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코로나·환절기에 고령자 사망 늘어
화장터 구하려면 번호표 받아야
광주 지역 많게는 7일장도 치러
화장장 부족에 장례식장도 불만
“4일장이 뭐에요. 요즘은 7일장 치르시는 유가족 분들도 있는 걸요. 화장(火葬)터를 구하려면 줄서서 번호표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에요.”
‘3일장’<광주일보 3월 3일 6면〉이 사라지고 있다. 아예 국민장·사회장의 경우 치러지는 5일장을 넘는 경우도 속출하는 등 유족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와 환절기를 맞아 고령 사망자가 늘어났지만 화장터 구하기가 어려워진 데 따른 것으로, 광주시가 확대 방안 등을 마련했지만 당장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유족들은 원하지 않게 오랜 기간 장례를 치르는 유족들은 유족대로, 더 이상의 장례 일정을 잡을 수 있는 장례식장은 장례식장대로 불만을 터트리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15일 광주지역 장례업계에 따르면 최근 빈소를 마련한 지역민들 대다수가 6일, 많게는 7일장을 치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 가장 일반적 장례인 3일장은 찾아보기 힘든 형편이다.
광주시 서구 매월동에서 장례식장을 운영하는 A씨는 “불과 2주 전만 하더라도 화장터 예약이 어렵긴 했지만 이렇게 오래 걸리지 않았다”며 “최근에 빈소를 마련한 가족은 기본적으로 4일장을 치른다. 아예 시신을 6~7일간 안치한 뒤 발인 하는 경우도 많다. 사실상 7일장을 치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인 3일장이 최대 7일까지 늘어난 이유는 화장터를 구할 수 없어서다. 광주의 경우 광주도시공사 산하 영락공원 한 곳에서 하루 최대 36명만 화장이 가능하다. 화장터가 포화에 이르자 일부 시민들은 광주를 벗어나 목포 등 인근 화장터까지 옮겨가비싼 화장비를 내고 이용하는 실정이지만 이마저도 예약이 쉽지 않다는 게 장례식장 관계자들 설명이다.
당장, 이날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화장예약신청 사이트인 ‘e-하늘 장사’를 확인한 결과, 광주지역 유일한 화장터인 영락공원의 화장예약은 오는 18일까지 가득 찬 상태다. 목포지역 화장터도 19일까지 마감된 상태다. 가족의 죽음을 맞은 유족들이 화장장을 구할 수조차 없게 된 셈이다.
화장터 부족은 유족들 부담으로 이어진다. 빈소를 차린 일수가 늘어나면서 장례비용은 자연스레 증가한다. 화장터를 구하기 위해 타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따른 화장 비용도 최대 10배까지 늘어난다.
최근 아버지 장례를 치렀다는 B씨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7일 동안 장례식장 시신 안치실에 아버지를 모셔놓고 있으니 불효자가 된 것만 같은 기분이었다”며 “영락공원은 국가보훈·공헌자의 화장비용 뿐 아니라 이들 배우자 화장비용을 면제해줘 찾는 이들이 많다보니 더 어렵다”고 말했다.
광주 영락공원 화장자 가운데 40%가 타지역 연고자로, 이들 대부분이 화장비용 면제 대상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장례업계도 당혹스럽긴 비슷하다. 빈소를 마련하는 기간이 늘어난다고 조문객 수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장례음식 등으로 수익을 내는 장례식장도 손해라는 것이다.
장례식장 운영자 A씨는 “빈소 11곳이 꽉 차 있다. 장례식장은 회전율이 좋아야 하는데, 발인을 못한 유족들이 빈소를 오래 마련마련하면서 새로운 유족들을 받지 못해 장례식장 입장에서도 손해가 크다”고 푸념했다. 광주시와 영락공원 등에는 이같은 불편사항이 쏟아지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도 지난 8일 “화장로 가동시간을 연장하고 화장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는 등 시설 가동률을 확대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며 “화장시설을 증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주일이 넘도록 현장에서 개선 방안이 즉각 시행되지 않으면서 시민 불편은 이어졌다. 광주시는 15일 오후에서야 영락공원 화장로 가동 확대 방안을 재차 밝혔다.
광주시는 오후 3시에 끝나던 화장터 가동 시간을 오후 5시까지 늘려 화장로 가동 횟수를 10차례 확대, 기존 36차례에서 46차례까지 늘리기로 했다.
