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15일 광주서 ‘상생발전 토론회’
올 4월 ‘기업지원 통합플랫폼’ 구축
공동 인증브랜드 ‘GEP’ 15개사 첫 선정
스마트 물류센터 국책사업 반영 추진
16개 대학과 ‘산학연 파트너십’ 구축도
유치기업 500개를 돌파하며 ‘2단계 질적성장’에 들어간 나주 에너지밸리가 올해 본격적인 활성화 대책을 추진한다.
오는 4월에는 ‘에너지밸리 기업지원 통합플랫폼’이 구축되며 한전과 지자체가 인증하는 ‘공동 브랜드 GEP’가 첫 지정된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전력이 15일 광주에서 여는 ‘에너지밸리 상생발전 토론회’ 발표자료 ‘에너지밸리 질적성장을 위한 활성화 대책’에 담겼다.
한전은 지난 2015년 11개사를 시작으로 나주 혁신도시와 광주·전남 인근 산단을 에너지밸리로 묶어 차세대 전력산업에 특화된 기업·연구소를 유치하고 있다. 지난 2020년에는 양적 성장을 위한 1단계 목표인 기업 500개사를 달성했다. 이달 현재 556개의 기업과 투자협약을 체결했으며, 누적 투자금액 2조6771억원·고용 창출 1만2409명 등 경제효과를 봤다.
지난해부터는 많은 기업이 실제 투자실행을 할 수 있도록 ‘2단계 질적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30년까지 유치기업 목표는 1000개사이다.
현재 53%(556개사 중 297개사)에 그친 투자실행률은 60%(1000개사 중 600개사)로 높인다.
이날 토론회에서 한전 상생발전처 에너지밸리추진실은 ‘공동 물류센터 구축’ ‘산학협력 기반 구축’ 등으로 구성된 에너지밸리 질적성장을 위한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다.
한전은 오는 2030년까지 누적 1000개사를 유치하고 기업매출 2조원을 달성하기 위해 4대 분야 12개 전략과제를 선정했다.
이들 과제에는 ▲에너지밸리 실무위원회 정기 개최 ▲탄소중립 특화분야 기업 연합(풀) 구축 ▲해외사업 진출지원 ▲기업 수요 반영 위한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 ▲전력기자재 발주 정확도 제고 등이 담겼다.
올해 눈에 띄는 질적성장 대책은 ‘에너지밸리 기업지원 통합플랫폼 구축’과 ‘우수제품 공동 브랜드화’가 있다.
우선 한전은 지난달부터 추진한 기업지원 통합플랫폼을 오는 4월까지 구축할 방침이다.
이 플랫폼은 입주기업들의 매출액과 업력, 기술 수준에 따라 16개 특성에 맞는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을 펼친다.
입찰정보와 관련 전시회, 공동 연구과제, 시험·실증·인증설비 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제품을 홍보하거나 기업 애로사항을 등록할 수 있다.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우수 제품을 생산한 기업들에게는 한전과 광주시·전남도·나주시가 공동 인증하는 공동 브랜드 ‘GEP’(Guaranteed Energy Valley Product)가 주어진다.
유효기간은 3년(갱신 가능)으로, 매년 상반기 1회 평가를 거쳐 선정한다. 올해 첫 15개 기업이 뽑힐 예정이다.
공동 브랜드 사용권을 얻은 기업들은 연구개발(R&D)과 해외규격 인증비용을 지원받고, 수출금융 지원에서도 우대받을 수 있다.
한전은 공동 브랜드 사업을 위한 운영기준을 확정하고 다음달 지자체와 협의체를 구성한 뒤 오는 4월께 공모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전은 앞으로 지자체·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해 스마트 물류센터를 국책사업에 반영토록 할 계획이다.
본보기로 삼은 공동 물류센터는 ‘경기 반월·시화 스마트 물류플랫폼’과 ‘인천 남동산단’ ‘부산 녹산산단 조선기자재 공동 물류센터’ 등이 있다.
물류 보관은 물론 부품 조달, 공동 배송, 재고 관리 등 생산·유통 통합 관리를 통해 산업단지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또 생산시설이 없는 창업기업과 에너지밸리 제조기업들이 한국산업단지공단의 ‘스마트 K-팩토리 공유시스템’을 활용해 수요-공급 협력 관계를 맺도록 할 계획이다.
다음달에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를 필두로 16개 대학 산학협력단과 에너지밸리 투자기업 290여 개가 협력관계를 맺는 ‘산·학·연·관 협력 파트너십’이 구축된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한전과 나주혁신산단 입주기업협의회, 목포대·동신대, 광주테크노파크·전남테크노파크, 광주시·전남도 등 10여 명이 참여해 투자 활성화와 인력양성 방안을 논의한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좁은 채용문…빛가람 ‘고용 한파’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신규 채용이 2년 새 35% 감소하며 취업문이 좁혀진 반면, 비상임 이사는 2년 연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 자료를 보면 지난
kwangju.co.kr
“중대재해법 1호 안돼” 대거 휴업에도…끊이지않는 재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기업들 간 ‘1호가 되지 말자’는 분위기가 확산, 대거 휴업에 들어가는 등 긴장 상태에서도 중대재해가 잇따르고 있다. 정부가 법 시행을 앞두고 중대재해처벌법
kwangju.co.kr
'백희준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복합쇼핑몰 유치 망언 즉각 사과하라” 광주 단체 잇단 반발 (0) | 2022.02.17 |
---|---|
광주·전남 기술창업 코로나 이전 회복 못해 (0) | 2022.02.16 |
지난해 광주·전남 전력 판매 3년 만에 반등…산업용 10%↑ (0) | 2022.02.14 |
여당 의원들 “쌀 시장격리 취지 벗어나…추가 매입 추진해야” (0) | 2022.02.13 |
광주·전남 당근마켓 검색어 1위 ‘자전거’…골프·스타벅스 상위권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