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윤영기자

고물가에 ‘갓성비’ PB 상품 잘 나간다

by 광주일보 2024. 2. 14.
728x90
반응형

대한상의 상품 매출 분석…PB 상품 규모 전년비 11.8% 올라
식품 부문 12.4% 비식품 7.4% 성장…편의점 1년새 19.3%↑

/클립아트코리아

지난해 고물가와 경기침체 영향으로 가성비 물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유통기업 자체브랜드(PB) 상품 매출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PB 상품은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가 협력해 상품을 내놓는 형태로, 마케팅과 유통 비용을 대폭 줄여 소비자 가격이 낮춰지는 효과를 내 고물가 시대에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14일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닐슨아이큐(NIQ)를 통해 전국 6500여개 오프라인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유통업체 자체브랜드 상품 매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PB 상품 시장규모는 최근 1년간(2022년 4분기~2023년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11.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전체 소비재 시장이 1.9% 성장한 것과 견줘 6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PB상품 매출이 급증한 것에 대해 가파르게 상승하는 소비자 물가에 따라 가격 민감도가 높아진 소비자들이 품질대비 저렴한 PB 상품 구매를 선호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특히 지난해 먹거리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PB 시장 성장세는 식품 부문에서 두드러졌다.

지난해 PB 식품 부문 성장률은 12.4%로, 비식품 부문(7.4%)보다 5%p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PB 시장 성장을 견인했다.

고물가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소비자들이 비교적 필요하지 않은 비식품 지출을 줄이고, 음·식료품 등 필수재 위주로 소비활동을 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식품 부문에서 PB 매출 성장률을 항목별로 보면 편의·가공 부문이 전년 대비 19.1%로 가장 높았다. 특히 가성비를 강조한 대용량 컵라면 등 라면 품목이 32.3% 성장했고, 즉석 국·탕·찌개류도 25.2% 성장했다.

비식품 부문에서는 구강용품 매출 성장률이 25.7%로 가장 많이 성장했고, 퍼스널케어(21.5%), 바디케어(20.2%) 제지류 (11.6%)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오프라인 업체 가운데 전체 매출 대비 PB 비중이 가장 높은 업태는 대형마트(8.7%)였다. 기업형 슈퍼마켓(5.3%), 편의점(4.1%) 순으로 PB 매출 비중이 높았다.

PB 매출 성장률이 가장 높은 업태는 편의점으로, 1년 새 19.3% 성장했고, 대형마트(10.3%), 기업형 슈퍼마켓(5.7%)이 뒤를 이었다.

편의점에서 가성비 높은 PB 상품 매출 성장률이 눈에 띈 것은 과거 값싼 가격보다는 편의성을 추구했던 편의점이 지난해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해 품질이 좋고 값싼 PB 신제품들을 출시하면서 주고객층인 젊은 세대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장근무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원장은“유럽의 경우 경제 저성장기에 실속소비 패턴이 정착하면서 PB 시장이 크게 성장했는데, 우리나라도 최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글로벌 유통업계 평균 PB 점유율이 21%인 점을 감안할 때 국내 PB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국내 유통업체들은 PB 라인업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철강판·K-푸드 호조…전남 수출 흑자 전환 ‘올해도 맑음’

지난해 대내외적 무역 악재 속에서 전남이 무역 수지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김으로 대표되는 ‘K-푸드’와 철강판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하는 선전 속에 무역 흑자를 이끌

kwangju.co.kr

 

“나 혼자 쇤다” … 유통가 늘어난 ‘혼설족’ 마케팅

유통업계가 고향에 가지 않고 집에서 홀로 설을 보내는 ‘혼설족’을 겨냥한 다채로운 설 마케팅을 앞다퉈 선보이고 있다.유통업계는 과거 명절 문화가 희미해진 데다,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