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감 끊겨 광주·전남 직업재활시설 49곳 중 27곳 휴관
절반 넘는 640명 일자리 잃어…훈련생은 급여도 못받아
발달장애인 보호·관리 허술…사회적 안전망 마련 시급
‘코로나19’로 광주·전남지역 장애인 일자리사업이 대부분 중단되면서 장애인들의 활동 공간인 ‘직업재활시설’도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직업재활시설 상당수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 때문에 주문받은 일감이 뚝 끊긴 상황인데다 장애인들도 확산을 우려해 문 닫는 날이 잦으면서 수입이 끊겨 생계가 막막한 형편이다.
26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49곳(광주 27곳·전남 22곳) 중, 27곳(광주 11곳, 전남 16곳)이 코로나19 때문에 잠정 문을 닫은 상태이다.
광주·전남 49개 장애인 직업시설에 종사하는 장애인만 1262명. 이들 가운데 절반이 넘는 640명이 이달 초부터 일자리를 잃어 수입이 전혀 없는 상태다.
장애를 앓고 있어 평소에도 일자리를 구하기 쉽지 않은데 코로나19 여파로 일반인까지 구직난에 시달리는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개선될 조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나마 재활시설에서 일하는 근로장애인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급여의 70%를 보장받는 긴급 생계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훈련생 신분으로 일하는 장애인들은 시설 중단이 되도 급여를 전혀 받을 수 없어 끼니마저 걱정해야 할 처지다.
장애인일자리사업은 기초자치단체가 미취업 장애인의 일반 노동시장 진출 직전 실무능력을 강화하고 사회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한 사업으로,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의 단순 조립인 임가공, 제과제빵, 볼펜 조립, 신문 접기, 빨래 등과 같은 단순 작업이 대부분이다.
정성주 광주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소장은 “훈련장애인들은 시설에서 일을 하지 못하면 월급을 받지 못한다”면서 “사실상 무급 휴직 상태에 있는 훈련장애인들을 위한 우선적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생계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이 재활시설을 찾지 않으면서 자칫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안전망에 빈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직업재활시설은 일하는 장애인의 80% 가량이 발달장애인들로, 이들의 직업훈련 외에도 장기간 돌봐주는 보호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들에 대한 보호·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직업재활시설들은 장애인 근로자들의 출근을 정지시켰지만 계약처에서 들어오는 주문을 받지 않을 수 없는 처지라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거래처들이 코로나로 인해 거래량을 줄이는 상황이지만 직원만으로는 생산이 불가능해 주문량이 많은 경우에 한해서 탄력적으로 일부 장애인들을 출근하도록 하는 곳도 있다.
광주시 북구 매곡동 틔움직업재활센터 안병규 대표는 “직원 7명과 장애인들 36명이 주문을 받아 빵을 만들고 있는데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장애인 출근을 중단시키면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면서 “빵을 매일 거래처에 납품을 해야 하는데 일반 직원 7명으로는 맞출 수 없어 답답하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50명의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씨튼직업재활센터도 상황은 비슷하다. 씨튼직업재활센터 측은 “3월 한달간에만 운영비 관리비를 제외한 손실금이 약 1억원에 달하는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정병호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곡 판치는데…5·18왜곡대책위 뭐하나 (0) | 2020.03.31 |
---|---|
한 명이 7년간 무려 4700개 ‘왜곡 댓글’ (0) | 2020.03.29 |
음란물범죄 솜방망이 처벌…또 다른 ‘n번방의 악몽’ 부른다 (0) | 2020.03.25 |
2주만 참자는데…예배 강행하고 유흥시설은 별천지 (0) | 2020.03.23 |
한달 넘게 감옥같은 생활…“질병보다 외로움이 더 무서워” (0) | 202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