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암댐9

주암댐·동복댐 저수율 20% 아래로 ‘뚝’ 광주 14년 만에 최악의 가뭄 5월부터 제한급수 불가피 시민 수돗물 20% 절약 운동 “절수형 변기 교체 강제” 의견도 최악의 가뭄을 맞고 있는 광주·전남에 오랜만에 봄을 재촉하는 단비가 내렸지만, 광주시민의 식수원인 주암댐에 이어 동복댐 저수율마저 마(魔)의 20% 아래로 추락했다. 동북댐이 저수율을 10%대를 기록한 것은 2009년 이후 14년 만으로, 큰 비가 내리지 않는다면 오는 5월 말께부터 제한급수가 현실화될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온다. 광주시는 3급수인 영산강 물을 식수로 끌어쓰고 시민에게 생활 속 물 절약 실천을 호소하고 있지만, 더위가 본격화하고 물 사용량이 많은 봄 시즌이 겹침에 따라 제한급수를 막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시적으로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2023. 3. 13.
보성강댐 물 주암댐으로 보내 광주·전남 식수난 ‘숨통’ 튼다 가뭄 해소까지 수력발전 중단 생활·공업용수로 활용하기로 손실보전금은 한수원이 지급 광주·전남지역의 기록적인 겨울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 최초 수력발전용 댐인 보성강댐 물을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로 전환해 활용하게 된다. 현 추세로 가뭄이 진행되면 내년 상반기에 제한급수는 물론 내년 홍수기 전 광주·전남의 생활·공업용수를 대는 댐들이 모두 말라버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보성강댐 물을 생활용수와 공업용수 등으로 사용하게 되면 극심한 가뭄에 따른 용수 부족에 일부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광주·전남 상수원인 주암댐 상류에 있는 보성강댐 발전을 중단하고, 보성강댐 용수를 생활·공업용수로 활용할 계획이다. 지난 7월19일부터 보성강댐의 발전용수 중 일부를 주암댐으로 흘.. 2022. 12. 28.
장마 끝났지만…가뭄 계속된다 댐 저수량 턱없이 부족…영산강환경청 오늘 긴급대책회의 당국 “앞으로 200∼400㎜ 내려야 댐 수위 등 정상 회복” 장마가 끝나가는데도 계속되는 가뭄에 관계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댐 가뭄 기준인 ‘댐 용수공급 조정 기준’이 마련된 2013년 이후 주암다목적댐에 처음으로 가뭄 대응단계 중 세번째 심각단계인 ‘경계’가 내려졌기 때문이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지역내 가뭄이 심화됨에 따라 22일 오전 영산강유역환경청 대회의실에서 극한가뭄 대비를 위한 관계기관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환경청, 관련 지자체, K-water 영·섬유역본부, 영산강홍수통제소 등 가뭄대응 관련 기관이 참여한다. 현재 광주시와 순천·나주·목포·화순·영광·함평·고흥·광양·보성·여수·담양·장성 등에 생활용수를 제공하는 .. 2022. 7. 21.
주암댐·평림댐 이달 중 가뭄 ‘관심’ 단계 진입 한국수자원공사 영·섬유역본부는 순천 주암댐과 장성 평림댐이 이달 중 가뭄단계 ‘관심’ 수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13일 오전 7시 현재 다목적댐인 주암댐의 저수율은 28%, 용수댐인 평림댐은 46%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예년 저수율 대비 주암댐 73%, 평림댐 94% 수준이다. 영·섬유역 다목적댐 저수율은 섬진강댐 30%, 주암댐 28%, 부안댐 71%, 장흥댐 45%로 집계됐다. 용수댐인 광양 수어댐 저수율은 40%, 평림댐은 46% 수준이다. 이들 댐 저수율은 평년과 비교해보면 섬진강댐 80%, 주암댐 73%, 부안댐 133%, 장흥댐 103%, 수어댐 76%, 평림댐 94% 등 수준이다. 가뭄단계 진입기준인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비춰보면 평림댐과 주암댐은 이달 중 .. 2022. 6.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