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144 “광주형 일자리, 노동계와 신뢰회복 최우선” 광주시-시민사회단체 간담회 원론적 대안 도출 그쳐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살려내기 위해 광주시와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머리를 맞댔지만, 결국 노동계와의 신뢰회복이 우선이라는 원론적 대안을 도출하는 수준에 그치면서 위기감이 고조 되고 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사업 불참을 선언한 노동계와 시민사회단체, 광주시, 정치권 등 4자 간담회를 제안했지만, 노동계가 이를 받아들일 지도 의문이다. 22일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시민사회단체 간담회’에는 지역 시민사회단체 대표 10명과 이용섭 광주시장, 광주시 주요 간부들이 참석해 노동계 복귀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광주시에 노동계와의 신뢰 회복을 우선적으로 주문했으며, 일부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선 정부와 정.. 2020. 4. 23. 광주시, 특수고용직·실직자 생계비 지원…오늘부터 접수 광주시가 오늘부터 ‘코로나19로부터 지역경제지키기 제3차 민생안정대책’으로 발표한 저소득 특수고용직과 실직자 등에 대한 지원 신청을 받는다. 지원대상은 정책발표 시점인 3월 23일부터 신청일까지 광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있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의 특수고용직·프리랜서 및 실직자, 무급휴직근로자다. 시는 저소득 특수고용직, 실직자 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로 제한했다. 신청접수는 오는 13일부터 5월22까지이고, 위임장을 작성한 대리인도 신청이 가능하다. 정부에서 오는 19일까지 연장 강화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준수하기 위해 13~19일까지는 인터넷(시 홈페이지)으로만 신청 접수를 받고, 20일부터 신청마감일인 5월 22일까지는 인터넷 접수와.. 2020. 4. 13. 노사상생 팽개치고 경영진 밥그릇 챙기기 [긴급점검 - 광주형 일자리] 리더십 부재가 부른 참사 우려가 현실이 됐다. 대한민국 첫 ‘노·사·민·정’ 대타협을 기반으로 태어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노측의 불참 결정으로 결국 좌초 위기를 맞았다. 사업 추진 6년만이자, 지난해 1월 31일 노사상생발전협정 체결 후 꼭 1년 3개월 만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리더십 부재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지난 2일 광주시청 앞에서 협약 파기를 선언한 노동계는 기자회견문 첫 머리에 “정치 놀음으로 전락한 광주형 일자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썼다. 노동계의 강한 불신은 완성차 합작법인인 (주)광주글로벌모터스(대표 박광태) 설립 시점부터 출발한다. 전과자와 비전문가들이 주요 임원에 선임되는 등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데 따른 것이다. 광주지역 노동계와 시민·사.. 2020. 4. 6. 광주시, 생계지원비 홈피서만 접수 전남도, 소상공인 공공요금도 지원 지역상품권·선불카드로 지급 정부 재난지원금 기준 내주 발표 광주시와 전남도는 1일부터 자체적으로 긴급 생계비 지원 신청을 받는다. 지난 30일 갑자기 정부에서 재난지원금 지급을 발표하면서 자체 생계비 지원을 재점검하는 등 일시적인 혼선이 있었으나, 계획대로 생계비 지원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정부지원까지 포함하면 가구당 많게는 총 200만원의 생계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광주시는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을 위해 4월 1∼5일은 시 홈페이지로만 접수하고 같은 달 6일부터 5월 8일까지는 홈페이지와 함께 95개 행정복지센터, 광주시청 1층에서 현장 접수도 한다. 소득 판단 기준은 가구원 모두의 세전 소득액만 합산하고 일반·금융 재산은 제외한다. 지원 대상은 크게 중위소득.. 2020. 4. 1. 이전 1 ··· 33 34 35 3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