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통역도 없어 들어도 몰라…‘안전 사각’ 대책 마련 시급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 사망자 23명 중 20명이 외국인노동자로 확인돼 외국인 안전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어로 진행되는 현장 안전교육 내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해 재난사고시 대처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4년 전 전남에서 비자를 받은 베트남 출신 외국인노동자 A씨는 25일 광주일보와 통화에서 “그동안 제대로 된 안전교육은 한번도 받지 못했다. 단지 조심하라는 말뿐이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불과 한달 전에도 소방 안전 교육을 받았지만 통역이 없어 무슨 소리인지 전혀 몰랐다는 것이다.
A씨는 “이번 화성 화재에서 이주노동자 20명이 숨진 걸 보고 마음이 너무 아팠다. 한국에 올 때 어떤 마음이었을지, 한국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똑같이 겪었을 걸 생각하면 화재 현장에서도 무서움과 답답함이 컸을 것”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광주시 서구의 한 공장에서 7년 째 일하고 있는 외국인노동자 B씨도 “화성화재 사고가 남의 일 같지 않다”고 토로했다.
B씨는 “공장에서 심장제세동기(AED) 사용법과 화재시 대피 방법 등 안전교육을 받고 있지만 그때마다 한국어로만 진행됐다”고 푸념했다.
한국에 온 지 오래돼 기본적인 한국어 소통은 가능하지만 한국 생활에 적응도 채 하지 못한 외국인노동자 동료들은 교육 내용을 하나도 알아듣지 못했다는 것이다.
문길주 전남노동권익센터장은 “광주·전남지역 이주 노동자들이 매년 유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여전히 사망하거나 산업재해를 겪는 외국인들은 내국인보다 30% 가량 더 많은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기본적인 안전교육이 한국어로만 이뤄져 교육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위급상황시 대피할 수도 없다. 이들의 언어로, 이들이 사용하는 안전 용어로 통역하는 통역사가 필수로 배치돼야 한다”고 말했다.
사업장 안전교육 등을 진행하는 한국산업인력공단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사업주의 요청시에만 통역사를 배치하고 있다. 이외 16개 언어로 컨텐츠를 제작해 홈페이지에 업로드 해 이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업주에게 권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김다인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 위기 직격탄…전남 감자의 위기 (0) | 2024.06.29 |
---|---|
성매매 알선한 40대 보도방·유흥업소 업주 무더기 적발 (0) | 2024.06.29 |
[단독] 휴~ 다행…광주·전남 레미콘 총파업 전격 철회 (0) | 2024.06.23 |
광주만 유독 ‘좁은 문’…공시 경쟁률 전국 1위 이유는? (1) | 2024.06.20 |
‘휴진 대란’ 없었지만…곳곳 환자들 불편·불안 호소 (0)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