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성천기자

중산층은 없다, 하다스 바이스 지음

by 광주일보 2021. 6. 6.
728x90
반응형

문혜림·고민지 옮김

중산층이 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학위를 따고 자격증을 따고 나아가 인맥을 구축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부모들은 자녀들이 중산층 이상으로 살게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을 시키고 있다.

그러나 인적 자본에 투자할수록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더 많이 투자해야 하는 모순에 빠진다. 자격증을 많이 취득할수록 자격증 가치가 떨어지고, 앞서기 위해서가 아닌 따라잡기 위한 투자에 빠지는 딜레마에 빠진다.

이스라엘 출신 인류학자 하다스 바이스는 투자를 강요받는 시대, 우리는 우리가 착취하는 구조에 투자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가 중산층을 이데올로기로 규정하는 이유다. 하다스 바이스가 펴낸 ‘중산층은 없다’는 ‘우리는 결코 중산층이었던 적이 없다’는 사실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작금의 사회는 구조적으로 투자를 강요한다. 이러한 투자를 매개로 어느 정도 자산을 지닌 중산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품는다. “주택이나 주식, 보험, 학위, 전문자격증, 그 밖의 유·무형의 재산에 투자하지만 그들의 자산 가치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자본주의 시스템으로 인해 손해를 보거나 이를 메우기 위해 계속 투자할 수밖에 없다.”

결국 우리들 대다수는 자본에 투자하면서 자본의 몸집을 키워주는 데 기여한다. 물론 손실의 위험은 고스란히 개인의 몫으로 남는다. 이 위험성에 대해 자본주의는 함구하고 있으며 오로지 중산층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인적 자본 논리에 따라 가족의 유대 관계가 어떻게 재형성되고 인적 자본의 과잉 투자와 축적 과정의 문제점 등을 분석한다. <산지니·2만원>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10명의 여성 작가가 전하는 ‘집 사용 설명서’

그 어느 때보다 ‘집’이 생활의 중심으로 들어온 요즘이다. 재택 근무자들에게는 아예 집이 직장이기도하고, 약속이나 주말 나들이 등이 어려워진 많은 사람들은 집에 머물며 시간을 보낸다.

kwangju.co.kr

 

유황불 아니더라도 지옥은 가까운 곳에 있다, 살아생전 떠나는 지옥관광

몇 년 전부터 유행한 ‘헬조선’이라는 말이 있다. ‘지옥의 나라’라는 뜻이다. 힘든 하루하루를 살아야 하는 이들에게 헬조선은 너무도 친숙한 단어다. 우울한 한국, 우울한 세상은 우리시대

kwangju.co.kr

 

새로 나온 책

▲돼지를 키운 채식주의자=2014년 귀촌해 농촌에서 돼지가 자라는 환경을 보고 채식을 결심했다는 저자 이동호가 동물을 키우고 먹는다는 것에 대한 생각을 담았다. 카카오의 글쓰기 플랫폼 ‘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