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풀뿌리 민주주의·교육 백년 대계
유권자 소중한 한 표에 달려
깐깐하게 따져보고 제대로 투표를
민주당 싹쓸이냐 무소속 돌풍이냐
국힘·진보정당 선전 여부도 관심
6월 1일은 ‘지역 일꾼’을 뽑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일이다. 지역민 삶의 질과 지역 발전을 이끌어갈 지역 일꾼들을 우리 손으로 뽑는 날이다. 이날 선거는 앞으로 4년, 더 나아가 광주·전남의 미래 발전과 자녀 교육을 좌우할 수 있는 일꾼들을 선택해야 하는 만큼 유권자의 중요한 책임이자 의무이다.
하지만, 광주지역 사전투표율이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칠 정도로 낮은데다, 전남의 경우도 4년 전 지방선거에 비해 낮아 전반적으로 투표율이 저조할까 우려된다.
지난 24·25일 치러진 사전투표에서 광주는 17.28%로, 전국 평균(20.62%)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저조했다. 전남은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돌며 전국 최고치인 31.04%를 기록했지만, 4년 전 지방선거 사전투표율(31.73%)에 비해서는 조금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는 사전투표율이 역대 최대로 높았지만, 광주·전남지역의 사전투표율이 4년 전 지방선거에 비해 저조한 것은 지방정치에 무관심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방권력을 독점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의 끊임없는 ‘공천 잡음’과 탈당·무소속 출마를 반복하는 정치인들, 그리고 민주당의 대선 패배 이후 한 달도 안돼 치러지는 선거인 만큼 정치 혐오와 냉소 분위기가 더욱 커졌을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후보 경쟁률도 떨어지고, 무투표 당선이 속출하면서 유권자의 선택 폭이 좁아진 것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올해로 8번째 지방선거를 치르면서 그동안 쉽게 바뀌지 않는 거대 정당들의 지방권력 독점과 ‘독점 정치’ 역학 관계 속에 나온 사람만 나오는 ‘회전문 선거’ 등도 유권자들이 지방선거를 외면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지방선거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이다. 풀뿌리 민주주의는 주민자치로부터 나온다.
주민들이 지역 일꾼을 뽑고, 그들을 통해 지역의 미래발전과 주민들의 행복한 삶을 꿈꿀 수 있다. 대통령·국회의원 선거와 달리 우리 일상과 밀접한 지방자치를 이끌고 지역살림을 책임지는 인물을 뽑는 만큼 우리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당선된 광역·기초단체장·교육감은 공무원의 인사권과 예산편성·집행권, 인허가권 등 막강한 지방정부의 권한을 갖고 있어 이들의 결정에 따라 지역의 흥망과 쇠퇴가 갈릴 수 있다.
이중 광역·기초의원들은 주민들을 대표해 이들 단체장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데 이들이 자치단체장들의 눈치만 보면서 ‘거수기’ 역할만 한다면 지방자치는 퇴행을 거듭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유권자들의 소중한 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큰 관심을 끌지는 못했지만, 교육감 선거도 마찬가지다. 우리 자녀들의 미래와 백년지대계 교육을 위해 신중하게 표를 던져야 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광주·전남의 최대 관심사는 그동안 지방권력을 장악해온 민주당의 싹쓸이냐, 아니면 무소속 후보들의 돌풍이 몰아칠 것인가이다. 또한, 이번 대선에서 정권을 차지한 국민의힘이 그동안 불모지였던 광주·전남에 지방정치의 뿌리를 내릴 수 있느냐, 정의당과 진보당이 거대 정당의 틈바구니에서 일궈놓은 풀뿌리 지방정치를 이어가느냐도 관전포인트였다.
결과는 이제 유권자들의 손에 달렸다. 학연·지연·혈연·정에 얽힌 ‘묻지마 투표’가 아니라 정당은 물론 후보들의 이력과 전과 등 인물 됨됨이를 포함한 공약, 지역발전에 비전이 있는 지 여부 등을 깐깐하게 따진 뒤 제대로 된 후보에게 표를 줘야 한다. 중앙 정치의 구호에 휘둘려 같은 색, 같은 번호에 무작정 기표하지 말고 지역을 위해 봉사할 각오가 돼 있는 좋은 일꾼을 골라야 한다. 중앙 정치에 매몰되기 보다 ‘풀뿌리 민주주의’라는 지방자치의 원래 취지를 살리고, 거대 정당이 지역 주민을 무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이번 선거에서 이뤄야 할 목표다. 아울러 막강한 권한을 가진 단체장을 잘 견제하고 감시할 수 있는 책임감 있고, 역량있는 지방의원들을 잘 뽑는 것도 유권자들의 의무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하지만, 광주지역 사전투표율이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칠 정도로 낮은데다, 전남의 경우도 4년 전 지방선거에 비해 낮아 전반적으로 투표율이 저조할까 우려된다.
