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학령인구 감소에 자녀교육위해 도시로 …‘지역 소멸’ 가속화
신설 학교는 수도권에 집중 … 전남교육청 “초·중·고 연계 교육 추진”
전남의 학교가 사라지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에 30·40대 학부모들의 타 지역 이주가 겹치면서 학생 수가 급감하면서 문을 닫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 소멸’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농어촌에 학교가 사라지면서 주민 이주, 상권 붕괴 등으로 가속화되고, 학생·학부모가 사라지면서 폐교가 증가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10일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시·도별 폐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폐교 수는 서울은 3개에 불과했지만, 전남은 828개로 나타났다.
특·광역시 등 대도시에 위치한 지자체들과 이외 지역들의 폐교 숫자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부산 44개 ▲대구 36개 ▲인천 57개 ▲광주 15개 ▲울산 27개 ▲세종 2개 ▲경기 169개 ▲강원 460개 ▲충북 253교 ▲충남 264개 ▲전북 325개 ▲경북 729개 ▲경남 582개 ▲제주 32개교였다.
반면 2023년까지 신설이 예정된 학교 수는 수도권에 치우쳐 있다. 지난해 5월 집계 기준 신설예정학교 시·도교육청 학교급별 현황을 보면 서울 6개, 인천 15개, 경기 56개로 전체 113개교 중 77개(68.1%)로 나타났다. 폐교 증가폭이 컸던 지역들은 신설예정학교 수가 제한적이었다. 전남 2개, 경북 1개, 경남 9개, 강원 1개, 전북 2개교 등이다.
학령인구 감소 문제는 교육 현장에 큰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된 지 오래다. 교육부에 따르면 2030년 초등학교 학령인구가 당초 예상인 242만명 보다 크게 줄어든 180만명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더해 비수도권 지역은 주민 이탈로 이중고를 겪는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경기도로의 전입 인구 급증으로 2020년 기준 수도권 인구는 2019년 대비 11만2508명이나 늘어 2603만8307명을 기록했다. 반면 광주·전남을 비롯해 부산과 대구, 대전, 전북, 경북, 경남 등 상당수 비수도권 광역 지자체는 전출도 전입보다 많아 인구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이다.
교육당국도 이와 관련한 문제의 심각성에 위기감을 느끼고,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폐교여부는 지방 교육청과 지역주민들이 협의해 결정하는데 사회성 함양 문제로 전학을 결정하는 등 이탈이 생긴다”며 “학령인구 감소 추세와 수도권 집중화 현상도 맞물리고 있는 상황이 문제”라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교육청은 교직원·학부모·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 심화’와 ‘학생수 감소로 인한 농어촌·원도심과 소규모학교 통·폐합 위기’에 심각한 위기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남교육의 위기상황을 극복할 해결 과제로 ‘학생수 감소를 극복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미래학교 육성’을 핵심과제로 꼽았다.
전남도교육청 관계자는 “인구 및 학령인구 감소를 심각한 위기로 인식하고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당장 학교 통폐합 대신 미래학교 육성, 초·중·고 연계 교육과정 운영하기 위해 가칭 ‘미래형 통합운영학교’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김대성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학년도 대입 전략은?] 정시 늘고 수시 줄고…수능 과목 구조 변경 (0) | 2021.01.11 |
---|---|
체육관 대신 온라인…코로나가 바꾼 졸업식 풍경 (0) | 2021.01.11 |
수시 이월인원 변수…정시 경쟁률 높아질 듯 (0) | 2021.01.07 |
복불복 수능 재연에…수험생 "선택과목 운에 맡기라고?" (0) | 2021.01.06 |
7일부터 대입 정시전형 원서 접수 … 대학별 수능 반영 비율 체크, 수시 이월 인원 확인해야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