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성천기자

박소미 작가, 생명의 지속성과 순환성 그리고 균형…중도의 미학

by 광주일보 2024. 2. 26.
728x90
반응형

‘삶을 노래하는 생명력’…28일까지 무등갤러리

‘삶을 노래하는 생명력’

‘모든 것은 영원하지 않는다.’ 불교에서는 모든 세상만물은 변화한다고 전제한다.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나아가 번뇌가 사라지는 열반적정(涅槃寂靜) 등 이 세가지를 삼법인(三法印)이라 일컫는다. 삼법인은 무아와 중도를 일깨우는데, 그것의 핵심은 다름 아닌 균형이다.

박소미 작가의 작품에는 불교의 가르침과 사유가 배면에 드리워져 있다. 그의 작품은 생명 에너지의 생성, 소멸의 관계성 등 윤회사상에 토대를 두고 있다. 작품에서 일관되게 환기되는 것은 생명의 지속성과 순환성이다.

박소미 작가가 ‘삶을 노래하는 생명력’을 주제로 무등갤러리에서 오는 28일까지 전시를 연다.

화가의 눈과 심상에서 건져올린 봄의 정원은 소중한 생명들로 가득하다. 봄은 모든 유기물이 존재를 알려오는 시간인 만큼, 화폭에서는 생명에 대한 존엄과 그것을 바라보는 작가 특유의 섬세한 감성 등이 느껴진다.

작품 속 무수히 많은 꽃, 오밀조밀한 생명은 일정한 반복과 패턴을 지향하는 듯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것은 규칙을 넘어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한다. 생명이 지닌 에너지가 끊임없이 순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윤병학 미술학 박사에 따르면, 작가가 추구하고자 하는 표현방식은 중첩된 화면구성과 드로잉의 반복이다. 작업의 행위 속에서 생각이나 감정이입, 그리고 흔적의 결과는 드러내고자 하는 핵심 의도이자 시·공의 궤적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박사는 “불교의가르침을 바탕으로 무아와 중도를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신이 행하는 모든 일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한다. 그리고 조화로운 인격이 된다는 확신과 믿음으로 작품을 풀어가는 해법에 접근한다”며 “본인의 내면에 자리한 잡념과 번뇌를 씻어내며 자신과의 싸움을 펼쳐내려 안감힘을 쏟아낸다. 마치 해탈에 이르려는 수행자의 모습처럼 본인을 향한 엄격한 고행의 시간을 축적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평한다.

또한 그의 또 다른 회화적 기법은 “한국적 색채의 번짐 효과와 색채의 조화”를 꼽을 수 있다. 우리 전통의 소담함을 현대적 회화로 구현해 여백의 미를 살렸다는 점이다. 고졸한 조화, 전통의 장식성을 획득한 조형성은 보는 이에게 ‘세련된 전통미’를 느끼게 한다고 부연한다.

한편 박 작가는 “삶과 죽음이라는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문제 역시 자연의 변화 과정으로 이해하며 마삭이라는 소재를 통한 인간의 자유를 향한 의지와 생명력에 이르게 하고 있다”며 “작업은 내 삶을 찾아가고 완성해나가는 여정이다. 그 길에서 자연이 주는 여러 형태들이 언제나 멋진 친구가 되어줄 것이라 믿는다.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기 보다는 언제나 조력자로 다른 이를 빛나게 해주는 마삭이라는 이미지에서 나는 의식의 전환을 통한 끊임없는 변화와 재창조의 힘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동네책방 나들이 시즌2] <3> 담양 ‘수북수북’

요즘 화제인 ‘사랑인줄 알았더니 부정맥’은 일본 노인들이 쓴 짤막한 시 모음집이다. ‘세 시간이나/기다렸다 들은 병명/노환입니다’, ‘젊어 보이시네요/ 그 한마디에 모자 벗을 기회 놓쳤

kwangju.co.kr

 

근로정신대 소녀들의 “아라리요~ 아라리요~” 뭉클

붉은 봉선화가 스크린에 피어 오른다. 한겨울 북풍 한설을 이겨내며 꽃망울을 틔워낸 가녀린 꽃봉오리.식민지 시절 일본으로 강제노역을 떠났던 조선 소녀들의 피멍을 보는 듯하다. ‘나를 건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