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동구 분석…도로 밑 흙 제대로 안 다져 개통 한달도 안돼 폭우에 땅 꺼져
배수 능력 부족도 한 원인…복구 최선 속 시공 불량 피해 보상 청구 방침
막대한 예산을 들여 준공한 ‘지산IC 진출로~조선대 사범대 우회도로’에서 발생한 침수, 지반 침하의 근본 원인은 부실시공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42억여원을 들여 도로를 개통하고도 한 달만에 폐쇄하고, 보수 공사에 당초 예산의 14.3%에 달하는 6억여원을 추가로 들이기로 해 ‘혈세 낭비’라는 비판도 나온다.
이번 보수공사에 동절기 기간이 포함돼 전문가들은 또 다른 부실 시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광주시 동구는 지난 7~9월 지산IC 진출로~조선대 사범대 우회도로 관련 복구 TF팀을 꾸려 원인 분석을 한 결과 도로 밑 흙을 제대로 다지지 않는 등 부실공사 정황이 발견됐다고 7일 밝혔다.
이 도로는 제2순환도로 산수터널에서 지산터널 방면 출구 램프부터 조선대 사범대학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545m, 폭 10m 왕복 2차로다. 총 사업비 42억 6000만원을 들여 지난해 4월 착공, 지난 6월 개통했다.
도로는 지산동 주요 관문 도로인 지호로, 도시철도 2호선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남문로 등 교통체증을 완화할 목적으로 개설됐다.
하지만 개통한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아 광주 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려 지반 침하가 잇따르자, 동구는 지난 7월 12일 도로를 폐쇄하고 복구 작업에 돌입했다.
동구는 공무원 4명, 외부 전문가 3명을 모아 복구TF팀을 꾸리고 7차례에 걸쳐 원인분석을 한 결과 지반 침하 원인으로는 ‘다짐 불량’, 침수 원인으로는 ‘도로 배수 능력 부족’이 꼽혔다.
지표면으로부터 8~9m 높이로 흙을 쌓아올린(성토) 뒤 아스콘을 얹는 식으로 시공했는데, 시공사 측이 이 흙을 제대로 다지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TF팀은 도로 개통 이후 차량이 오가면서 흙을 다져줘야 하는데, 충분히 다져지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비를 맞아 지반이 불안정해졌다는 분석도 내놨다.
또한 이 도로는 현행 도로 개설 기준에 따라 30년 빈도(30년 만에 한번 내릴 가능성)의 폭우를 감당할 수 있도록 시간당 70㎜의 강우량까지 버틸 수 있게 설계됐는데, 장마 기간에 시간당 80㎜가 넘는 비가 쏟아지자 침수로 이어졌다는 점도 확인됐다.
동구는 최근 시공사 측에 다짐 불량 등에 대한 하자 보수 요청을 했으며, 조만간 시공 불량에 대한 피해 보상액을 산정해 청구할 방침이다.
동구는 이달 말부터 복구 작업을 시작해 내년 4월까지 마친다는 계획도 세웠다. 복구에는 총 사업비 6억 5300만원이 투입되며, 침수 피해가 컸던 80m 길이의 구간을 보수할 방침이다.
먼저 도로 밑에 쌓인 흙 7015㎥(덤프트럭 500대 분량)를 모두 걷어내고 새 흙으로 채울 계획이다. 한번 형태가 흐트러진 흙은 원상복구가 어렵다는 TF팀의 진단이 나왔기 때문이다.
도로 밑 흙을 받쳐주는 옹벽 45m(높이 3.5~4.9m)도 다시 구축한다. 이 옹벽은 장마 이후 물을 머금은 흙 무게에 짓눌려 개통 당시에 비해 13.1㎝(3도 가량)까지 기울어진 상태다.
동구는 도로 측면에는 배수구(측구) 303.5m를 추가 설치하고 기존에 있던 배수구 502m를 보강하고 침전조도 보강 작업을 거쳐 배수 능력을 기존보다 강화하겠다는 대책도 세웠다.
동구청 관계자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정확하게 원인을 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도출하느라 시간이 지체됐고 공사 기간에 동절기가 끼어 있어 시공 기간도 더 늦춰졌다”며 “복구 기간이 오래 걸린 만큼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복구 작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급하다고 바늘 허리에 실 묶듯 공사를 하다 안전도 잃고 혈세도 낭비했다”고 지적했다.
송창영 광주대 건축학부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극한 기후가 심해지고 있는 터라 자연 재난에 더욱 철저하게 대비해 공사해야 하는데, 그만큼 공학적인 대비를 잘 하지 못한 것”이라며 “도로 중간 부분을 뚝 끊어서 흙을 모조리 교체한다는 것 자체도 언 발에 오줌누기식 대처가 아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행 도로 개설 시 30년 빈도의 재해를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 기준이 낮게 책정됐지만, 최근에는 100년 빈도 수준의 ‘극한 기후’가 잇따르고 있다”며 “극한 기후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기준보다 웃도는 안전대책을 세우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결국 42억여원을 들여 도로를 개통하고도 한 달만에 폐쇄하고, 보수 공사에 당초 예산의 14.3%에 달하는 6억여원을 추가로 들이기로 해 ‘혈세 낭비’라는 비판도 나온다.
