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호기자950 [학동참사] 규정보다 4배 많은 보류지…늘어난 분양권 어디로 갔나 광주 학동 4구역 재개발 갈수록 커지는 특혜 분양 의혹 동구도 형식적 승인…법규 미비한 보류지 활용 이익 극대화 가능성 감리자 지정 과정 공무원 청탁 받고 지분쪼개기 관련 의혹도 지역 정·관계 인사들 이름 오르내려…비리 사슬 밝히기 수사력 집중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 재개발구역 철거 건물 붕괴사고’와 관련, 특혜 분양 의혹이 제기되면서 지역 정·관계 유력 인사들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또 재개발사업자 선정 여부에도 이같은 특혜 의혹이 어떻게 연결됐는지도 초점이 모아진다. 경찰이 특혜 분양 의혹과 관련, 주목하는 분야는 지분쪼개기와 ‘보류지’(保留地) 제공 여부다. 아파트 분양권을 늘리기 위해 소유권(지분)이 하나인 단독주택을 여럿인 다세대주택으로 변경하는 지분쪼개기로 확보된 분양권 소유 흐.. 2021. 6. 28. 굴삭기 사고 방지 조치 등 없어 현대산업개발 안전 의식 ‘삼류’ 노동청, 학동 붕괴사고 현장 감독 49건 위반사항 적발 ‘광주 학동 재개발구역 철거 건물 붕괴사고’ 와 관련,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의 해당 재개발사업장에 대한 근로감독에서 49건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항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노동청의 이번 특별근로감독에서는 붕괴 사고와 관련한 미흡한 안전조치 뿐 아니라 폭염에 대비한 노동자 휴게시설조차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이른바 HDC 현대산업개발의 ‘삼류’ 안전 의식이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은 21일 붕괴사고가 난 ‘학동 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현장을 대상으로 한 특별감독을 실시, 49건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항을 적발했다고 중간 수사 결과를 밝혔다. 광주노동청은 이같은 위반 사항을 토대로 현대산업개발과 하도급을 받은 한.. 2021. 6. 22. 재개발 비리 수사 지역 사회 쓰나미 덮치나 경찰, 광주 학동4구역 재개발 비리 의혹 수사로 지역 술렁 다원이앤씨·백솔·한솔·재개발조합장 등 9명 입건 문흥식 인맥 얽힌 공무원·경찰·정치인 이름 오르내려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 재개발구역 철거 건물 붕괴사고’에 대한 경찰 수사가 전방위로 진행되면서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경찰의 수사가 붕괴사고로 인한 안전 문제 뿐 아니라 재개발사업 업체 선정 및 분양신청권 특혜 의혹까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경험론적 분석이 흘러나오면서다. 경찰이 혐의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입건하는 사례가 이어지는데다, 관련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오르내리는 인물들도 많아져 지역사회의 술렁임도 커지는 분위기다. 21일 광주경찰청 전담수사본부에 따르면 현재 ‘광주 학동 재개발구역 철거 건물 붕괴사고’.. 2021. 6. 22. 운암 3단지 철거공사 수사 왜 더딘가 학동 4구역과 유사한 정황에도 북부경찰, 서류조차 검토 안해 북부경찰의 ‘운암 3단지 재건축 철거 공사’에 대한 수사가 더디게 진행된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 4구역 재개발사업 철거공사’와 유사한 부실·불법 공사 정황이 엿보이는데도, 관련 서류 검토조차 이뤄지지 않았다는 경찰 입장이 나오면서다. 20일 광주북부경찰에 따르면 북구청은 지난 14일 운암 3단지 재개발 철거공사에 관한 고발장을 접수했지만 경찰은 관련 서류 검토를 진행중이다. 앞서, 북구는 운암 주공 3단지 재건축 사업장 내 해체공사와 관련, 건축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 GS건설, 한화건설, 철거공사를 하도급 받은 문안환경 등 총 4곳의 업체를 고발했다. 철거 공사 과정에서 ‘학동 철거.. 2021. 6. 21. 이전 1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23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