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병호기자950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노동자 10명 중 3명 산재 신청 소극적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노동자 10명 중 3명 이상(38.7%)이 산재 신청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일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관련 안전보건 실태를 조사한 ‘2021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안전보건진단결과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38.7%(82명)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으로 4일 이상의 병원 요양 치료가 필요하지만 산재 신청을 않고 공상(보상금 종결)이나 개인 치료로 대체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보고서는 노무법인 ‘사람과 산재’가 삼성노조의 의뢰를 받아 삼성전자 광주공장 노동자 2600여 명 중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노동자 설문과 조합 간부 집단 심층 면담 등으로 이뤄졌다. 또 10명중 8명(84.9%)은 인사상 불이익.. 2021. 3. 15.
상견례·영유아 동반 8인까지, 비수도권 유흥시설 제한 해제 28일까지 2주간 현행 제제 유지 5인 사적 모임금지 예외 적용 비수도권 유흥시설 제한 해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가 28일까지 2주간 연장된다. 5인 인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도 2주간 유지되지만 직계가족 모임, 결혼식 상견례, 영유아가 있는 경우 8인까지 모임이 허용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2일 정례 브리핑은 통해 “4차 유행 방지 및 백신 접종의 차질 없는 진행을 위해서라도 현 방역 대응 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수도권 유행 차단을 위한 위험요인에 대한 방역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거리두기 조정방안을 발표했다. 수도권에서는 2단계 유지에 따라 결혼식·장례식 등 행사 인원이 지금처럼 100명 미만으로 제한된다. 비수도권은 원칙적으로 500명 미만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 2021. 3. 12.
불안한 한빛원전 폐로 촉구 등 탈핵 목소리 높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10주년…광주·전남 탈핵 움직임 주목 환경단체 “일본 지금도 방사능 배출…더 이상 핵발전 용납해선 안돼” 영광군, 한빛 1·2호기 폐쇄 앞두고 신재생에너지 등 대책 마련 고심 후쿠시마 원전사고(2011년 3월 11월) 10주기를 계기로 환경단체들을 중심으로 탈핵 촉구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에서 한빛원전의 폐로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6개의 원자로 가운데 3기의 가동 중단 로드맵이 나온데다, 한빛원전이 위치한 영광군도 폐로로 인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등 탈핵을 준비하는 움직임도 구체화되면서 지역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빛원전 1·3·4호기 폐쇄…적극적인 탈핵 정책을”=‘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과 ‘한빛핵발전소1·3·4호기 폐쇄를 위한 광주비상회의’ 등 탈핵단체는 11.. 2021. 3. 11.
산정지구, 추석 이후부터 개발 소문…맹지·지분 쪼개기 거래 급증 국토부 신규 공공택지 대상지 ‘산정지구’ 가 보니 지난해 10월 이후 토지거래 급증 정보 사전 유출 의혹 놀고 있던 토지 갑자기 성토·과실수 묘목 빽빽아 심어져 일부 주민들 “쫓겨나는 것 아니냐”…마을 분위기 뒤숭숭 정부가 신규 공공택지 지구로 발표한 광주시 광산구 산정지구 일대에서도 부동산 투기를 의심할만한 다수의 매매 거래 사실이 확인됐다. 신규 택지 조성지구로 발표되기 전,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으며 도로 연결이 안 된 ‘맹지’(盲地·도로와 인접하지 않은 토지)에 대한 수십여 건의 토지 매매와 ‘지분 쪼개기’ 가 이뤄진 사실이 드러나면서 개발 정보 유출 의혹이 커지고 있다. 광주경찰청도 산정지구 일대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한 수사를 검토하고 나서는 등 사태가 확산하는 모양새다. ◇쓸모없는 개발제한구.. 2021. 3.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