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40주년 맞아 곳곳서 전시회
‘광장: Beyond The Movement’
‘오월, 별이 된 들꽃’ 문화전당서 열려
오월미술관, 광주정신 체험
‘누군가는 거기 없었다’ 전시
은암미술관 ‘민중畵, 민주花’
‘강연균의 하늘과 땅 사이 5’전
‘5월 광주 항쟁’은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예술장르로 구현돼 왔다. 무엇보다 시각예술 장르는 강렬한 이미지를 앞세워 다채로운 작품들을 쏟아내왔다. 40년 세월 동안 오월미술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그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전시회가 관람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올해는 5·18 40주년이라는 특별한 해를 맞아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작품 등을 준비했지만 코로나 19여파로 무대 예술 등의 경우 대부분 시민들을 만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번 전시회들이 더욱 귀하게 다가온다,
광주 오월의 역사적 현장인 ‘옛 전남도청’에서 시작하는 ‘오월 미술 기행’을 통해 1980년과 2020년을 잇고, 미래로 나아가 보자. 소개하는 전시가 열리는 공간은 모두 도보로 이동하면서 만날 수 있다.
출발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창조원 1관에서 열리는 ‘인터랙션 미디어아트 ‘광장: Beyond The Movement’전(7월12일까지)이다. 거꾸로 돌아가는 시계가 걸린 입구를 지나 전시장으로 안으로 들어서면 현재를 뛰어넘어 1980년으로 이동하는 기분이 든다. 5·18 민주광장을 모티브로 당시와 현재의 기억을 재해석해 과거의 상처와 갈등의 치유하고 화해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유재헌 작가의 ‘웜홀’과 정해운 작가의 ‘Circle of Cure’가 어우러진 10여분 분량의 작품을 통해 40년의 세월을 건너 뛴다. 암전 후, 둥근 라이트가 하나둘 켜지고 하강과 상승을 거듭하며 움직이기 시작한다. 분수대 모형 위로 쏟아지는 빛의 조각들과 거대한 규모의 전시장 바닥으로 쏟아져내리는 화려한 꽃잎 문양의 영상과 웅장한 음악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장면은 감동을 전한다. 빈백에 편안하게 앉아 감상해도 좋고, 광장을 거닐 듯 전시장을 걸으며 나에 반응하는 빛과 꽃잎을 만나도 좋다.
전당이 기획한 전시는 두 가지가 더 있다. 5·18 시민군 출신으로 유엔 등에서 전시회를 가진 김근태 작가의 ‘오월, 별이 된 들꽃’전(6월21일까지)은 오월 항쟁에 참여한 광주시민을 표현한 토우 1000인, 한지로 만든 1000인 등 2000개의 군상을 전시하고 있다. 또 류블랴나 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과 협업한 ‘연대의 홀씨’전(10월25일까지)도 만날 수 있다.
3부로 구성된 ‘직시, 역사와 대면하다’전은 ‘오월 예술’을 대표해온 광주민족미술인협회의 ‘오월전’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해 ‘오월미술제’로 확대해 3부로 기획한 이번 전시는지금까지 오월전에 참여하지 않았던 작가들의 5월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점이 인상적이며 무엇보다 젊은 작가들의 참여가 눈에 띈다.
전당 창조원 복합 6관에서 만나는 ‘직시’ 3부는 ‘지금 여기, 경계 너머’전(24일까지)에는 강운·김화순·박화연·송필용·임남진·위재환·조은솔·조정태·오월안부프로젝트(김자이·김지현) 등이 참여해 오월을 기억하고 애도하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새로운 세계의 출발을 염원하는 마음을 담은 작품들을 출품했다.
문화전당어린이문화원 맞은편에는 바로 며칠 전 문을 연 ‘오월미술관’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서 열리는 ‘누군가는 거기 없었다’전(6월16일까지)은 광주 항쟁과 광주 정신을 잇는 작업은 현재도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음을 보여주는 전시다. 이사범·송필용·박태규·하성흡·이기원·김광례·최요안·정영창·김상집·박기태·최진우 등 12명의 작가 작품이 전시됐으며 오월미술운동 자료들도 만날 수 있다.
예술의 거리에서는 다채로운 전시가 이어진다. 미로센터 무등갤러리에서 열리는, ‘직시’의 2부격인 ‘현재 속에 살아 있는 오월’전(19일까지)에는 김현돈·노여운·박일구·박태규·설박·윤준형·정희승·최요안·허달용·마니 몬텔리바조 등이 참여했다.
은암미술관에서 열리는 ‘민중畵, 민주花’(18일까지)전은 녹두서점을 운영했던 김상윤 윤상원기념사업회 고문 소장품으로 꾸민 ‘광주민중미술전’이라 할만하다. 전시작은 1981년부터 2000년까지 제작된, 8명의 작가의 25점을 김 고문이 가려 뽑았다. 송필용의 ‘남녘의 땅’, 이준석의 ‘화엄광주’, 힌희원의 ‘별 내리는 신창동’을 비롯해 신창훈·이준석·하성흡·박문종·정희승 서미라 작가의 작품도 걸렸다. 오는 29일부터는 소장전 2부가 열릴 예정이다.
전남여고 앞 ‘예술공간 집’에서 열리고 있는 ‘강연균의 하늘과 땅 사이 5’(24일까지)전은 강 화백이 24년만에 꺼내놓은 ‘오월 작품’이다. 늘 마음 속에 품고 있었던 1980년 오월 이야기를 지난해 목탄화로 그려낸 7점과 ‘장군의 초상’ 등은 강렬한 ‘회화의 힘’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흥건한 피가 고인 시민군의 헬멧과 먹다 남은 빵조각, 충장로 광주우체국 앞 우체통의 총탄 흔적, 자택이 있던 신우아파트에서 리어카에 시체를 끌고 가는 두 사람의 모습 등이 모두 작품에 담겼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
'김미은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시선…기억을 공유하고 오월을 담아내다 (0) | 2020.05.24 |
---|---|
“오랜만의 미술관 나들이 즐겁네요” (0) | 2020.05.20 |
광주비엔날레, 작가 현지 리서치·작품 운송 등 고려 연기 결정 (0) | 2020.05.11 |
문화예술기관 운영 재개…어떤 작품으로 관객 만날까 (0) | 2020.05.06 |
“40년간 하루도 잊은적 없는 장면 목탄으로 그렸죠” (0) | 2020.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