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성천기자

생활 속 5G 체험공간 열렸다

by 광주일보 2020. 11. 11.
728x90
반응형

관람객들이 직접 테블릿을 이용해 광주공원 캐릭터 ‘구동이’ 등 지역 콘텐츠를 디지털로 만들 수 있는 미디어실증체험관이 선보인다. 또한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가상미술관을 체험할 수 있으며, AR 인물과 사진 촬영 후 QR 코드를 이용해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5G 실감콘텐츠(미디어아트)를 매개로 생활 속에서 5G를 체험할 수 있는 ‘5G 미디어실증체험관(스페이스 5G네)’이 오는 12일 광주문화재단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첫선을 보인다.

지난 7월부터 추진된 ‘스페이스 5G네’는 지역의 과학, 예술, 산업 발전을 견인하고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광주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울러 미디어아트와 융복합 콘텐츠 창작과 유통 활성화를 꾀하자는 의미도 포함돼 있다.

문화재단은 지난 6월 범부처 Giga Korea 사업의 ‘2020년 광주ㆍ전남 5G 실증체험관 구축 사업 공모’에 수행자로 선정돼 같은 공간을 조성했으며 오는 23년까지 콘텐츠를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앉아보는 미술관’

이번에 ‘스페이스 5G네’에 구축된 콘텐츠는 모두 10종. ‘반짝반짝 유미씨’, ‘앉아보는 미술관’, ‘내가 그린 거북이’, ‘네모네모 체험관’, ‘움직이는 공연장’, ‘IT관객 매나씨’, ‘도와줘요 도슨트’, ‘사진찍자 나하고’, ‘게임으로 만나요’, ‘5G 무선백홀허브 및 터미널’이 그것이다.

이번 콘텐츠들은 SK텔레콤의 5G 기반 실감미디어 기술을 토대로 구축됐으며 공간 리모델링 조성에 5개월여가 소요됐다. 특히 스마트 사이니지Wall을 활용한 ‘반짝반짝 유미씨’는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광주의 다양한 모습을 표현했다. 290인치 멀티터치 다중 디스플레이로 광주를 포함한 국내 유네스코 창의도시 소개와 미디어아트 작가들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QR 코드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관람이 가능하다는 것도 강점이다.

무안경VR존인 ‘네모네모 체험관’은 VOD영상과 Live 영상을 기반으로 한 360도 5면 LED 큐브체험관이다. 세계 최초로 Live 영상을 적용했으며, 드론으로 촬영한 광주ㆍ전남의 명소를 마치 둥둥 떠다니며 보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광주문화재단 빛고을시민문화관에 구축된 5G 미디어실증체험관 ‘움직이는 공연장’

‘움직이는 공연장’은 360 영상을 수신해 대형 스크린과 VR로 감상하고 멀티 view 단말로 개별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 실시간 고성능 카메라로 아트스페이스 소공연장을 촬영, HMD VR을 체험할 수 있다.

가상미술관을 체험할 수 있는 ‘앉아보는 미술관’도 마련돼 있다. 광주시립미술관을 기반으로 한 ‘미술관 둘러보기’와 ‘우리가 만든 미술관’, 호랑가시나무폴리곤을 토대로 한 ‘숲속 미술관’도 눈길을 끄는 콘텐츠다.

광주의 멋진 공연을 부산에 전달하는 ‘IT관객 매나씨’도 눈여겨 볼 콘텐츠다. ‘(오)매나씨’는 문화예술 공연을 좋아해 예술 극장에 자주 출몰하는 광주 대표 캐릭터로, 머리에 달린 안테나가 자체 발광한다. ‘매나씨’는 부산 시청각미디어센터 ‘대화면 실감 LIVE 공연장’에 광주의 공연을 전달함으로써 영호남 문화교류의 매개체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5G 미디어 실증체험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광주문화재단을 비롯해 (재)기가코리아사업단, SK브로드밴드 컨소시엄,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이 주관한다.

12일 개관식은 문화재단 유튜브 채널 ‘광주문화재단TV’를 통해 관람이 가능하다. 개관식에는 이용섭 광주시장, 장석영 과기정통부 차관 등 초청자 200여명이 참여한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미디어아트 허브, 이이남 스튜디오 개관

멀리 보이는 건물 2층 허공에 예수와 마리아 조각이 매달려 있다. 미디어아티스트 이이남 작가의 작품 ‘다시 태어나는 빛’의 일부다. 이 설치 작품은 나선형 계단을 타고 내려오면 만나는 ‘

kwangju.co.kr

 

 

‘꽃도졌다 다시피고 효(孝) 심청’

판소리 ‘심청가’를 각색한 창극 ‘꽃도졌다 다시피고 효(孝) 심청’이 관객과 만난다. 13일 오후 7시 30분, 14일 오후 3시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광주시립창극단(예술감독 유영애)은 ‘춘향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