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암댐9

광주·전남 ‘물폭탄’ 대비 ‘물그릇’ 만든다 올 여름 강수량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 40%동복댐 등 가뭄 수준으로 방류…수원지도 저수율 낮춰6일 무등산자락에 자리잡은 광주시 북구 청풍동 제4수원지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상수원보호구역에서 해제된 4수원지는 190만t의 물이 차있어야 하지만, 지난 4월부터 광주천으로 물을 쏟아내고 있다.올여름 집중호우가 예상돼 폭우시 빗물을 담을 그릇으로 사용하기 위해 미리 물을 빼 놓는 작업이다.광주·전남의 지자체 등이 ‘물그릇 만들기 대작전’을 진행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K-water) 영산강·섬진강유역본부(영·섬본부)는 동복댐(화순)과 주암댐(순천), 장흥댐(장흥)에서 물을 빼내고 있다. 이 댐들은 광주·전남 지역의 상수원이다.광주·전남 관계기관이 참여해 ‘댐·보 등의 연계운영협의회’에 .. 2024. 6. 8.
광주·전남 ‘큰 비’ … 물걱정 끝났다 동복댐·주암댐 저수율 30% 돌파 비 한 방울 안 내려도 9개월 버텨 광주·전남지역에 5월 첫 연휴 동안 많은 비가 쏟아지면서, 반 세기만에 찾아온 최악의 가뭄에서도 벗어났다.시민들이 지금처럼만 절수운동에 동참해 준다면, 일단 올해에는 제한급수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게 광주시의 설명이다. 7일 광주시상수도사업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3일부터 닷새간 광주·전남지역 누적 강수량은 장흥 관산 344㎜를 최고로 고흥 나로도 343.5㎜, 해남 북이리 336.5㎜, 완도 보길도 291.5㎜, 광주 광산 174㎜ 등을 기록했다. 빗물 유입에 따라 10~20%대를 오가던 광주시 식수원인 동복댐과 주암댐의 저수율도 이날 오전 11시 기준 각각 35.1%, 30.1%를 기록 중이다. 이번 비가 내리기 직전 동복댐과 .. 2023. 5. 8.
광주, 제한급수 위기 넘겼다 동복댐 저수율 20%대 회복 장마 시즌 8월까지 급수 가능 광주시 대체 수원 확보 등 효과 4월 수돗물 절감률 10%대 시민 절수운동 실천 계속해야 광주시와 시민이 한데 뭉쳐 30여 년만에 찾아온 제한급수 위기를 넘길 수 있게 됐다. 광주시의 다양한 상수원 확보 노력과 함께, 위기 때마다 연대정신을 발휘해 온 광주시민의 DNA가 ‘극한 절수운동’으로 이어지면서 8월까지 비가 내리지 않더라도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량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12일 광주시와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한때 10%대로 떨어졌던 주요 식수원인 동복댐과 주암대의 저수율이 각각 22.34%, 22.38%까지 올라왔다. 저수율이 7% 이하로 떨어지면 제한급수 대상이 되는데, 하루 평균 0.1% 정도씩 저수율이 감소하고 있는 점을 감안.. 2023. 4. 13.
광주시, 농업용수까지 끌어다 쓴다 주암댐·동복댐 저수율 20% 아래로…제한급수 초읽기 시, 식수원 확보 총력…장성·담양호 농업용수 활용 협의 광주시가 식수원인 주암댐과 동복댐 저수율이 20% 아래로 떨어짐에 따라 농업용수까지 끌어다 쓰기로 하는 등 추가 식수원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대로 비가 내리지 않고, 대시민 절수운동도 효과를 내지 못한다면 오는 5월께 제한급수가 불가피하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장성호, 담양호 농업용수를 수돗물로 활용하는 방안을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촌공사와 협의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저수율이 여유로운 농업용 저수지에서 하루 1만∼2만t을 끌어 쓰겠다는 구상이다. 광주시는 지난달부터 영산강 물 하루 3만t을 수돗물로 공급한 데 이어 이번달에는 5만t으로 수량을 늘릴 계획이다. 광주시는.. 2023. 3.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