한 장례식장 운영자는 “장례업계가 광주시에 여러차례 민원을 넣었는데 이제서야 대책을 마련했다”면서 “신속하게 문제가 해결되기까지에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3일장’<광주일보 3월 3일 6면〉이 사라지고 있다. 아예 국민장·사회장의 경우 치러지는 5일장을 넘는 경우도 속출하는 등 유족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와 환절기를 맞아 고령 사망자가 늘어났지만 화장터 구하기가 어려워진 데 따른 것으로, 광주시가 확대 방안 등을 마련했지만 당장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유족들은 원하지 않게 오랜 기간 장례를 치르는 유족들은 유족대로, 더 이상의 장례 일정을 잡을 수 있는 장례식장은 장례식장대로 불만을 터트리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15일 광주지역 장례업계에 따르면 최근 빈소를 마련한 지역민들 대다수가 6일, 많게는 7일장을 치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 가장 일반적 장례인 3일장은 찾아보기 힘든 형편이다.
광주시 서구 매월동에서 장례식장을 운영하는 A씨는 “불과 2주 전만 하더라도 화장터 예약이 어렵긴 했지만 이렇게 오래 걸리지 않았다”며 “최근에 빈소를 마련한 가족은 기본적으로 4일장을 치른다. 아예 시신을 6~7일간 안치한 뒤 발인 하는 경우도 많다. 사실상 7일장을 치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인 3일장이 최대 7일까지 늘어난 이유는 화장터를 구할 수 없어서다. 광주의 경우 광주도시공사 산하 영락공원 한 곳에서 하루 최대 36명만 화장이 가능하다. 화장터가 포화에 이르자 일부 시민들은 광주를 벗어나 목포 등 인근 화장터까지 옮겨가비싼 화장비를 내고 이용하는 실정이지만 이마저도 예약이 쉽지 않다는 게 장례식장 관계자들 설명이다.
당장, 이날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화장예약신청 사이트인 ‘e-하늘 장사’를 확인한 결과, 광주지역 유일한 화장터인 영락공원의 화장예약은 오는 18일까지 가득 찬 상태다. 목포지역 화장터도 19일까지 마감된 상태다. 가족의 죽음을 맞은 유족들이 화장장을 구할 수조차 없게 된 셈이다.
화장터 부족은 유족들 부담으로 이어진다. 빈소를 차린 일수가 늘어나면서 장례비용은 자연스레 증가한다. 화장터를 구하기 위해 타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따른 화장 비용도 최대 10배까지 늘어난다.
최근 아버지 장례를 치렀다는 B씨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7일 동안 장례식장 시신 안치실에 아버지를 모셔놓고 있으니 불효자가 된 것만 같은 기분이었다”며 “영락공원은 국가보훈·공헌자의 화장비용 뿐 아니라 이들 배우자 화장비용을 면제해줘 찾는 이들이 많다보니 더 어렵다”고 말했다.
광주 영락공원 화장자 가운데 40%가 타지역 연고자로, 이들 대부분이 화장비용 면제 대상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장례업계도 당혹스럽긴 비슷하다. 빈소를 마련하는 기간이 늘어난다고 조문객 수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장례음식 등으로 수익을 내는 장례식장도 손해라는 것이다.
장례식장 운영자 A씨는 “빈소 11곳이 꽉 차 있다. 장례식장은 회전율이 좋아야 하는데, 발인을 못한 유족들이 빈소를 오래 마련마련하면서 새로운 유족들을 받지 못해 장례식장 입장에서도 손해가 크다”고 푸념했다. 광주시와 영락공원 등에는 이같은 불편사항이 쏟아지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도 지난 8일 “화장로 가동시간을 연장하고 화장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는 등 시설 가동률을 확대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며 “화장시설을 증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주일이 넘도록 현장에서 개선 방안이 즉각 시행되지 않으면서 시민 불편은 이어졌다. 광주시는 15일 오후에서야 영락공원 화장로 가동 확대 방안을 재차 밝혔다.
광주시는 오후 3시에 끝나던 화장터 가동 시간을 오후 5시까지 늘려 화장로 가동 횟수를 10차례 확대, 기존 36차례에서 46차례까지 늘리기로 했다.
한 장례식장 운영자는 “장례업계가 광주시에 여러차례 민원을 넣었는데 이제서야 대책을 마련했다”면서 “신속하게 문제가 해결되기까지에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728x90
반응형
'김민석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대로 가면…60년 후 개나리꽃 2월에 핀다 (0) | 2022.03.17 |
---|---|
치솟는 기름값…서민·취약계층 겹시름 (0) | 2022.03.17 |
201동 외 다른 건물은 안전한가 (0) | 2022.03.15 |
회사 압박 시달리다 극단적 선택 버스기사 이례적 산업재해 인정 (0) | 2022.03.14 |
배달음식 시키고, 자유로운 토론…“이젠 선거 즐겨야죠”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