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동참사19

화정 아이파크 붕괴 공사중인 아파트 와르르…하청업체 작업자 6명 사망 [사건사고로 되돌아 본 광주·전남 2022] 학동 참사 7개월만에 큰 충격 빨리빨리 공사·불량 콘크리트 부실 관리 맞물려 발생한 ‘인재’ 안전 법 개정 등 후속 조치 미흡 코로나19 공포가 사그러진 2022년에도 광주·전남에서는 사건·사고가 끊이질 않았다. 건설중이던 아파트가 무너져 6명의 작업자가 목숨을 잃었고, 사회적 고립을 버티지 못한 일가족이 삶을 등지는가 하면 이태원 핼러윈 축제를 찾은 지역 젊은이들이 꿈을 피우지도 못하고 숨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고등학생이 교사의 컴퓨터를 해킹해 시험지를 유출하는가 하면 교사들은 시험문제를 베껴 출제하는 등 대학입시 경쟁의 부작용을 보여주는 사건도 불거졌다. 하지만 어두운 일만 있었던 것은 아니였다. 암매장된 유골에서 5·18 행불자 가족의 유전자가 발견돼 난.. 2022. 12. 20.
‘학동 참사’ 1년 5개월 만에 철거 공사 재개 현대산업개발, 건물 102채 내년 3월까지 완료 예정 17명의 사상자를 낸 학동 붕괴사고 이후 1년 5개월만인 7일 오전 9시 30분께 광주시 동구 학동의 철거 현장에는 신중한 분위기가 맴돌았다, 기왓장을 얹은 낡은 1층짜리 목조 주택 앞에선 30t짜리 포크레인이 참사 이후 처음으로 철거 공사를 재개했기 때문이다. 집게발 모양의 굴삭기 팔로 빗자루질 하듯 기왓장을 걷어내고 나무 기둥 하나하나를 차근차근 뜯어냈다. 1시간에 걸쳐 벽체 한 쪽을 겨우 철거한 뒤에야 작업자들은 땀을 닦으며 숨을 돌릴 수 있었다. 광주시 동구 학동 4구역 재개발구역 철거 공사가 전면 중지된 이후 520여일만에 재개됐지만, 아파트 공사가 시작될 때까지 넘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철거를 해야 할 건물 10.. 2022. 11. 8.
‘학동 참사’ 500여일만에 수사 마무리, 불법 다단계 하도급 복마전 드러나 붕괴 책임·비리 연루 등 35명 송치 광주경찰, 9명 구속·26명 불구속 현대산업개발 현장소장 등 집유 브로커 도피 등 수사력 허점도 “깃털만 건드렸다” 수사·판결 지적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시 학동4구역 재개발사업지 철거건물 붕괴참사에 대한 경찰 수사가 500여 일 만에 마무리 됐다. 경찰은 참사 발생에 직접적인 책임자와 재개발사업 비리 관련자들 총 36명을 입건해 35명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넘겼다. 원청인 HDC현대산업개발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까지 진행해 수사결과를 검찰에 넘겼지만, 1심 재판에서 원청인 현대산업개발의 형량이 가벼웠다는 점에서 수사가 아쉬웠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광주경찰청은 27일 ‘광주학동 재개발구역 철거건물 붕괴사고 수사결과’ 보도자료를 내고 학동참사 수사를 마무리지었다고.. 2022. 10. 28.
“더 이상 화정·학동 참사 안된다” 광주시, 부실공사 척결 원년 선언 이용섭시장, 부실공사 종합대책 발표 3∼4월, 1억 이상 공사현장 점검 현장 감리제도 공공성 대폭 강화 광주시가 올해를 부실 공사 척결 원년으로 선언하고, 공사 현장의 불법 관행을 뿌리 뽑기로 했다. 특히 대부분의 부실공사가 현장 감리 부실이 주원인이라는 지적에 따라 감리제도의 공공성을 대폭 강화하고, 부실감리에 대해선 엄격하게 처벌하기로 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24일 온라인 회견을 열고 “부실 공사를 척결해 사고 없는 안전광주를 실현하겠다”며 부실 공사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광주시는 학동 참사에이은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 이후 시와 자치구, 국토안전관리원, 전문가 등으로 전담팀을 구성하고 부실 공사 대책을 준비해왔다. 우선 부실 공사 예방 제도·정책을 총괄 기획하고 현장 점검을 전담할 ‘부실 공사 .. 2022. 2.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