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구조조정 여파가 여성에 몰려 광주지역 여성 실업급여 수급자 증가폭은 남성의 2배에 달했다.
이 같은 내용은 광주여성가족재단이 최근 발표한 ‘코로나19 시기 광주지역 성별 인구·고용동향’ 창간호에 담겼다.
광주여성가족재단은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국내에 확산한 1월부터 지난 5월까지 성별 실업·인구현황을 분석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1~5월 광주지역 여성 실업급여 수급자는 4만617명으로, 남성(3만6880명)에 비해 3737명 더 많았다.
올 들어 여성 실업급여 수급자는 2월을 제외하고 매달 남성 수급자보다 많았다. 1월 6477명을 시작으로 2월 6895명, 3월 8433명, 4월 9279명, 5월 9533명 등 매달 늘고 있는 추세다.
1월과 비교해 5월 수급자 증가폭은 여성 47.2%(3056명)으로, 남성 증가폭 24.7%(1583명)의 2배에 달했다.
5월 기준 여성 수급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20대에서 60대까지 고르게 분포했다.
50대 수급자가 23.1% 비중을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40대(22.2%), 20대(20.8%), 30대(19%), 60대(14.5%), 70세 이상(0.3%), 10대(0.2%)가 뒤를 이었다.
남성의 경우 수급자는 60대(25.1%), 50대(23%), 30대(17.3%), 40대(16.9%) 순으로 많았다.
지난 1~5월 여성 수급자는 20대에서 50대까지 모든 연령에서 증가한 반면, 남성은 50대 이상에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고용한파가 여성에 집중된 데는 고용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직종과 직위를 가지고 있음에 원인을 둔다.
5월 기준 성별로 실업급여 수급자가 가장 많이 나온 산업은 여성의 경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870명), 남성은 ‘제조업’(1749명)이었다.
지난 1월에 대비해 여성 수급자 증가폭이 가장 높았던 산업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었다.
고용보험 상실 사유를 살펴보면 여성이 구조조정 감원 대상에 우선적으로 꼽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이 ‘경영상 필요 및 회사불황으로 인원감축 등에 의한 퇴사’, 즉 구조조정으로 직장을 그만 둔 비중은 지난 1월 6.1%, 2월 9.2%에서 지난 3월 15.2%로 급증했다. 구조조정으로 퇴사한 비중은 4월(14.5%)과 5월(13.9%)에도 10% 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3월 여성의 구조조정 퇴사가 급증한 반면 남성의 구조조정 퇴사 비중은 9.4%에 그쳤다.
광주지역 여성 직장인들은 대체로 코로나19 영향으로 육아휴직을 택하는 대신 육아기 단축근로를 택했다.
5월 광주 여성 육아휴직 사용자는 1410명으로, 1월(1400명)에 비해 0.7% 증가했다. 이는 전국 증가율(4%)의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광주 여성 육아휴직 사용자는 전국(6만8601명)의 2.1%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남성을 포함한 광주지역 육아휴직 사용자 수(1657명)는 8대 특·광역시 중 세종(502명)과 울산(1534명)에 이어 세 번째로 낮다.
광주지역 여성 육아휴직자가 0.7%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남성 휴직자는 5월 기준 247명으로, 1월 대비 16%나 증가했다.
여성 육아휴직이 제자리걸음에 그친 대신 여성 직장인들은 육아기 단축근로제를 선택했다. 이는 육아휴직보다 육아기 단축근로 사용이 상대적으로 쉽고 급여가 보장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 5월 광주지역 육아기 단축근로를 선택한 여성은 120명으로, 1월(48명)에 비해 150% 급증했다. 남성 단축근로 사용자는 1월과 같은 5명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8대 특·광역시 가운데 서울(66.4%)과 대전(124.7%) 등을 제치고 육아기 단축근로 사용자 증가율이 가장 높은 도시로 조사됐다.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광주지역 혼인과 출생 건수도 줄어들었다.
광주지역 1~5월 혼인건수는 2444건으로, 1년 전보다 9.4% 감소했다. 출생아 수를 예측할 수 있는 ‘임산부 국민행복카드’ 광주 신청 건수는 382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17.1% 줄어 들었다.
김영신 광주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구조조정 대상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우선 대상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구조조정이나 계약만료 여성 실업자에 대한 재취업 지원을 위해 퇴사 원인과 배경을 파악해 문제해결에 나서야 하며 일·생활 균형 제고 등에 대한 방안 모색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백희준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리빙랩 전문 퍼실리테이터 양성과정 참가자 모집 (0) | 2020.08.20 |
---|---|
와인에 빠진 ‘홈술족’…피서철 맥주 아성 무너져 (0) | 2020.08.20 |
긴~ 장마에 채소값 급등 … “장보기 겁나요” (0) | 2020.08.19 |
‘위드 코로나’ 시대…유통가, 하객 답례품·면역력 강화에 집중 (0) | 2020.08.18 |
한전, 2분기 영업이익 3898억원 … 2개 분기 연속 흑자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