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민석 기자77

“방사성 물질 200개 중 62개 걸러내 안전?” 지역민 분노 일본 오염수 방출 결정에 광주·전남 지역사회 ‘방사능 공포’ 오염수 125만t 정화 역사상 전례 없어 불신…전남 유입 땐 치명타 환경단체·어민들 “바다가 만능 폐기물 처리장이냐” 즉각 철회 촉구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원전 사고 때 발생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키로 결정하면서 광주·전남 지역민들의 공포와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역민들의 한빛원전 부실 운영으로 인한 불신이 커져 있는데다,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와 인근 해역의 세슘·스트론튬·삼중수소 등 방사성 농도와 관련된 정보도 일본이 발표한 데이터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염수 정화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다. 광주·전남지역 26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 등 지역 탈핵·환경단체는 14일 광주시 동구 5·1.. 2021. 4. 15.
“실내 마스크 의무화... 현실성 부족” vs “반드시 지켜야” [모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첫날 표정] 취지는 공감하지만 불편…카페 등 곳곳 ‘턱스크’ 여전 미착용 땐 과태료 부과…실제 단속까지 이어질지 의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재개 “음료를 마시느라 고작 몇 초 착용하지 않았는데, 종업원이 자꾸 마스크를 쓰라고 하니까 오래 앉아 있기 어렵네요.” 12일 정오께 광주시 서구 한 커피숍을 찾은 직장인 윤상은(30)씨는 커피숍을 이용하는 1시간 동안 종업원과 연신 눈치 싸움을 벌였다. 음료를 마시면서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는 사이 고작 2~3초 가량 마스크 착용에 소홀했는데 종업원이 찾아와 마스크 착용을 지적하면서다. 오씨는 “오늘부터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다는 걸 알고있어 음료 마실 때를 제외하곤 마스크 착용에 신경을 쓰고 있는데, 종업원이 계속 매장.. 2021. 4. 13.
광주시 공직자 부동산 투기 사실로 드러나나 경찰, 시청·서구청 등 6곳 압수수색···개발정보 이용 시세차익 정황 확보 광주시 전·현직 공직자들에 대한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중인 광주 경찰이 개발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고 땅을 매입한 전직 공무원의 투기 혐의를 확인하기 위해 행정기관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특히 광주시 감사위원회가 공직자 투기 의혹을 조사한 뒤 ‘투기 정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한 뒤 나온 이뤄진 경찰의 압수수색이라는 점에서 광주시 감사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비판도 나온다. 광주경찰청 반부패범죄수사대는 8일 광주시청과 종합건설본부, 서구청, 광산구청 등 행정기관 4곳과 전직 공무원의 자택 등 개인 주거지 2곳에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경찰은 전직 공무원인 A씨가 광주시의 도로 개발 계획과 관련된.. 2021. 4. 9.
“아들딸 넋 달래야 하는데…” 세월호 7주기 선상 추모식 앞두고 애타는 유족들 코로나에 함정 승선 인원 제한 함정필수요원 제외하면 51석 뿐 해상경계 위해 2정 투입 불가능 모든 유가족 참여하기 어려울 듯 “그리운 우리 애 올핸 못 보나” 한숨 “올해는 유가족들 모두가 참사 해역을 둘러볼 수 없어요. 봄이 오면 많이 보고 싶은데….” 2014년 4월 16일, 수학여행을 간다며 나간 아이들이 깊은 바다 속에 갇혀 돌아오지 못한 지 벌써 7년이 됐다. 매년 이맘때 아이들을 데려간 야속한 바다를 찾아 “미안하다”, “보고싶다”며 인사도 없이 떠나간 가족들을 목놓아 부르는 것도 올해는 어렵게 됐다. 해경이 유가족들에게 함정 한 대만 지원하는 상황에서 코로나로 승선 인원을 대폭 줄였기 때문이다. 특히 검찰 세월호참사특별수사단이 지난 1월 내놓은 수사 결과도 대부분 무혐의로 결론난데다, 선상.. 2021. 4.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