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36 한전, 신사업 해상풍력으로 재무구조 개선 나선다 전북 서남권~제주 풍력·수도권~해남 송전망 구축 등 진행 자회사와 SPC 설립 자금 출자…재무 위기 탈출구 마련 한국전력공사(한전)가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 사업 등 신사업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에 나선다. 한전은 전북 서남권부터 전남, 제주를 거치는 해상풍력 발전 사업과 ‘서해안 HVDC(초고압직류송전) 건설사업’을 통한 수도권부터 해남을 잇는 송전망 구축 등 신사업들을 벌이고 있다. 이를 통해 총 부채만 200조에 달하는 한전이 재무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23일 한전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해 10월 ‘한전 신안(KSA-1) 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이 사업은 서해안 풍력 발전 사업의 일환으로 전북 부안군 해역부터 신안군 임자도 해역, 제주시 한림읍 인.. 2024. 1. 24. 한전, 누적 역마진 해소…4분기 흑자 기대 지난 10월 누적 전력 판매·구입단가 차이 1㎾h 당 0.8원 흑자 전환 국제 에너지 가격 하향 안정세 영향…SMP 감소에 재정부담도 덜어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가 전력 판매단가보다 구입단가가 비싸 발생했던 ‘역마진’ 구조를 해소했다. 한전은 지난 5월부터 전력 판매단가가 구입단가를 넘어서면서 그 동안 쌓여왔던 손해를 털고 지난 10월부터 흑자로 돌아섰다. 약 45.5조에 달하는 한전의 누적적자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던 역마진 구조가 해소됨에 따라 재무구조 개선의 밑바탕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한전이 발표한 ‘10월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 10월 한전의 전력 판매·구입단가의 차이는 1㎾h(킬로와트시)당 16.3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까지 전력 판매·구입단가 차이는 음수(-)로 전.. 2023. 12. 20. ‘빚더미 한전’ 설비 투자 감소에 ‘정전 쇼크’ 불안 커진다 정전 2018년 506건서 5년새 2배 가까이 증가…올 1000건 넘을 듯 지난해 대규모 적자에 송배전 설비투자 전년 대비 37472억원 감소 호당 정전시간 2018년부터 증가세…피해복구 시간도 점차 늘어나 #1. 지난 11일 오후 3시50분께 광주시 서구 쌍촌동과 광천동, 유촌동 일대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이 사고로 상가와 빌라 등 155여 세대에 전력 공급이 중단됐다. 한국전력은 정전이 발생하자 자체시스템을 통해 해당 세대에 단전 사실을 알리는 내용의 안내문자를 발송했지만, 시민 불편은 이어졌다. 한전은 이날 정전의 원인을 지상변압기 고장을 추정하고 변압기를 교체해 사고 발생 4시간 여 후에야 복구 작업을 완료했다. #2. 무더위로 열대야 현상이 이어지던 지난 8월 7일 새벽 4시20분께 광주시 서구.. 2023. 12. 13. ‘돈줄’ 막혀…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정산도 늦춘 한전 의무이행기관·민간발전사 등에 정산 연기 요청 공문 발송 치솟는 REC 가격에 부담 증가…의무 공급비율 13%로 하향 재정난에 빠진 한국전력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에 따라 발전기업이 생산한 REC를 구입해야 하는데, 약 200조원 가까운 부채로 재정난에 빠지면서정산 지연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5일 한전 등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 9월 RPS 의무이행기관 25곳과 민간발전사 등에 REC 정산을 미뤄달라는 내용의 협조 공문을 보냈다. RPS란 정부가 신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로, 주로 발전사업자에게 부여된다. RPS 의무를 지닌 발전사업자는 신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건설해 공급 의무비율을.. 2023. 12. 6. 이전 1 2 3 4 5 ···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