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희준기자

영끌했던 청년들 고금리 적금에 몰린다

by 광주일보 2022. 2. 21.
728x90
반응형

연 9%대 ‘청년희망적금’ 첫날 가입폭주
만 19~34세 청년 대상…25일까지 ‘5부제’
광주·전남 청년들 ‘마통’ 개설 123% 급증
가계대출 증가율도 전 연령대 평균 ‘2배’

<자료:금융위원회>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식과 가상화폐 등에 무리하게 돈을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일면서 광주·전남 청년들의 부채 상황이 심화됐다.

정부가 청년들의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청년희망적금을 출시한 21일, 조금이라도 더 나은 금리를 찾는 청년들의 가입 신청이 폭주했다.

2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자소득 비과세와 저축장려금 지원 등을 통해 연 10% 안팎 금리 효과를 볼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이 이날 출시됐다.

너무 많은 신청자가 몰릴 것을 감안해 이번 주는 ‘5부제’ 신청을 진행했지만 첫날부터 일부 은행 앱에서 접속 지연이 일어났다.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이다. 병역이행을 한 경우 이행기간 최장 6년은 산입되지 않는다. 총급여가 3600만원(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면 가입할 수 있다.

매월 1000원부터 50만원 한도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만기는 2년이다.

이 적금은 정부가 저축장려금과 비과세 혜택 등을 지원하면서 사실상 10% 안팎 금리를 받는 것과 마찬가지로 알려지면서, 가입 자격을 조회하는 ‘미리보기’ 단계에서부터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지난 18일 오후까지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에서 청년희망적금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려고 ‘미리보기’를 신청한 건수는 150만건을 훌쩍 넘어 200만 건(중복 포함)에 육박했다.

예를 들어 은행 제공 금리를 연 5%로 가정하고 월 50만원씩 붓는다면, 정부 지원 ‘저축장려금’ 36만원과 은행 이자 62만5000원을 더하면 2년이 지난 뒤 만기 수령하는 금액은 1298만5000원이 된다. 이자소득세는 ‘0원’으로, 일반 과세 상품이라면 9.31% 금리 효과를 보는 것이다.

 

올해 청년희망적금 사업예산은 456억원으로, 가입자들이 모두 월 납입 한도액(50만원)으로 가입한다고 가정하면 38만명만 지원할 수 있는 규모다.

일찍 접수가 마감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첫날부터 청년들이 앞다퉈 가입 신청을 하고 있다.

적금 가입은 광주은행과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전북, 제주은행 등 11곳에서 할 수 있다. 점포 가입과 비대면 방식을 병행한다.

이날부터 25일까지 닷새에 걸쳐 출생년도 끝자리에 따라 가입할 수 있는 5부제 방식을 적용한다.

첫째 날에는 1991·1996·2001년생만, 둘째 날인 22일에는 1987년·1992년·1997년·2002년생만 신청할 수 있다.

청년들이 고금리 적금에 눈을 돌리는 데는 코로나19로 촉발한 저성장·저금리 기조가 끝날 기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청년들은 은행 적금보다는 대출에 치중하는 양상을 보였다.

광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들의 신규 적금 건수는 6만5184건으로, 전년보다 42.3%(1만9369건) 증가했다.

이는 광주은행 전체 개인고객 신규 적금 증가율 48.4%(22만1992건→32만9444건) 보다 낮은 수치다.

전체 신규 적금 건수 가운데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1.9%(12만8250건 중 2만8078건)→2020년 20.6%(22만1992건 중 4만5815건)→2021년 19.8%(32만9444건 중 6만5184건) 등으로 줄고 있다.

반면 청년들의 마이너스 통장 개설과 신규 가계대출은 평균보다 심화된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청년들의 마이너스 통장 신규 개설은 554건으로, 전년보다 123.4%(306건) 급증했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에는 67건에 불과했지만 이듬해 248건, 지난해 554건 등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광주은행의 지난해 평균 마이너스 통장 증가율은 109.1%(2757건→5764건)로, 청년 증가율을 밑돌았다.

아울러 개미 주식투자와 코인 열풍이 맞물려 청년층 신규 가계대출 증가율(83.9%)은 전 연령대 평균(39.1%)을 2배 이상 앞질렀다.

광주은행에서의 청년층 가계대출은 2019 7310건, 2020년 1만4380건, 2021년 2만6448건 등으로 증가 추세다.

전체 신규 가계대출 건수에서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15.7%(2019년)→17.7%(2020년)→23.5%(2021년) 등으로 늘고 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자취방 구해? 말아? 개학 앞둔 대학가 ‘혼란’

3월 신학기를 앞두고 광주·전남 대학가에는 탐색전이 한창이다. 비대면 수업을 해온 대학들이 대면 수업으로 전환하면서 방을 구하려는 학생들로 북적이면서 자취방 수요가 크게 늘어나 대학

kwangju.co.kr

 

‘플랜B’ KIA 마운드, 서재응 코치 “선발 경쟁 관건은 ‘제구’”

‘플랜B’로 KIA 타이거즈의 2022시즌 마운드 준비가 이뤄지고 있다. KIA는 22일 이번 스프링캠프 첫 연습경기를 치른다. 애초 23일 경기가 예정됐지만 날씨 상황을 고려해 하루 앞당겨 실전에 돌입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