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남여행44

“잘 곳 마땅치 않아” 낮에만 머무는 전남 관광 전남 숙박여행 소비액 2년 새 37.1% 급감 숙박시설 많지만 영세하고 동부권에 몰려 5성급 객실 이용률 ‘전국 1위’…시설 늘려야 코로나19를 겪은 지난 2년 동안 다른 지역민의 전남 숙박여행 소비액이 37%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숙박·교통 시설 확충과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 스마트화 흐름에 맞춰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이 같은 내용은 17일 발표된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와 목포본부의 공동 연구 자료 ‘코로나19 이후 전남지역 관광산업의 현황과 발전 과제’에 담겼다. 자료에 따르면 전남을 찾은 관광객들의 소비 금액은 지난 2020년에는 전년보다 48.6% 급감한 뒤 2021년에는 4.9% 증가하며 소폭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관광소비액이 지난 2021년.. 2023. 1. 18.
걷기 좋은 길, 광양 남파랑길 49코스 망덕포구·윤동주 유고 정병욱 가옥 배알도 섬 정원·김 시식지 등 강·포구·섬·낙조 등 자연경관 시·스토리 등 인문 어우러진 길 ‘섬진강 물결 따라 느긋하게 걷는 남파랑길’ 코리아둘레길은 우리나라 외곽 4500㎞를 연결하는 걷기 여행길로 해파랑길(동해안 구간), 남파랑길(남해안 구간), DMZ 평화의 길, 서해랑길(서해안구간)로 이뤄져 있다. 남해안 구간인 ‘남파랑길’에 해당하는 광양은 다압면부터 광양읍까지를 잇는 4개 코스(48~51코스)로 총 54.3㎞에 달한다. 그중 49코스는 망덕포구~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배알도 섬 정원~광양 김 시식지를 잇는 구간으로 유유히 흐르는 섬진강을 따라 느긋하게 걸을 수 있는 걷기 명소다. 망덕포구는 섬진강이 바다와 만나는 곳으로 윤동주의 유고 ‘하늘과 바람과 .. 2022. 11. 25.
가을 끝자락, 놓치기 아쉬운 전남 단풍 구경 여행지 추천! 황금빛 물든 해남 달마고도 트레킹 길 환상 인생샷 명소 무안 낙지공원 젊은층 북적 담양 추월산·메타세쿼이아길 불타는 가을 천은사 물빛·단풍 어우러지는 풍광 탄성 단풍 구경도 제대로 못했는데 벌써 11월의 절반을 흘려보냈다. 서둘러 남도로 발길을 움직여야 단풍의 끝자락을 한껏 맛볼 수 있다. 빨간 단풍잎이 남아 늦가을 정취를 만끽할 수 있고 무수히 떨어진 낙엽길을 걸으며 감상에 젖기 좋은 곳, 전남엔 아직 많다. 이맘 때가 가을 끝자락에서 초겨울로 옷을 갈아입는 계절의 변화를 느끼기에 좋은 시기이기도 하다. ◇황금빛·단풍빛 가득한 해남 미황사·달마고도로=호남의 금강산으로 불리는 달마산(해발 489m)은 백두산에서 시작한 백두대간이 지리산을 넘어 월출산을 지나 마지막 머문 곳으로 호남정맥의 끝이다. 달마고도.. 2022. 11. 15.
조르주 루오전 보고 광양불고기 먹고…풍성한 광양 10월 여행 에술과 축제가 어우러진 가을 낭만 4년 만의 광양전통숯불구이축제 전남도립미술관 블록버스터 전시 축제와 이벤트로 광양 10월 여행이 풍성해진다. 광양시가 ‘결실의 계절’ 가을을 맞아 예술과 축제와 이벤트가 가득한 10월 광양여행코스를 내놨다. 시는 서천꽃길, 광양불고기 특화거리, 전남도립미술관 등을 중심으로 반일코스, 당일코스, 1박 2일 코스를 구성했다. 반일코스인 ‘광양에서 한나절’은 전남도립미술관 & 광양예술창고-광양불고기 특화거리-서천꽃길을 잇는 코스로, 원도심에서 즐기는 미식여행이다. 광양불고기 특화거리, 전남도립미술관 등을 중심으로 광양시보건소가 추진하는 ‘광양불고기 스탬프투어’도 마련됐다. 스탬프투어는 광양불고기 특화거리, 전남도립미술관 등 지정된 장소에서 리플릿을 받은 다음 스탬프북을 완성해.. 2022. 10.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