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두 10개 포함 탄흔 535개 발견
41년 전 5월 27일 새벽, 최후항쟁지인 옛 전남도청 진압 작전에 나섰던 계엄군들이 시민들을 향해 쏜 M16 총탄이 나왔다.<2020년 12월 29일 광주일보 6면> 계엄군의 유혈 진압작전 상황을 유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13일 옛 전남도청에서 회견을 열고 “옛 전남도청 내·외부에서 535개의 탄흔을 발견했다”고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도청복원단은 535개 중 10개 탄흔에는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이 쏜 것으로 추정되는 총탄(탄두) 10개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10개의 총탄은 1980년 당시 옛 전남도청 내 서무과 벽(8개)과 경찰국 외벽 2곳에 박혀있었다. 복원단은 이 중 5개(서무과 3개·경찰국 2개)의 탄두를 빼내 분석한 결과, 서무과 탄두의 경우 1980년 당시 계엄군이 사용한 M-16 소총에서 발사된 것으로 판단했다. 나머지 525개 탄흔 중 71개는 총탄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탄흔이 유력하다는 게 복원단 설명이다.
복원단은 이외 454개 탄흔에 대해서도 탄흔으로 볼 만한 흔적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들 탄흔에 대해서는 잔존 성분 검사 등 추가 검증을 거쳐 탄흔 여부를 최종 확인하겠다는 입장이다. 복원단은 또 X 레이 촬영 방식으로 전남도청 본관 앞 은행나무(3개)와 민원봉사실 옆 소나무(2개)에서도 총탄으로 추정되는 금속 물질을 발견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이번 결과는 최후의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이 품고 있던 그 날의 기억과 5·18 당시의 진실을 밝히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첨단 과학기법 총동원 조사…벽면·나무에 생생한 흔적
옛 전남도청 건물에서 발견된 총탄〈2020년 12월 29일 광주일보 6면〉은 41년 전 계엄군의 시민들을 향한 잔혹한 진압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박근혜 정부
kwangju.co.kr
전두환 5월 광주에…항소심 첫 공판기일
41년 전, 5월 광주를 총칼로 짓밟은 주범으로 꼽히는 전두환(90)씨가 오는 5월 광주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사자명예훼손 혐의에 대한 항소심 첫 재판 때문으로, 5·18 민주화운동 41주년을 맞는 5월
kwangju.co.kr
현재 기술론 방사성물질 제거 불가능…전남 피해 불 보듯
일본 정부가 13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제1원전 부지 내 탱크에 보관 중인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방류를 결정하면서 가장 큰 피해는 최인접국인 한국이 될 공산이 커졌다. 그중에서도 수산물
kwangju.co.kr
'정병호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동 아파트숲 반대…역사·문화 살리는 재생을” (0) | 2021.04.15 |
---|---|
41년간 박혀있던 탄두·탄흔 어떻게 찾았나… 첨단 과학기법 총동원, 벽면·나무에 생생한 흔적 (0) | 2021.04.14 |
성금 속속 답지…광주의 미얀마 연대 뜨겁다 (0) | 2021.04.12 |
“땀·기름 밴 작업복, 세탁 고민 사라졌네요” (0) | 2021.04.09 |
다른 남자와 술 마신다며 여친 폭행 (0) | 202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