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찬일의밥 먹고 합시다8

[박찬일의 ‘밥 먹고 합시다’] 이탈리아 사람을 화나게 하는 방법 ‘이탈리아 사람을 화나게 하는 방법.’ 이런 제목의 인터넷 ‘짤’이 돈다. 내용은 이렇다. “1. 파인애플을 올린 피자를 이탈리아인에게 내밀자, 그가 분노하는 모습.” “2. 아이스 아메리카노 앞에서 이탈리아인이 화내는 모습. 또 다른 건 한국의 한 카페 메뉴인데 ‘Non Coffee’라는 항목의 메뉴에 주스류와 함께 아메리카노를 써 놓은 사진.” 이 사진을 본 사람들 반응은 여러 갈래다. 일단은 재미있게 보았다고 느낀다. 음, 이탈리아인은 이런 메뉴를 싫어하나봐. 하나 알게 되었어. 흥미로운걸. 이 정도의 반응이 제일 많다. 하지만 저렇게까지 화를 낼 일인가 하고 의아해 하는 사람도 많다. 교조적인 게 아니냐, 음식이 다른 나라에 가면 변할 수도 있지 화를 내는 건 뭐냐. 나아가서, 귤이 회수를 건너 .. 2022. 9. 24.
[박찬일의 ‘밥 먹고 합시다’] 삼겹살은 왜 지역성이 없는가 우리 문학사의 기념비적인 작품 ‘북간도’를 쓴 안수길(1911~1977) 선생은 실제로 일제강점기에 만주에서 살았다. 그 시절 경험을 토대로 쓴 것이 ‘북간도’를 비롯한 여러 소설이다. 우리 민족의 북간도 이주는 일제강점기 타의에 의한 성격이 강했다. 조선시대 초기 이후로 사실상 국경이 정해지면서 만주는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활동 무대로부터 멀어졌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농민들은 물론 다수의 상인과 여러 직업인들이 만주를 거쳐 갔다. 일제가 세운 괴뢰정권 ‘만주국’은 결국 붕괴되었지만, 만주는 당시 우리 민족과 여러 의미로 깊은 관계를 맺게 되었다. 당시 만주에 남은 많은 동포들이 1949년 중국 공산정권이 수립된 이후에도 살아왔고, 이들이 근래 40년 정도 이어진 한-중 교류사의 주인공인 조선족으로 등.. 2021. 12. 19.
[박찬일의 ‘밥 먹고 합시다’]비빔밥을 다시 본다 익산에 갔다. 호남의 관문, 한때 번성했던 상업도시. 고속열차 정차 역으로 지역 교통의 중핵이 된 곳이기도 하다. 명물 음식은 많고 많지만 황등비빔밥을 뺄 수 없다. 육회를 얹는 독특한 맛이 전국적 인기를 얻고 있으니 말이다. 서울에선 오랫동안 비빔밥 문화가 있었다. 60년대 언론 기사를 보면, 비빔밥을 메뉴로 내는 식당이 많았다. 내가 직장생활 시작하던 90년대도 대중식사로 비빔밥은 아주 흔했다. 온갖 외래 메뉴와 창작 메뉴, 각 지역 음식의 각축장이 된 최근의 서울에서는 비빔밥이 왜소해졌다. 일부러 찾아가지 않으면 먹기 힘들다. 몇 가지 나물과 계란, 공장제 고추장과 참기름이면 한 그릇 뚝딱하던 시중 비빔밥이 고전 중이다. 비빔밥은 매우 한국적인 음식이다. 아시아권에서도 비빔밥은 독보적이다. 중국 문.. 2021. 11. 20.
[박찬일의 ‘밥 먹고 합시다’] 중국집에도 지역성이 있다 몇 해 전이던가, 코로나도 들기 전의 시절이다. 광주에 볼일이 있어서 송정역에 내렸는데, 지하철에 김밥 프랜차이즈 광고가 크게 붙어 있었다. 이 도시를 찾는 외지 사람들이 대개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호남에 가면 음식에 대한 생각으로 머릿속의 절반쯤이 늘 가득 차곤 한다. 점심과 저녁은 어디서 맛있게 먹을까, 혼자 가서도 상을 받을 수 있을까 같은 기대감에 부푼다. 더러는 비판적 생각도 한다. 호남이라고 어디서 재료를 거저 가져오진 않을 텐데 반찬 가짓수가 너무 많은 건 아닐까, 저렇게 해서도 남을까. 어찌 됐거나 음식에 대한 상념이 치솟는 곳이 호남이다. 내게는 특히. 그런 도시에 도착하자마자 김밥 프랜차이즈 광고가 눈에 들어와서 마음이 복잡해졌던 것이다. 하기야 김밥 같은 ‘패스트푸드’는 프랜차이.. 2021. 10.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