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희준기자

전남 홀몸노인 10명 중 7명 생활비 직접 번다

by 광주일보 2020. 5. 10.
728x90
반응형

통계청 생활상 발표…광주·전남 65세 이상 1인 가구 15만명
자녀 지원 평균 20% 불과…광주는 연금·전남은 일해서 충당

 

지난해 전남지역에서 자녀나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지 않은 고령자 1인 가구 65.7%는 직접 일을 하며 생활비를 마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퇴직급여나 있는 재산으로 생활비를 충당하는 비중은 오히려 줄어 지역 독거노인을 위한 노후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7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광주·전남 고령자 1인 가구 생활상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고령자 1인 가구는 광주 4만명·전남 10만4000명 등 총 14만5000여 명으로 집계됐다.

광주 고령자 1인 가구는 올해 처음 4만명을 넘겼고, 전남은 지난해 10만명을 돌파했다. 전남지역 고령자 1인 가구 비중은 14.2%로, 전국 평균(7.8%)을 크게 웃돌고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광주 비중은 6.9%(11위)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지역 고령자 1인 가구가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본인 부담’(광주 43.8%·전남 45.7%)이 가장 많았다.

이외 “정부 및 사회단체 지원을 받는다”는 응답은 광주 34.9%·전남 35.9%로 나타났고, 자녀 또는 친척 지원은 광주 21.3%·전남 18.7%였다.

본인이 생활비를 부담하는 응답자 가운데 그 방법은 도농 간 격차를 보였다.

광주지역은 절반 이상(51.4%)이 연금·퇴직급여로 충당한다고 답했고 ▲근로·사업소득 31.7% ▲재산소득 11.4% ▲예금 5.5%가 뒤를 이었다.

반면 전남 고령자 1인 가구는 직접 일을 하며 생활한다는 응답이 65.7%에 달했다. 정부나 자녀 도움을 받지 않는 전남 독거노인 10명 가운데 7명 꼴로는 일을 해야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는 전국 평균 47.4%를 크게 웃돈 수치다.

이어 ▲예금(12.9%) ▲연금·퇴직급여(12.7%) ▲재산소득(8.7%) 등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금·퇴직급여 응답률은 2015년 29.8%, 2017년 28.9% 등 하락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응답률은 전국 평균(32.1%)을 크게 밑돌았다.

고령자 1인 가구가 주로 사는 곳은 광주는 아파트가 많았고, 전남은 단독주택이 대다수였다.

2018년 기준 유형별 거처는 광주의 경우 60.6%가 아파트고, 단독주택 35.8%, 연립·다세대주택 2.6%다. 전남의 경우 82.2%가 단독주택이고, 아파트 15.5%, 연립·다세대주택 1.5%다.

지난 2018년 조사 결과 고령자 1인 가구를 누가 부양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광주·전남 지역민 3분의 1 이상이 ‘가족과 정부·사회’(광주 34.9%·전남 39.4%)가 해야한다고 답했다. 광주지역에서는 이어 ‘가족’(27.8%), ‘스스로 해결’(24.5%), ‘정부·사회’(12.8%)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전남도 가족(26.3%), 스스로 해결(18.3%), 정부·사회(16.0%)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광주·전남 고령자 1인 가구 65% 이상은 2년 전인 2017년보다 생활여건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나빠졌다는 답변은 광주 2.4%·전남 1.7%에 머물렀다. 자신의 건강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고령 1인 가구는 광주 56.2%·전남 69.0%에 달했고, 정기건강검진으로 건강관리를 한다는 응답률은 각 25.8%, 16.6%로 비중이 점차 줄고 있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소비양극화 여전…1분위 102만원 vs 5분위 422만원

지난해 소득 하위 20%가 월 평균 102만원을 쓰는 반면 상위 20%는 422만원 소비하며 이 두 계층의 소비차는 4.1배에 달했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

kwangju.co.kr

 

적금 깨고 생활비 대출…월급쟁이 잔혹사

코로나19 국내 확산 뒤 직장인 3명 중 1명은 무급휴가나 급여삭감 조치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들 중 38%는 급여가 줄면서 예·적금을 깨거나 대출을 받았다고 답했다.취업정보포털 인크루트가 4월20~28일 직장인 5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41.8%는 “코로나19 이후 급여변동 사유가 발생했다”고 답했다.유형별로 보면 무급휴가가 16.3%로 가장 많았고 ▲급여삭감 및 반납(12.5%) ▲권고사직(4.0%) ▲강압적 해고(1.8%…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