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희준기자

광주·전남 물가 넉 달째 3%대 상승

by 광주일보 2022. 2. 6.
728x90
반응형

체감물가 4%대↑…석유류 17%대
국제 유가 상승 반영 오름세 지속
외식물가 상승률 연말 5%대 진입

 

지난달 지역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달보다 광주 3.4%·전남 3.8% 올랐다. 광주 한 대형마트 축산물 매장.

연초에도 광주·전남 고물가가 잡히지 못하고 넉 달 연속 3% 상승률을 이어갔다.

정부가 지난 연말 20%에 달하는 유류세 인하율을 내걸었지만 국제유가 상승분이 반영되면서 휘발유 가격도 3주 연속 상승 추세이다.

6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지역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달보다 광주 3.4%·전남 3.8% 올랐다.

광주·전남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나타낸 건 지난 2012년(광주 3.3%·전남 3.4%)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광주·전남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2.5%)을 끝으로 넉 달 연속 3~4%대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품목과 기본생필품 144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한 생활물가, 즉 체감물가 상승률은 광주 4.1%·전남 4.3%로, 전국 평균(4.1%)을 웃돌기도 했다.

<자료:호남지방통계청>

광주·전남 지역은 공업제품이 전국 평균보다 상승률이 더 높았다.

전국 공업제품 물가 상승률이 4.2%인 반면, 광주와 전남은 각각 4.3%, 4.9%이었다.

공업제품 가운데 광주·전남 지역이 유독 높은 상승률을 보인 품목은 석유류였다.

지난달 광주·전남 석유류 상승률은 각각 17.2%, 전남 17.9%로, 전국 평균(16.4%)을 웃돌았다.

자동차용LPG 가격이 전국적으로 34.5% 오를 때 광주는 39.5% 치솟았고, 등유 가격은 전국 25.7% 오를 때 전남은 29.0% 급등했다.

휘발유 값 상승률도 광주 13.9%·전남 13.3%로, 전국 평균(12.8%)을 웃돌았다.

<자료:호남지방통계청>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지난해 11월12일부터 유류세 20% 인하를 단행해왔지만 기름 값은 2~3주 전부터 반등했다.

유류세 인하 종료는 오는 4월30일까지다. 단 국제 유가가 안정되면 인하 조치는 조기 종료하기로 했다.

주간 ℓ당 평균 보통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11월 둘째 주 광주 1797.39원·전남 1795.61원까지 치솟았다가 유류세 인하 이후 내림세를 지속했다. 하지만 지난달 셋째 주부터 휘발유 가격이 반등하면서 이달 첫째 주 평균 가격은 광주 1651.37원·전남 1665.29원으로 올랐다.

당국은 2월에도 국제 유가 상승영향으로 소비자물가가 오를 요인이 강하다고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4일 ‘1월 소비자물가 동향’ 참고자료를 발표하며 “명절수요가 끝났지만 국제 유가 상승영향이 반영되고 개인서비스와 공업제품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상방요인이 강하다”며 “국내 오미크론 변이양상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미치는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새해 들어 유명 프랜차이즈와 식품 제조기업이 커피와 햄버거, 빵, 양념장, 냉동만두 등 가격 인상을 단행한 가운데 광주 외식물가는 8개월 연속, 전남은 18개월 연속 전달비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지역 외식물가는 전년 같은 달보다 광주 5.2%·전남 4.5% 상승했다.

광주에서는 떡볶이 가격이 지난해보다 14.1% 상승했고, 전남은 설렁탕 값이 8.7% 올랐다.

갈비탕 값은 광주 13.9%·전남 13.4% 인상됐고, 삼겹살 가격은 광주 6.5%·전남 7.3% 올랐다.

김밥 가격도 광주서 10.9%, 전남서 2.5% 상승하고, 치킨 값은 광주 4.8%·전남 4.1% 인상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지역 벤처투자 살린다…호남 50억 규모 ‘엔젤허브펀드’ 조성

매년 ‘0%대’ 비중에 그치는 광주·전남 벤처투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정부가 올해 호남권에 50억원 규모 ‘지역 엔젤허브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광주·전남 두 지역 모두 벤처투자 비중이

kwangju.co.kr

 

 

지난해 전남 어업생산량 2.5%↑ 192만t…전국 절반

지난해 전남지역 어업 생산량이 전년보다 2.5% 증가한 192만t을 기록했다. 전남 어업 생산량은 전국의 절반이 넘지만 어업 생산금액(매출)은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6일 통계청 ‘어업생산동향조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