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쌍촌동 2층 단독주택 불 20분만에 진화 했지만 숨진채 발견
광주주택 3채중 1채 노후…누전점검 서비스 몰라서 이용못해
광주 지난해 전기 요인 화재 146건…당국, 교육·점검 지원 등 시급
광주시 서구의 노후 주택에서 누전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노부부가 참변을 당했다.
유족에 따르면 43년 전에 지은 주택에 살던 이들 부부는 누전으로 차단기가 번번이 내려갔음에도 가정 형편 때문에 수리를 하지 못했다.
25일 광주서부소방·경찰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20분께 광주시 서구 쌍촌동의 2층 단독주택에서 불이 났다.
불은 불과 20여분만에 꺼졌으나 A(80)씨와 B(여·79)씨 부부가 현관 출입문 앞에서 쓰러진 채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경찰은 이들 부부가 유독가스 때문에 질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불로 주택 1층이 전소돼 소방서 추산 1097만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화인 조사에 나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건물 1층의 방에 걸린 벽걸이형 에어컨에서 누전이 발생해 화재로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가족에 따르면 A씨는 거동이 불편해 20여 년 동안 별다른 소득 활동을 하지 못했으며, B씨도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몸이 불편한데다 소득이 없어 월 70만원 수준의 기초생활수급을 받아 생활했다. 동거 중인 딸 C씨 또한 보증 문제로 재산을 잃는 등 어려운 상황으로, A씨는 넉넉지 않은 형편 때문에 전기 안전점검을 받는 것에도 부담을 느꼈던 것으로 전해졌다.
불이 난 주택은 지난 1981년 지은 노후 주택으로 그동안 수차례 누전차단기가 작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에서는 연평균 180건에 달하는 전기 관련 화재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노후 주택 등에 대한 전기 안전점검이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광주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광주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는 2019년 210건, 2020년 181건, 2021년 198건, 2022년 165건, 2023년 146건이 발생했다.
이 중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는 2019년 5건, 2020년 3건, 2021년 4건, 2022년 3건, 2023년 6건 등이었다.
누전의 주요 원인으로는 전선이나 전기 장치가 노후해 전선 피복이 벗겨지는 게 대표이다. 소방본부는 낡고 전기 안전 관리가 미흡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 국토부 건축물 생애 이력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광주 지역 주거용 건축물(단독주택, 공동주택 등)은 총 15만 4104동이며 이 중 4만 5817동(29.7%)이 3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이다.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등)의 경우 광주에 8만 5107동이 있으며, 이 중 지어진 지 30년 이상 지난 건축물은 4만 4342동(54.1%)에 달한다.
한국전기안전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관계자는 “노후 주택 거주자들이 누전을 알면서도 배선을 교체하는 등 수리·점검에 나서지 않는 사례가 적잖다”고 우려했다.
전기안전 공사에 누전 위험을 진단하는 ‘일반용 전기설비 안전진단’을 요청하는 사례가 월 평균 100여건씩 접수되지만, 이 중 노후 주택 안전점검 신청은 거의 없다시피 하다는 것이다. 신청 건수의 대부분은 어린이집·유치원 등에서 안전진단 증빙자료를 만들기 위해 신청한 것이라고 공사 관계자는 전했다.
안전 불감증도 문제지만 안전 진단을 받으면 해당 주택이 계약한 전력 용량에 따라 수수료를 내야 한다는 점도 안전점검을 꺼리는 이유로 꼽힌다.
전기안전 공사에서 지난 2007년부터 119 무료 응급조치 서비스도 시행 중이나, 이 서비스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나 차상위계층,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에게만 제공되고 있다.
송창영 광주대 건축학부 교수(한국재난안전기술원 이사장)는 “노후 주택은 누전을 비롯해 다양한 재난에 노출돼 있는 더 세심하게 안전 확보 방안을 마련해줘야 한다. 국가와 지자체에서 무상 점검 서비스를 늘리고 전기안전 교육에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오명국 전기안전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점검부 부장도 “누전 상황이 발생하면 공사 또는 한국전기공사협회 등으로 즉시 연락해 안전 진단을 받거나 전류가 새는 곳을 수리해야 한다”며 “누전 차단기가 잘 작동하는지 수시 점검하는 등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전기 화재를 예방해야한다”고 말했다.
/글·사진=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유연재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도에서 승용차가 주유소 담벼락 돌진…70대 운전자 숨져 (1) | 2024.01.30 |
---|---|
“전남 농촌서 유학 해볼까?” 도시 초교생들 눈빛이 반짝반짝 (1) | 2024.01.28 |
광주 서구 단독주택에서 불…노부부 숨져 (1) | 2024.01.25 |
좌판에 막힌 소방로·고장난 비상벨…여전한 화재 위험 (1) | 2024.01.25 |
1415만원짜리 ‘무등산 적설계’ 눈 오니 먹통 (1)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