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광주연구원 함평·무안 여론조사
함평, 찬성이 3.0%P 높아
조사 첫 찬성이 반대 앞질러
무안도 찬·반 오차 범위 근접
광주 군 공항 이전 유력 지역으로 거론되고 있는 무안, 함평 양 지역에서 ‘광주 군 공항 유치의향서 제출’ 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하다는 여론 조사결과가 나왔다.
특히 함평에선 찬성이 반대를 앞질렀는데, 광주 군 공항 이전 관련 여론에서 찬성이 앞선 첫 사례라는 점에서 지지부진한 이전 사업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7일 광주연구원에 따르면 광주연구원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0월 7일부터 10일까지 4일간 함평과 무안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함평 500명, 무안 500명)을 대상으로 광주 군 공항 유치 의향서 제출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은 결과, 함평에서 찬성이 반대보다 3.0%P 높게 나타났다.
찬성 45.9%(적극 찬성 31.1%, 대체로 찬성 14.8%), 반대 42.9%(적극 반대 26.7%, 대체로 반대 16.2%), 모름·무응답 11.2%였다. 찬성 의견은 남성(52.6%)이 여성(39.1%)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18∼30세 미만이 49.4%로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은 44.5%로 가장 낮았다.
무안에서는 반대 47.8%(적극 반대 30.9%, 대체로 반대 16.9%)가 찬성 44.4%(적극 찬성 28.9%, 대체로 찬성 15.5%)보다 많았다. 모름·무응답은 7.8%였다.
역시 남성(53.8%)이 여성(34.9%)보다 찬성 의견이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51.0%)가 가장 높고 40대(38.5%)는 가장 낮았다.
군 공항 유치의향서 제출에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두 지역 모두 지역발전(함평 69.9%·무안 61.8%)을 꼽았다. 생활 기반 및 복지시설 확충(함평 11.8%·무안 14.5%), 상주인구 증가(함평 8.8%·무안 8.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 이유는 소음 피해(함평 59.9%·무안 61.1%), 지역발전 저해(함평 16.6%·무안 20.6%), 환경오염(함평 7.6%·무안 7.5%), 안전 문제(함평 5.5%·무안 5.2%) 등의 순이었다.
이번 여론 조사방법은 유선 전화면접 50%, 자동응답조사(ARS) 50%를 병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이다.
한편 지난 4월 이후 여러 여론조사 추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찬성 의견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광주연구원은 설명했다.
실제 광주연구원 의뢰로 지난달 2∼5일 이뤄진 여론조사에서 함평은 반대 45.1%, 찬성 42.5%, 모름·무응답 12.4%였다. 무안에서는 반대 56.0%, 찬성 37.1%, 모름·무응답 6.9%로 반대가 압도적이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특히 함평에선 찬성이 반대를 앞질렀는데, 광주 군 공항 이전 관련 여론에서 찬성이 앞선 첫 사례라는 점에서 지지부진한 이전 사업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7일 광주연구원에 따르면 광주연구원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0월 7일부터 10일까지 4일간 함평과 무안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함평 500명, 무안 500명)을 대상으로 광주 군 공항 유치 의향서 제출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은 결과, 함평에서 찬성이 반대보다 3.0%P 높게 나타났다.
찬성 45.9%(적극 찬성 31.1%, 대체로 찬성 14.8%), 반대 42.9%(적극 반대 26.7%, 대체로 반대 16.2%), 모름·무응답 11.2%였다. 찬성 의견은 남성(52.6%)이 여성(39.1%)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18∼30세 미만이 49.4%로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은 44.5%로 가장 낮았다.
무안에서는 반대 47.8%(적극 반대 30.9%, 대체로 반대 16.9%)가 찬성 44.4%(적극 찬성 28.9%, 대체로 찬성 15.5%)보다 많았다. 모름·무응답은 7.8%였다.
역시 남성(53.8%)이 여성(34.9%)보다 찬성 의견이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51.0%)가 가장 높고 40대(38.5%)는 가장 낮았다.
군 공항 유치의향서 제출에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두 지역 모두 지역발전(함평 69.9%·무안 61.8%)을 꼽았다. 생활 기반 및 복지시설 확충(함평 11.8%·무안 14.5%), 상주인구 증가(함평 8.8%·무안 8.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 이유는 소음 피해(함평 59.9%·무안 61.1%), 지역발전 저해(함평 16.6%·무안 20.6%), 환경오염(함평 7.6%·무안 7.5%), 안전 문제(함평 5.5%·무안 5.2%) 등의 순이었다.
이번 여론 조사방법은 유선 전화면접 50%, 자동응답조사(ARS) 50%를 병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이다.
한편 지난 4월 이후 여러 여론조사 추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찬성 의견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광주연구원은 설명했다.
실제 광주연구원 의뢰로 지난달 2∼5일 이뤄진 여론조사에서 함평은 반대 45.1%, 찬성 42.5%, 모름·무응답 12.4%였다. 무안에서는 반대 56.0%, 찬성 37.1%, 모름·무응답 6.9%로 반대가 압도적이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시 한 해 용역비만 585억원…심의서 부결 잦아”
광주시가 발주하는 무분별한 용역 관행이 도마에 올랐다. 광주시의회 심창욱(민주·북구 5) 의원은 17일 광주시에 대한 시정질문을 통해 “광주시가 발주하는 용역이 발주부터 심의 계약 수행,
kwangju.co.kr
728x90
반응형
'박진표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시, 내년부터 어린이 시내버스·지하철 무료화 추진한다 (1) | 2023.10.23 |
---|---|
정당 현수막 주말에만 5000장 철거 (1) | 2023.10.23 |
광주 신양파크 부지에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들어서나 (1) | 2023.10.17 |
광주 어등산 개발 ‘스타필드’ 제안 신세계 단독 응모 (1) | 2023.10.15 |
광주시 “정율성 사업 위법사항 없다”… 보훈부 권고 불수용 (0)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