 조사 보고서가 공개되자 광주시민들 사이에서는 “우려가 현실이 됐다”는 탄식이 나왔다.계엄군은 물론 광주시민도 책임이 있다는 ‘양시양비론’(兩是兩非論)을 기저에 둔 증언과 조사 내용들을 수록하면서 오히려 계엄군의 ‘자위권 발동’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등 왜곡의 불씨가 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이에 따라 광주시민사회와 오월단체 등은 보고서 폐기 등을 주장하며 “오류의 역사화를 경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대표적으로 진상조사위는 5·18 당시 금남로 발포경위에 대한.. 2024. 5.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