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국회의원들에 일방 공문
“협의도 없이…” 회신 거부 움직임
준비기획단 회의서도 갈등 노출
광주지역 도심불균형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선거구 유지를 위한 구간경계조정이 광주시와 지역 정치권의 갈등으로 번지면서 시작부터 삐거덕거리고 있다.
광주시가 일방적으로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향후 제시하는 최종안에 대한 수용” 여부를 묻는 공문을 발송하면서 지역 정치권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지역 국회의원들은 “충분한 사전 논의 없이 ‘동의 여부에 서명부터 하라’는 광주시의 입장은 전형적인 ‘책임 떠넘기기’이다”며 이 공문에 따른 회신 자체를 거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3일 국회와 광주시 등에 따르면 전날 광주시는 ‘자치구간 경계조정 추진에 관한 의견’ 공문을 발송해 “경계조정준비기획단에서 시민의견 수렴을 통한 논의과정을 거쳐 제시하는 최종안에 대한 수용(찬성) 여부는?”이라고 물은 뒤 ‘수용함’‘수용 어려움’으로 나눠 답변해 줄 것을 국회의원 서명을 포함해 요청했다. 공문을 통해 광주시는 “준비기획단에서 합리적인 개편안을 제시하더라도 정치권의 반대가 있으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며 공문 발송 이유를 설명했다.
또 광주시는 “준비기획단에서 합리적인 시민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도출하면, 최종안이 어떠한 결론에 이르더라도 지역구 국회의원 모두가 이를 수용한다는 정치권의 합의가 선행되어야 함”이라고 전제했다.
이어 “정치권의 선행적 합의가 이뤄지면 자치구간 경계조정 최종안 채택을 위한 별도의 TF를 구성해 시민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광주지역 국회의원들은 “경계조정의 모든 책임을 정치권에 떠넘기고, 그동안 아무런 협의 과정도 없었고 최종안도 없는 상태에서 서명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경계조정은 행정 뿐 아니라 광주지역 국회의원 의석 8석을 지키는 의미도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지역 국회의원들은 이에 광주시의 공문에 답변을 아예 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구간경계조정이 초반부터 갈등 양상으로 치닫을 우려도 낳고 있다.
정치권의 반발은 이 공문 발송 전 열렸던 경계조정 준비기획단 회의에서도 불거졌다. 지난달 27일 기획단 회의에서 일부 위원들은 “정치권과의 논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지만 다른 위원들이 “정치권은 이 문제에서 빠져라”고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계조정 준비기획단에는 시의회 9명, 구의회 5명, 정당 6명, 학계 2명, 언론계 3명, 경제계 2명, 사회단체 6명, 연구원 1명, 광주시 7명, 시교육청 1명 등 42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날 회의에 참가한 한 위원은 “최종안이 나오지도 않았는데 너무 성급하게 국회의원들의 동의서부터 받는 과정에 준비단 차원의 충분한 논의가 없었다”면서 “다른 의견도 많았지만 ‘짜여진 각본’처럼 회의가 마무리되고 공문이 국회의원들에게 발송됐다”고 지적했다.
현재 광주지역 국회의원 8명 전원은 구간경계조정에 찬성한다. 이들 중 6명은 북구 다선거구를 동구에 편입하고, 광산구 첨단1·2동의 북구 편입을 골자로 하는 구간경계조정2안(중폭)에 찬성하고 있다. 윤영덕(동남갑)·이병훈(동남을)·송갑석(서구을)·조오섭(북구갑)·이형석(북구을)·이용빈(광산갑) 의원 등 6명이 이 안에 찬성 의견을 밝혔다. 또 민형배(광산을) 의원은 ‘첨단구 신설’을 주장했고 양향자(서구을) 의원은 “구체적 방법은 다시 고민하자”는 의견을 냈다.
한편 구간경계조정은 주민공청회 등을 연 뒤 기초의회·광주시의회와 최종 검토과정을 거친 뒤 시의회를 통과하면 행정안전부에 건의하게 된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광주 구간경계조정 시작부터 삐걱, 수용여부 서명 요구에 “책임 떠넘기기” 반발
광주지역 도심불균형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선거구 유지를 위한 구간경계조정이 광주시와 지역 정치권의 갈등으로 번지면서 시작부터 삐거덕거리고 있다. 광주시가 일방적으로 지역 국회의원
kwangju.co.kr
광주시 ‘도심융합특구’ 좌초 위기
광주시 북구 광주역 일대 등 지방 대도시를 신경제 거점으로 만드는 국가균형발전 모델인 ‘도심융합특구’ 사업이 시작부터 좌초될 위기에 빠졌다.3일 더불어민주당 조오섭(광주 북구갑) 국회
kwangju.co.kr
막가는 광주글로벌모터스…시민 감시도 광주업체도 외면
‘광주형 일자리’ 사업으로서 막대한 시민혈세가 투입돼 자동차공장을 짓고 있는 (주)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시민의 감시·견제권을 거부하고, 입찰 등 운영과정에서 되레 지역업체를 외면하
kwangju.co.kr
'오광록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자치구 경계조정 시민 여론수렴 먼저” (0) | 2020.11.09 |
---|---|
檢, 월성 1호기 압수수색 … 與 “검찰의 국정 흔들기” (0) | 2020.11.08 |
이낙연 ‘균형발전’ 파격 공약…배경 관심 (0) | 2020.11.02 |
김경수 무죄 판결나면…민주 대권구도 ‘빅뱅’ (0) | 2020.11.02 |
이용섭 시장 “공공기관 유치 경쟁 우려 시·도 통합 논의 제안” (0)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