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천 기자가 추천하는 책]
안타고니즘
지상현 지음
한, 중, 일은 지정학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역사적으로도 대립과 길항의 관계를 이루어 왔다. 이웃이라는 개념보다는 경쟁과 속국, 정복과 피정복과 같은 갈등관계가 더 익숙하다.
그러다보니 쉽게 서로를 단정한다. ‘일본사람은 다 그래’, ‘중국인들은 다 그렇지 뭐’ 등등의 말들이 여전히 넘쳐난다.
‘원형’은 개인이나 집단의 내면화된 이미지를 말한다. 이 말은 삶의 국면만큼이나 이미지 또한 다양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길항작용으로 번역되는 ‘안타고니즘’은 생물학적 개념이다. 생물의 가장 큰 특징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데 있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등은 서로 상반된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다시 말해 밀고 당기면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한국, 중국, 일본 세 나라 문화 유전자를 모티브로 각국의 문화심리를 조명한 책이 나왔다. 한성대 디자인대학 ICT디자인 학부 지상현 교수가 펴낸 ‘안타고니즘’이 그것. 지 교수는 문화를 매개로 공동체의 심리를 분석한다. 이전의 책 ‘한중일의 미의식-미술로 보는 삼국의 문화지형’에서 한발 더 나아간, 치밀한 결과물이다.
책을 관통하는 주제는 역사와 사회는 ‘밀고 당김의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세 나라의 ‘이웃’을 쉽게 단정하지 않고 이해하려는 관점을 취한다.
먼저 저자는 중국인의 감성적 기질에서 밀고 당김은 ‘개방과 폐쇄’로 봤다. 토루(土樓)는 서남부 푸젠 성 용딩 현, 장저우 난징 현, 화안 현에 있는 집단주택단지로 2008년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됐다. 토루의 시작은 중국 송나라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북방에서 금나라가 침입하자 중원지역 거주민들이 푸젠으로 이동했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원주민에게 공격을 받았다.
이에 방어를 위한 목적으로 공동주택 토루를 짓는다. 저자는 토루는 1층 출입구 말고는 밖으로 통하는 문이 없다고 설명한다. 1층은 식당과 부엌, 2층은 창고, 3층부터 주거용인데 대개 수백 명이 살았다고 하니 온 마을이 한 집에 사는 격이다. 폐쇄적 기질을 방증한다.
개방적 감성은 위난 성 숭성사의 초대형 삼탑에서 찾는다. 세 탑 가운데 가장 높은 사각탑은 13층 69.13m로 전망에 대한 욕구가 반영돼 있다. 중국 사람들은 멀리 보려는 심리에서 높은 탑을 짓는다는 것이다.
일본인은 축소와 확장의 유전자가 있다. 한국에서 불단은 사찰 법당 안에 있지만 일본 부츠단은 가정집에 있다. 이들은 독실한 불교 신자가 아니어도 집에 부츠단을 들이는 풍습이 있다. 장례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부츠단은 절에 있는 대웅전을 축소시켰다.
확장의 감성적 기질은 도다이지의 ‘노사나불’에서 찾을 수 있다. 나라 시 나라 현에 있는 도다이지는 헤이안 시대 건설된 세계 최대 목조건축물이다. 대불전이 창건될 때 정면은 11간 86m였다고 한다.
한국인에게는 덤벙과 강박이 있다.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김후신의 ‘대쾌도’는 격식을 벗어던진 술자리의 자유로움을 표현했다. 저자는 “도자기에 유약을 입힐 때 유약을 풀어 놓은 그릇에 덤벙 담갔다가 꺼내 올린 데서 비롯한 덤벙 기법처럼, 그림 속 이야기는 기법 모두 덤벙스럽다”고 설명한다.
덤벙에 상응하는 것은 강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기해기사계첩’의 신임의 예를 든다. 화원 김진여는 신임을 그리면서 터럭 하나까지 세세하게 그린다. 닮을 정도로 정밀하다. 미화나 과장이 없이 있는 사실 그대로를 그려낸다. 내려앉은 눈꺼풀까지 지나칠 정도의 묘사는 ‘강박’이 아니고서는 풀어낼 수 없다.
저자는 “‘한 국가의 감성적 기질이 이것이다!’라고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지성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세상이 그렇게 단순할 리 없다는 경험론이 작용하기 때문이다”며 “현재를 결정하는 것은 선천적 기질보다는 역사적 경험과 사회적 상황이라는 시선”이라고 강조한다. <다돌책방·6만5000원>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박성천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등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됐다 (0) | 2020.12.17 |
---|---|
광주 역사·문화 인물 웹툰으로 만나다 (0) | 2020.12.16 |
도서관 24곳서 인문·문화·예술프로그램 550개 운영 (0) | 2020.12.10 |
다산의 사랑, 정찬주 지음 (0) | 2020.12.06 |
‘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 인간에게 던지는 24가지 화두…식물을 보고 깨우치다 (0) | 202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