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선 경선 연기론 대비···이재명 측 "일정대로 진행해야"
더불어민주당에서 대선 경선 연기론 불거지면서 대권 주자들의 출마 선언도 늦어질 분위기다. 지도부 관계자는 5일 “당을 재정비하고 주요 정책 현안을 조율한 뒤 늦어도 이달 말에는 경선 일정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광주지역 한 국회의원도 “특정 후보의 유불리를 떠나 너무 일찍 대권 주자를 뽑으면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부담이 커지고 있어 자연스럽게 대선 경선 연기론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경선 연기론은 현행 당헌상 ‘대선 180일 전’ 후보를 선출해야 하는 규정을 ‘대선 120일 전’ 정도로 늦추자는 주장이다. 이렇게 하면 후보 확정 시기가 9월 초에서 11월 초로 밀린다. 이 주장은 지난 2월에도 친문 진영을 중심으로 한차례 나왔었다. 당시 논란이 빚어지자 당 지도부가 ‘논의된 바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 일단락됐다.
하지만 4·7 재보선 참패 이후 당 전략 차원에서 일정을 미루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앞서 송영길 대표는 경선 연기론에 대해 “대선 승리에 도움이 되느냐, 안 되느냐에 따라 판단할 것”이라며 “특정 후보에 불리하게 룰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의견을 잘 수렴해 논의하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 이낙연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당 경선 일정이 먼저 나와야 하지 않겠나”라며 “굳이 출마선언을 일찍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정세균 전 총리 측은 애초 이달 중순 출마선언을 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최근에는 이보다 늦추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정 전 총리 측 관계자는 “6월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며 “당 논의상황을 보며 천천히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관, 이광재 의원도 ‘6월 이후’를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박용진 의원은 오는 9일, 양승조 충남지사는 오는 12일 각각 출마선언을 할 예정이다. 지지율이 열세인 만큼 출마선언을 일찍 함으로써 ‘선점’ 효과를 노리려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1위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 측은 일정대로 진행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 9월에 당 대선 후보를 선출해 정기국회 과정에서 후보와 호흡을 맞춰 개혁 입법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오광록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 대권주자 5·18 광주에서 ‘대선 민심’ 잡기 (0) | 2021.05.13 |
---|---|
"빅3 구도 흔들겠다" 민주, 군소주자들 대선레이스 시동 (0) | 2021.05.09 |
[민주당 송영길호 과제와 전망] 0.5%P 신승···흩어진 당심 결집 최우선 과제 (0) | 2021.05.03 |
영호남 상생 열차 ‘멈춤’ … 달빛철길 정부가 열어야 (1) | 2021.04.22 |
광주·대구, 달빛내륙철도 무산 방지 총력 대응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