지난 24·25일 치러진 사전투표에서 광주는 17.28%로, 전국 평균(20.62%)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저조했다. 전남은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돌며 전국 최고치인 31.04%를 기록했지만, 4년 전 지방선거 사전투표율(31.73%)에 비해서는 조금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는 사전투표율이 역대 최대로 높았지만, 광주·전남지역의 사전투표율이 4년 전 지방선거에 비해 저조한 것은 지방정치에 무관심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방권력을 독점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의 끊임없는 ‘공천 잡음’과 탈당·무소속 출마를 반복하는 정치인들, 그리고 민주당의 대선 패배 이후 한 달도 안돼 치러지는 선거인 만큼 정치 혐오와 냉소 분위기가 더욱 커졌을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후보 경쟁률도 떨어지고, 무투표 당선이 속출하면서 유권자의 선택 폭이 좁아진 것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올해로 8번째 지방선거를 치르면서 그동안 쉽게 바뀌지 않는 거대 정당들의 지방권력 독점과 ‘독점 정치’ 역학 관계 속에 나온 사람만 나오는 ‘회전문 선거’ 등도 유권자들이 지방선거를 외면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지방선거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이다. 풀뿌리 민주주의는 주민자치로부터 나온다.
주민들이 지역 일꾼을 뽑고, 그들을 통해 지역의 미래발전과 주민들의 행복한 삶을 꿈꿀 수 있다. 대통령·국회의원 선거와 달리 우리 일상과 밀접한 지방자치를 이끌고 지역살림을 책임지는 인물을 뽑는 만큼 우리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당선된 광역·기초단체장·교육감은 공무원의 인사권과 예산편성·집행권, 인허가권 등 막강한 지방정부의 권한을 갖고 있어 이들의 결정에 따라 지역의 흥망과 쇠퇴가 갈릴 수 있다.
이중 광역·기초의원들은 주민들을 대표해 이들 단체장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데 이들이 자치단체장들의 눈치만 보면서 ‘거수기’ 역할만 한다면 지방자치는 퇴행을 거듭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유권자들의 소중한 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큰 관심을 끌지는 못했지만, 교육감 선거도 마찬가지다. 우리 자녀들의 미래와 백년지대계 교육을 위해 신중하게 표를 던져야 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광주·전남의 최대 관심사는 그동안 지방권력을 장악해온 민주당의 싹쓸이냐, 아니면 무소속 후보들의 돌풍이 몰아칠 것인가이다. 또한, 이번 대선에서 정권을 차지한 국민의힘이 그동안 불모지였던 광주·전남에 지방정치의 뿌리를 내릴 수 있느냐, 정의당과 진보당이 거대 정당의 틈바구니에서 일궈놓은 풀뿌리 지방정치를 이어가느냐도 관전포인트였다.
결과는 이제 유권자들의 손에 달렸다. 학연·지연·혈연·정에 얽힌 ‘묻지마 투표’가 아니라 정당은 물론 후보들의 이력과 전과 등 인물 됨됨이를 포함한 공약, 지역발전에 비전이 있는 지 여부 등을 깐깐하게 따진 뒤 제대로 된 후보에게 표를 줘야 한다. 중앙 정치의 구호에 휘둘려 같은 색, 같은 번호에 무작정 기표하지 말고 지역을 위해 봉사할 각오가 돼 있는 좋은 일꾼을 골라야 한다. 중앙 정치에 매몰되기 보다 ‘풀뿌리 민주주의’라는 지방자치의 원래 취지를 살리고, 거대 정당이 지역 주민을 무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이번 선거에서 이뤄야 할 목표다. 아울러 막강한 권한을 가진 단체장을 잘 견제하고 감시할 수 있는 책임감 있고, 역량있는 지방의원들을 잘 뽑는 것도 유권자들의 의무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728x90
반응형
'최권일기자(정치 라운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투표율 전국 꼴찌 역대 최저기록 배경은? (0) | 2022.06.02 |
---|---|
광주, 전국 최저 투표율 속 민주당 단체장 싹쓸이 (0) | 2022.06.02 |
여야, 지방선거 막판 총력 유세전 (0) | 2022.05.31 |
광주 남구 마을주민단체 “기초의원이라도 우리 손으로” (0) | 2022.05.29 |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기선 잡기’ 총력 (0) | 202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