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민석기자

농가 농업소득 감소세…청년농 육석·귀농정책 노력 필요

by 광주일보 2023. 11. 5.
728x90
반응형

농경연 조사, 지난해 농업소득 평균 949만원…5년 전보다 27%↓
작년 국내 농가 ‘고령소농’ 63.5% 달해
청장년 소농·중대농 비율 크게 줄어…“농업소득 증진 위한 대책 절실"

/클립아트코리아

농가에서 연간 벌어들이는 소득 중 농업활동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간 농업소득은 매년 7% 이상 감소한 반면, 농외소득은 2% 이상 증가했다. 우리 농촌은 적은 규모의 고령농가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청장년 농가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18~2022년 농가경제 변화실태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들의 평균 농업소득은 949만원이었다. 이는 2018년(1292만원)보다 27% 감소한 것으로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7.4%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지난해 농외소득은 1920만원으로 1695만원이었던 2018년보다 13.3% 늘었다.

특히 농외소득은 2020년 이후 줄곧 증가하며, 2021년 1788만원, 2022년 1920만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농가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놓고 보면 41.6%로 최근 10년 내 최고였다.

농가소득은 2018년 4207만원→2019년 4118만원→2020년 4503만원→2021년 4776만원→2022년 4615만원으로 증가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농가 고령화에 따른 공적 연금소득 증가와 공익직불제 실시 등으로 이전소득이 매년 증가한 게 가장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연구원은 “공적 보조금은 연평균 11.7%씩 증가했는데 2020년 공익직불제 도입 효과가 나타난 영향이 크며 기초연금과 국민(노령)연금을 수급받는 농가 고령인구의 증가도 주요인 중 하나”라며 “공적 보조금의 가파른 증가세에 힘입어 이전소득은 2019년부터 농업소득을 제치고 원천소득 중 농외소득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전소득은 2018년 989만원에서 2022년 1481만원으로 54.1%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 농가를 연령·규모별로 구분해보면 ‘고령 소농’이 63.5%로 가장 많았다.

고령과 청장년은 65세를 기준으로, 소농과 중대농은 표준영농규모 2㏊를 기준으로 했다.

고령 소농 비율은 2014년을 기점으로 50%대를 유지하다 2022년 60%를 넘어섰다. 고령 소농 비율은 2013년 47.3%에서 2022년 63.5%로 16.2%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청장년 소농과 중대농 수는 모두 감소하는 추세다. 청장년 소농은 고령 소농 다음으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율이 2013년 30.6%에서 2022년 18.0%로 12.6%포인트 감소했다.

2013~2022년 동안 연평균 농가 수 감소율이 가장 큰 유형은 청장년 중대농이고, 증가율이 가장 큰 유형은 고령 중대농이었다. 같은 기간 청장년 소농 및 중대농 비율은 각각 연평균 7.6%, 10% 감소한 반면, 고령 소농 및 중대농 비율은 각각 1.3%, 1.7% 증가했다.

청장년 소농은 농외소득 비율이 높고, 청장년 중대농은 농업소득 의존도가 높았다.

청장년 소농 소득은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소득 중 농외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이 65.5~70.5%로 가장 높았다.

연구원은 청장년 소농 집단의 대부분이 2종 겸업농가로서 영농 활동보다는 농외 활동을 통해 소득을 얻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고령 소농은 소득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증가 폭에서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소득은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여주는 근원 지표이기 때문에 농업소득 증진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며 “또 농가 고령화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베이비붐 세대 농업인과 청년농, 귀농 간의 영농승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청년농 육성 및 귀농 정책에 지금보다 더 많은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원유가격 인상…밀크플레이션 현실이 됐다

우유 원유(原乳) 가격 인상에 따라 우려돼왔던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이 현실이 되고 있는 분위기다. 우유를 원료로 한 분유와 아이스크림 가격 상승세가 확대됐다. 우유·분윳값

kwangju.co.kr

 

100세 시대, 5060 자격증 따기 ‘열풍’

통신 관련 대기업에 30년간 재직하다 지난해 퇴직한 박모(59)씨는 최근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했다.박씨는 퇴직 후 지인의 도움으로 한 중소기업에 취업했는데,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