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연재기자

농촌엔 독거노인만 남고 … 도시는 도심 공동화 심화

by 광주일보 2023. 1. 9.
728x90
반응형

사라지는 지방 막을 수 없나
<2> 인구소멸 지역 고흥·여수 가보니
한때 100여 가구 거주하던 마을
청년들 없어 통째로 사라질까 걱정
여수 구 도심 아파트 단지에는
밤에 불 켜진 집이 절반도 안 돼

동네 사랑방 역할을 했던 농어촌 마을회관은 이제 찾는 이가 많지 않아 썰렁해진 지 오래다. 6일 고흥군 고흥읍 호동리 마을회관은 70가구 주민들의 사랑방이지만 고작 5명만 모였다.


전남지역이 농·어촌과 도시 할 것 없이 ‘인구 소멸’ 직격탄을 맞아 황량해지고 있다.

농·어촌은 인구 유입 없이 청년들은 떠나고 노인들만 남아버린 터라 수십년 뒤면 마을이 통째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고, 전남 일부 도시도 타 지역으로 사람들이 빠져나가 도심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전남지역 인구소멸 1순위로 꼽히는 고흥군에서는 “10년, 20년 지나고 나면 마을이 하나 둘씩 통째로 사라질 것”이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6일 찾아간 고흥읍 호동리 호동마을은 낮 최고기온 10도 안팎의 따뜻한 날씨에도 거리에 오가는 사람 없이 고요했다.

호동마을은 고흥읍 중심지에서 불과 2㎞ 떨어진 곳으로 한 때 100여가구 넘게 거주해 북적북적한 곳이었으나 지금은 70여가구만 남은데다 그나마도 대부분 독거노인들만 남아있다.

마을 곳곳에는 수십년씩 방치된 것으로 보이는 쓰러져가는 빈 집이 눈에 띄었고, 낡은 축사에는 소 한 마리 찾아볼 수 없었다. 골목 사이사이 자리잡은 텃밭에서는 제때 수확하지 못한 배추·파 등이 방치된 채 썩어가는 모습도 쉽게 볼 수 있었다.

한때 마을 사랑방 역할을 했던 마을회관도 썰렁하긴 마찬가지였는데, 이날 회관에는 80~90세 할아버지 5명과 할머니 7명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류제상(85)씨는 “수십년 전부터 젊은 사람들은 서울이나 광주같은 객지로 가 버리고 새로 들어오는 사람은 없다”며 “옛날에는 집집마다 10여명씩 대가족이 살아서 조용할 일이 없는 동네였는데, 이제는 빈 집 투성이에 홀로 사는 노인들만 남았다”고 말했다.

송영순(여·80)씨도 “온 마을을 통틀어 어린이라고는 단 2명 뿐인데, 둘 다 다문화가정 아이들로 6년 전에 낳은 게 마지막이다”며 “새로운 사람이 좀 왔으면 좋겠지만, 누가 이런 촌까지 오겠나. 우리 세대가 지나고 나면 마을에 빈 집만 늘어날 것이다”고 혀를 찼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고흥군은 지난해 3월 기준 인구 소멸위험지수가 0.12까지 떨어졌다. 소멸위험지수는 지역 내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전체 인구로 나눈 값으로, 숫자가 낮을수록 소멸 위험이 크다. 고흥군은 경북 군위군과 의성군(각각 0.11)에 이어 전국 3위에 자리잡았다.

고흥군은 1968년까지만 해도 인구 23만 7223명이 거주하는 대도시였으나, 지난해 12월 기준으로는 6만 1880명으로 74% 인구가 빠져나갔다.

인구 감소세와 맞물려 생활여건도 나아지지 않고 있었다. 고흥군 내 종합병원은 단 1곳밖에 없는데, 그나마 고흥읍에서 가깝다는 호동마을에서조차 7㎞ 떨어진 곳에 있다. 버스도 한 시간에 한 번 꼴로 오는 터라 자식들이 데려다주지 않으면 병원도 쉽게 못가는 처지다.

송은심(여·87)씨는 “멀리 사는 자식들 고생시키느니 그냥 아파도 참는 게 상책이다”며 “수십년 이렇게 살아 온 노인들이야 그러려니 하지만, 어떤 사람이 이런 불편한 동네에 새로 이사 오고 싶어 하겠느냐”고 말했다.
지난 6일 여수시 여서동 문화의 거리는 1000만 관광객이 다녀간 지역 대표 관광 명소임에도, 오가는 사람 없이 한적했다.

전남지역 도시도 다르지 않았다.

전남 2대 도시로 꼽히는 여수시는 잇따른 도시 공동화 현상으로 속앓이를 하고 있다.

같은 날, 여수시 여서동 문화의 거리는 ‘불금’(불타는 금요일)인데도 오가는 사람 없이 한적했다. 이곳은 2000년까지만 해도 여수시 ‘핫 플레이스’로 꼽혔던 곳이다. 해가 지자 상인들은 가게 불을 환하게 켜고 손님을 받을 준비를 마쳤지만, 찾아온 손님이라고는 겨우 한 두 테이블을 채우는 수준이었다.

이곳에서 21년째 고깃집을 운영해 온 양모(67)씨는 “해가 갈수록 손님 줄어드는 것이 체감되니 슬슬 가게 정리하고 다른 지역으로 떠나야 하나 고민 중”이라며 “시청에서 여문지구(여서동·문수동)를 활성화 한다고 큰소리 치더니 오가는 사람은 없고, 주차장도 없어 연일 파리만 날린다”고 말했다.

인근 주택가도 마찬가지로 조용했다. 밤이 깊어가도록 대다수 아파트 단지는 이가 빠진 듯 불 켜진 집이 채 절반이 안 돼 쌀쌀한 겨울날씨만큼 을씨년스러웠다.

인근에서 4년째 술집을 운영 중인 김모(60)씨도 “사람들이 타 지역으로 다 빠져나가니 구도심은 그냥 사라질 위기다”며 “관광객이야 많이 늘었다지만, 지역 거주민 상대로 장사하는 동네 술집은 도저히 장사할 맛이 안난다”고 하소연했다.

여수시는 지난 1998년 3여(여수시·여천시·여천군) 통합 당시 33만 213명의 인구를 자랑했으나, 이후 꾸준한 인구 유출·감소를 겪어왔다. 지난해 12월 기준 여수시 인구는 27만 4765명으로, 15여년만에 16%의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글·사진=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사라지는 기계식 주차장…주차난 심화 우려

광주지역 일부 건물주들이 잇따라 기계식 주차장 철거를 신청하고 있어 주차난 심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건물주들이 건물 신축당시 기계식 주차장으로 주차면수를 확보해 놓고, 개정된

kwangju.co.kr

 

정부, 일제 강제동원 굴욕적 해법 강행하나

일제 강제동원 해법을 논의하기 위한 정부의 공개토론회가 오는 12일 예정되면서 이번 주가 일제강제동원 해법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사실상 이번 토론회를 마지막으로 강제동원 문제가 한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