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기자105 “하객 50명으로 줄였는데 환불 왜 안되나요” 광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 예약인원 줄여주지 않은 예식장 ‘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면서 예비 신혼부부들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 광주시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해 실내 50인·실외 100인 이상 모임과 집회를 금지하면서 결혼식 하객을 50명 이내로만 불러야 하는데도, 예식장측은 기존 계약에 맞춰 비용을 환불해주지 않고 있어서다. 광주시 홈페이지와 청와대 국민청원 계시판에는 관련 신혼부부들의 불만이 줄을 잇고 있지만 민간 업체와의 계약으로 해결할 수 없어 광주시도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6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가 코로나19 방역 대응 체계를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로 격상한 2일, 결혼을 앞두고 예식장 예약을 했던 신혼부부들의 불만 섞인 민원 전화 수백통이 쏟아졌다. 한 예비신부는 “.. 2020. 7. 7. “얼마나 더 나올는지…” 집 밖 공포에 광주 도심 썰렁 [코로나19 확산 비상] 확진자 다녀간 곳 줄줄이 폐쇄 동선 파악 지연 등 곳곳 불만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공포·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광주시가 감염 위험시설로 꼽아 점검·관리하는 교회의 느슨한 방역 대책으로 확진자가 쏟아지는가 하면, 확진자가 다녀간 주요 시설의 줄폐쇄에도 이동 경로조차 제 때 알려지지 못하면서 감염을 우려한 시민들의 외출 기피 현상도 뚜렷해져 도심 곳곳이 썰렁했다. 특히 고작 8일(6월 27일~7월 5일) 만에 77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데다, 감염경로·이동 경로가 뚜렷하지 않다보니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잠시 광주를 벗어나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8일 만에 공포가 된 코로나…텅 빈 도심=불안한 시민들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 2020. 7. 6. 노동권 보장 못한 근로기준법, 차별 부추기는 외국인고용법 [광주·전남 외국인노동자 5만명 우리의 ‘이웃’ 맞습니까] 제도·관련법 정비 시급 외국인 근로자들의 열악한 근로환경과 사회적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노동자를 도외시한 채 사업자 위주로 운영되는 각종 제도와 관련법을 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가보다는 갖은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외국인 노동자에게 지불할 임금을 줄이고, 법망을 이용해 노동을 착취하려는 사업주들의 의식 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외국인 근로자의 기본적인 권리 보장을 위해서는 내국인과의 차별 조항이나 가혹행위를 하거나 관련법을 어긴 사업자 등에 대한 처벌 규정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망칠 수밖에 없는’ 근로기준법·외국인고용법=이주노동자 인권운동가들과 노동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기준법과 외국인고용법은 외국인 근.. 2020. 7. 5. 풀어진 방역의식…거리두기 방심 땐 급속 확산 못 막는다 광주 고위험시설들 출입명부 작성하지 않고 손소독제도 없어 방판업체·예식장 등 다닥다닥 붙어앉아 강의·식사 ‘감염 위험’ 청정 지역 홍보하며 관광 계획 등 지자체 잘못된 시그널도 한몫 광주 곳곳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 27일부터 2일 오후까지 6일 만에 49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지역사회 대규모 확산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다. 전국 최초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되는가 하면,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도 “광주지역 확산세가 심각하다”며 경고하고 나섰다. 확진자가 급증하는데도, 감염 경로조차 제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 도심을 돌아다니기 무섭다는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방역 모범 지자체’라는 말이 무색할 지경이다. 무엇이 문제였고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방역 관계자들이나 감염.. 2020. 7. 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