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성천기자

하얼빈, 영웅 아닌 청년 안중근의 고뇌와 열정 - 김훈 지음

by 광주일보 2022. 8. 15.
728x90
반응형

“철도는 눈과 어둠 속으로 뻗어 있었다. 그 먼 끝에서 이토가 오고 있었다. 멀리서 반딧불처럼 깜박이는 작은 빛이 다가오고 있는 느낌이었다. 빛이라기보다는 거역할 수 없이 강렬한 끌림 같은 것이었다. 두 박자로 쿵쾅거리는 열차의 리듬에 실려서 그것은 다가오고 있었다. 문득 빌렘에게 영세를 받을 때 느꼈던 빛이 생각났다. 두 개의 빛이 동시에 떠올라서 안중근은 이토록 사진을 들여다보던 눈을 감았다.”(‘하얼빈’ 본문 중에서)

작가 김훈을 이야기할 때 언급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문장’이다. 그의 문장은 하나의 ‘스타일’이 된 지 오래다. ‘우리 시대의 최고 문장가’라는 상찬은 그의 글이 지닌 힘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김훈의 첫 장편소설 ‘칼의 노래’를 읽었던 독자라면 기존의 작가들과는 다른 작가의 문장이 주는 신선한 충격을 느꼈을 것이다. 작가는 장수로서의 이순신과 인간으로서의 이순신을 실존의 시각으로 그렸다. 묘사와 진술이 교묘하게 결합된 글은 많은 이들에게 ‘읽는 맛’을 선사했다. 이번에 작가 김훈이 안중근을 주제로 한 장편소설 ‘하얼빈’을 출간했다. 오는 15일 77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발간된 소설에 대해 작가는 ‘반드시 써야만 했던 일생의 과업’이라고 했다.

“안중근의 빛나는 청춘을 소설로 써보려는 것은 내 고단한 청춘의 소망이었다. 나는 밥벌이를 하는 틈틈이 자료와 기록들을 찾아보았고 이토 히로부미의 생애와 족적을 찾아서 일본의 여러 곳을 들여다보았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안중근은 조선의 주권을 침탈한 원흉인 이토를 사살한 독립운동가이자 의병장이다. 그의 애국적이며 드라마틱한 삶은 많은 기록으로, 콘텐츠로 제작되고, 활용됐다.

그러나 김훈은 독립운동가와 의병장이라는 대의적 이면에 가리워진 안중근의 삶에 초점을 맞춘다. 한 인간으로서의 안중근은 어떤 인물인지 그의 고뇌와 실존에 대해 탐색한다. 이 지점에서 작가의 하드보일드 문체는 빛을 발한다.

한마디로 서사는 역동적이다. 이토 히로부미로 상징되는 일제와 안중근으로 대변되는 청년기의 패기와 열망이 부딪힌다. 살인이라는 죄를 두고 한 인간의 대의와 윤리의 대립은 드라마틱하고 역동적이다. 나아가 천주교도로서의 신앙심과 속세의 인간으로서 지닐 수밖에 없는 나약함은 작가 특유의 문체와 결합해 강렬한 울림을 준다.

안중근이 이토를 쏘기로 결심하는 순간, 온몸을 흔드는 전율이 인다. 그는 일제의 조선 침탈을 넘어선 대륙으로의 진출 야심을 감지한다. 마침내 하얼빈을 향한 장도에 오르고 안중근은 함께 의병활동을 했던 우덕순을 만나 ‘거사’를 도모한다.

신념을 지키기 위한 청년들의 험난한 여정과 그럼에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열정과 담대함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의를 위한 희생, 그것은 가없는 슬픔과 안타까움을 넘어 순수한 빛으로 다가온다.

김훈은 말한다. “나는 안중근의 ‘대의’보다도, 실탄 일곱 발과 여비 백 루블을 지니고 블라디보스트에서 하얼빈으로 향하는 그의 가난과 청춘과 그의 살아 있는 몸에 관하여 말하려 했다”고.

<문학동네·1만6000원>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광주일보

광주광역시, 전남·전북 지역 신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등 분야별 호남권 소식 수록

kwangju.co.kr

 

 

[박성천 기자가 추천하는책] 연대의 밥상-이종건 지음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말이 있다. ‘구도심 개발로 원주민이 내쫓기는 현상’을 일컫는 의미다. 낙후된 도심에 새로운 주거지나 상가가 들어서면 원주민은 밀려나게 된다. 범박하게 말하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