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연재기자740

키오스크·무인점포 너무 어려워…IT 세상 ‘老·답’ 카드 찍고 입장하는 무인점포 어르신들 출입 못해 ‘쩔쩔’ 터미널 무인발권기·카페 키오스크 등 사용법 몰라 ‘진땀’ 인건비 상승, 트렌드 변화 등으로 광주에서도 직원을 줄이고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를 설치하는 사례가 많아지자, 디지털 소외 계층인 고령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키오스크는 직원 없이도 주문, 결제 등을 할 수 있도록 주로 매장 내부나 음식 테이블 등지에 설치하는 기계다. 광주일보 취재진이 11일 방문한 광주시 서구 광천동 유스퀘어 광주 종합버스터미널의 무인 편의점에서는 노인들이 가게 내부로 들어갈 엄두조차 못 내고 발길을 돌리기 일쑤였다. 신용카드나 휴대전화를 이용해 입구에 있는 ‘출입 인증기’에서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노인들은 인증기 옆에 .. 2024. 3. 11.
공무원들 구내식당 몰리고 자전거 출퇴근족 부쩍 늘어 가혹한 고물가 고통에 외식 끊고 천정부지 과일은 포기 광주 사랑의식당 운영난…대학생들 알바 구하기 전쟁 #. 광주시 광산구 평동에 사는 정은혜(여·35)씨는 최근 고물가에 한푼이라도 줄여보려고 외식과 배달음식을 끊었지만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식비를 줄이려고 직접 요리를 해도 식료품비가 너무 올라 한달 식비 10만원을 줄이는 것도 버겁기 때문이다. 정씨는 “외식은커녕 좋아하는 과일조차도 너무 비싸 엄두도 못 내고 있다”며 “당장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자잘한 소비를 줄여가며 버티고 있지만, 어떻게 돈을 아낄 수 있을지 날마다 고민이 커진다”고 말했다. #.김유현(여·27, 남구 봉선동)씨는 올해 들어 차를 몰지 않고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고 있다. 분식을 먹어도 김밥이 5000원 넘고 라면도 5000원에 .. 2024. 3. 11.
“명령에 복종했을 뿐” 계엄군 면죄부 준 보고서 5·18진상조사위 보고서 논란 ‘시위대 무장설’ 애매한 기술…왜곡 세력에 ‘여지’ 남겨 암매장 기술 54쪽인데 군·경 피해자 514쪽 ‘본말 전도’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진상조사위)의 조사 결과보고서에 계엄군과 5·18을 왜곡하는 이들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조사 결과가 제시돼 논란이 예상된다. 진상조사위가 지난달 29일 총 17개 직권조사 과제 중 13개를 먼저 공개한 데 이어 지난 4일 추가로 조사결과보고서 2건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보고서는 각각 ‘군·경찰의 사망·상해 등에 관한 피해’와 ‘5·18민주화운동 당시 전남 일원 무기고 피습사건’에 대한 것으로, 진상조사위 위원들은 두 사건 모두 ‘진상규명 불능’ 결정한 바 있다. 이 중 군·경 피해 보고서는 쪽수로만 514쪽에 .. 2024. 3. 5.
[5·18단체 파행 언제까지] 공법단체, 의사결정 정당성·투명성 확보 시스템 필요 <하> 부상자회·공로자회장, 독단적 의사결정 고수하다 징계 국가·지자체 등과 수의계약 권한 독점에 알력다툼 번져 파벌 싸움으로 빚어진 집행부 파행이 1년여 지속되고 있는 5·18공법단체를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인적, 제도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이달 말부터 다음달까지 각각 정기총회를 열기로 하고 신임 회장과 지도부를 선출하는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신임 지도부는 파벌 싸움 등 내홍과 재정비리가 반복되지 않도록 자정 능력을 갖출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숙제를 안고 있다. 우선 단체장이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의 절차적 정당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견제 장치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법단체 회원들 사이에서는 “단체장이 강력한 결정권을.. 2024. 3.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