이번 보수공사에 동절기 기간이 포함돼 전문가들은 또 다른 부실 시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광주시 동구는 지난 7~9월 지산IC 진출로~조선대 사범대 우회도로 관련 복구 TF팀을 꾸려 원인 분석을 한 결과 도로 밑 흙을 제대로 다지지 않는 등 부실공사 정황이 발견됐다고 7일 밝혔다.
이 도로는 제2순환도로 산수터널에서 지산터널 방면 출구 램프부터 조선대 사범대학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545m, 폭 10m 왕복 2차로다. 총 사업비 42억 6000만원을 들여 지난해 4월 착공, 지난 6월 개통했다.
도로는 지산동 주요 관문 도로인 지호로, 도시철도 2호선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남문로 등 교통체증을 완화할 목적으로 개설됐다.
하지만 개통한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아 광주 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려 지반 침하가 잇따르자, 동구는 지난 7월 12일 도로를 폐쇄하고 복구 작업에 돌입했다.
동구는 공무원 4명, 외부 전문가 3명을 모아 복구TF팀을 꾸리고 7차례에 걸쳐 원인분석을 한 결과 지반 침하 원인으로는 ‘다짐 불량’, 침수 원인으로는 ‘도로 배수 능력 부족’이 꼽혔다.
지표면으로부터 8~9m 높이로 흙을 쌓아올린(성토) 뒤 아스콘을 얹는 식으로 시공했는데, 시공사 측이 이 흙을 제대로 다지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TF팀은 도로 개통 이후 차량이 오가면서 흙을 다져줘야 하는데, 충분히 다져지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비를 맞아 지반이 불안정해졌다는 분석도 내놨다.
또한 이 도로는 현행 도로 개설 기준에 따라 30년 빈도(30년 만에 한번 내릴 가능성)의 폭우를 감당할 수 있도록 시간당 70㎜의 강우량까지 버틸 수 있게 설계됐는데, 장마 기간에 시간당 80㎜가 넘는 비가 쏟아지자 침수로 이어졌다는 점도 확인됐다.
동구는 최근 시공사 측에 다짐 불량 등에 대한 하자 보수 요청을 했으며, 조만간 시공 불량에 대한 피해 보상액을 산정해 청구할 방침이다.
동구는 이달 말부터 복구 작업을 시작해 내년 4월까지 마친다는 계획도 세웠다. 복구에는 총 사업비 6억 5300만원이 투입되며, 침수 피해가 컸던 80m 길이의 구간을 보수할 방침이다.
먼저 도로 밑에 쌓인 흙 7015㎥(덤프트럭 500대 분량)를 모두 걷어내고 새 흙으로 채울 계획이다. 한번 형태가 흐트러진 흙은 원상복구가 어렵다는 TF팀의 진단이 나왔기 때문이다.
도로 밑 흙을 받쳐주는 옹벽 45m(높이 3.5~4.9m)도 다시 구축한다. 이 옹벽은 장마 이후 물을 머금은 흙 무게에 짓눌려 개통 당시에 비해 13.1㎝(3도 가량)까지 기울어진 상태다.
동구는 도로 측면에는 배수구(측구) 303.5m를 추가 설치하고 기존에 있던 배수구 502m를 보강하고 침전조도 보강 작업을 거쳐 배수 능력을 기존보다 강화하겠다는 대책도 세웠다.
동구청 관계자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정확하게 원인을 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도출하느라 시간이 지체됐고 공사 기간에 동절기가 끼어 있어 시공 기간도 더 늦춰졌다”며 “복구 기간이 오래 걸린 만큼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복구 작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급하다고 바늘 허리에 실 묶듯 공사를 하다 안전도 잃고 혈세도 낭비했다”고 지적했다.
송창영 광주대 건축학부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극한 기후가 심해지고 있는 터라 자연 재난에 더욱 철저하게 대비해 공사해야 하는데, 그만큼 공학적인 대비를 잘 하지 못한 것”이라며 “도로 중간 부분을 뚝 끊어서 흙을 모조리 교체한다는 것 자체도 언 발에 오줌누기식 대처가 아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행 도로 개설 시 30년 빈도의 재해를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 기준이 낮게 책정됐지만, 최근에는 100년 빈도 수준의 ‘극한 기후’가 잇따르고 있다”며 “극한 기후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기준보다 웃도는 안전대책을 세우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728x90
반응형
'유연재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멀스멀 ‘빈대 공포’에…시민들 “지자체 적극 방역 나서야” (2) | 2023.11.10 |
---|---|
‘빈대 공포’에 광주 지자체 대책 마련 분주 (0) | 2023.11.09 |
광주학생독립운동 사적지 8곳 중 6곳 사라졌다 (1) | 2023.11.03 |
광주서도 미분양 파격 혜택…입주자-시공사 ‘갈등’ (0) | 2023.11.02 |
“올해 아버지 기일은 우리 가족에 73년만의 광복” (1)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