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희준기자

여당 의원들 “쌀 시장격리 취지 벗어나…추가 매입 추진해야”

by 광주일보 2022. 2. 13.
728x90
반응형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이 쌀 시장격리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정부 추가 매입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국회 농해수위 소속 이개호, 위성곤, 김승남, 맹성규, 서삼석, 어기구, 최인호, 윤재갑, 이원택, 주철현 의원은 지난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입장문을 발표했다.

지난 8일 치러진 시장격리 쌀 입찰에서 평균 낙찰가는 6만3763원(40㎏ 조곡)으로, 농가가 희망하는 6만8000~6만9000원에 턱없이 못 미쳤다.

입장문을 낸 농해수위 의원들은 “2021년산 쌀 과잉생산물량 20만t 시장격리 낙찰 결과에 대한 농민단체의 반발이 거세다”며 “정부의 쌀 시장격리와 관련한 문제점들을 지적한다”고 말했다.

입장문에서 “27만t에 달하는 초과 생산량 통계가 지난해 11월 발표됐음에도 연말에서야 시장격리를 확정하며 양곡관리법 개정에 대한 농가 신뢰를 저버렸다”며 “물가관리 차원에서 쌀 가격을 떨어뜨리려는 기획재정부 입장은 정부의 쌀정책에 대한 농민들의 의구심을 높이게 됐다”고 지적했다.

또 “경쟁입찰 과정에서 예가(기준가격) 공개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예가를 너무 낮게 잡았다는 비판은 면하기 어렵다”며 “시장격리는 미곡종합처리장(RPC) 등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격리에 따른 시장가격안정 효과는 쌀농가를 포함하여 전체 쌀생산업계가 볼 수 있도록 세심히 설계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쌀 시장격리 취지에 맞게 양곡관리법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이번에 유찰된 5만5000t과 과잉 생산물량 7만t에 대한 시장격리도 적정가격으로 추진해야한다고 촉구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깜깜이 최저가 낙찰제, 쌀값 하락 부추긴다”

6년 만에 치러진 시장격리 쌀 입찰에서 평균 낙찰가는 6만3763원(40㎏ 조곡)으로, 농가가 희망하는 6만8000~6만9000원에 턱없이 못 미쳤다. 정부가 예정 입찰가(기준 가격) 비공개 원칙을 내건 탓에 농

kwangju.co.kr

 

광주·전남 당근마켓 검색어 1위 ‘자전거’…골프·스타벅스 상위권

광주 전역과 전남 3개 도시 주민들이 최근 2년 동안 가장 많이 검색한 중고물품은 ‘자전거’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첫해인 지난 2020년 광주시민들은 자전거에 이어 ‘마스크’를 많이 검색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