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10 모호한 상실 - 폴린 보스 지음·임재희 옮김 갑작스럽게 누군가를 잃는 경우 사람들은 극한의 고통을 겪는다. 마음을 쏟던 이가 더는 세상에 없다는 사실을 쉽게 인정하기 어려워 한다. 그래서인지 이별을 부정하거나 외면하는 등 이별을 마주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고통을 승화시킨다. 미국 미네소타대 가족사회학 명예교수이자 위스콘신대에서 교수로 일해온 폴린 보스가 최근 ‘모호한 상실’을 펴냈다. 저자의 오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에 만연한 상실 문제를 규명하는데, 특히 사랑하던 이를 예고 없이 잃는 애매모호한 이별에 주목한다. 저자는 재난이나 참사로 누군가를 떠나 보내면 그 대상은 육체만 소멸한 것이라고 말한다. 불현듯 찾아오는 작별은 남겨진 이들에게 온전한 상실경험을 주지 않는다. 그저 ‘통제 불능 상황’이나 ‘이별할 수 없는 이별’에 직면한 것인.. 2023. 8. 26. 2023년 광주일보 신춘문예 당선자 인터뷰 소설 백종익 “글 쓸 때나, 읽을 때나 즐기는 게 중요” 시 오후랑 “매일 저녁 단 한 줄이라도 쓰려고 노력” 동화 한유진 “아이들 말 귀기울이다 보면 ‘동심’ 만나” 문학 출판계 새해 핫 이슈는 바로 ‘신춘문예’다. 신춘문예를 시행하는 주요 일간지 신년호에 부문별 당선작이 발표되면 많은 문학청년(문청)들의 시선이 쏠린다. 그만큼 신춘문예 당선은 문청들에게는 가장 큰 소망이자 부러움이기도 하다. 기자는 최근 열린 광주일보 신춘문예 시상식에서 당선 작가들과 인터뷰를 했다. 신춘문예라는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이들에게선 기쁨과 아울러 쉽지 않은 문학의 길을 걸어가야 하는 일말의 두려움도 읽혔다. 백종익 소설가는 당선 소감을 묻는 질문에 “유선상으로 통보를 받았을 때 ‘꿈같은 일이 가끔은 현실로 이루어지는 구나.. 2023. 1. 11. 신인작가 등용문 광주일보 신춘문예 시상식 단편소설·시·동화 3부문 2023년 광주일보 신춘문예 시상식이 22일 오후 4시 30분 광주시 서구 치평동 라마다호텔 4층 연회장에서 열렸다. 시상식은 눈이 내리는 등 궂은 날씨에도 수상자와 가족, 광일신춘문학회 회원, 문단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2023년 광주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 당선자 백종익(61) 씨에게 상패와 상금 300만원, 시 부문 당선자 오후랑(42) 씨와 동화 부문 당선자 한유진(49) 씨에게 상패와 상금 각각 100만 원이 수여됐다. 김여송 광주일보 회장은 정후식 논설실장 겸 이사가 대독한 축사에서 “광주일보 신춘문예는 창간 이듬해부터 진행해 온 전통과 권위의 등용문”이라며 “코로나 팬데믹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당선의 결실을 이룬 수상자들.. 2022. 12. 23. 조태일문학상에 보성 출신 송경동 시인 보성 출신 송경동 시인이 제4회 조태일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수상시집은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이며 상금은 2000만원. 조태일기념사업회는 제4회 조태일문학상 수상자로 송경동 시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상시집은 삶의 현장에서 노동자와 함께해온 삶이 곧 시이며 문학이라는 사실을 온몸으로 증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사회적 약자들의 참상을 증언하는 뼈아픈 기록이자 이를 넘어서기 위한 사랑과 연대의 시라는 평가다. 이번 조태일문학상에는 공모와 추천을 통해 접수된 시집을 대상으로 심사가 진행됐다. 심사위원회는 “조태일 시인의 문학정신과 얼마나 그 연결의 수평적 고리가 닿아 있는가. 거기에 더하여 또한 시대정신을 잃지 않고 살아있는 시인의 문학적 실천성은 얼마나 담보되어 있는가”를 살펴봤.. 2022. 8. 26.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