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유출4

광주시, 2580억 투입 ‘청년이 머무는 도시’ 만든다 청년 유출 2년간 30% 증가…주택보급률 7% 불과, 고용률 최하위권 ‘4대 드림프로젝트’ 추진…맞춤형 인재 양성·주택공급 주거비 지원 광주시가 심각한 청년 유출 현상을 막기 위해 올해에만 2580억원의 청년지원 예산을 투입하는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의 청년 정책이 수도권 중심으로 편향돼 있는 데다, 광주의 청년 거주 여건 등도 매우 열악해 큰 효과를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일부 전문가들은 청년을 지역에 머물게 하기 위해선 일시적 단순 지원보다는 지방 대학 명문화 정책 및 무상교육 등 지원과 함께 비수도권 지역 중심의 청년 일자리 선순환 정책 강화, 파격적인 청년 주거 지원 등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 등을 제시하고 있다. 6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의 최.. 2024. 3. 6.
인프라 부족·우수 인력 떠나 … 산학 연계 시스템 강화를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줘도 교통·물류 ‘지방의 벽’ 못 넘어 기업도시 여건 먼저 갖춰야 사라지는 지방 막을 수 없나 광주·전남 기업 유치 어려움 수도권을 제외한 각 지역 광역·기초단체들이 앞다퉈 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자체들이 기업 유치를 통해 고용창출과 지역내 총생산 등 지역 경제지표를 크게 높일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도 기업유치를 위해 세제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주며 기업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지방의 벽’을 넘지 못하면서 좀처럼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외 대기업들이 사회기반시설이 미흡한 지방으로의 이전 계획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어서다. 특히 광주·전남의 경우 교통·물류 등.. 2023. 1. 31.
답 없는 ‘청년 붙잡기’…광주시·전남도 청년정책 확 바꾼다 고른 지원 안되고 각종 정책 간 연계성 미흡 중복되는 사업들 많아 청년층 순유출 지역 내 소비·생산효과 떨어뜨리고 총생산성 감소 광주시 청년 일자리 524억여원·전남도 농촌서 살아보기 등 확대 광주시와 전남도, 각 지자체들이 지역 청년들을 붙잡기 위해 각종 청년 정책을 쏟아내고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광주·전남지역의 청년층 인구 순유출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면서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는 청년정책을 재검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청년정책의 홍보 부족 등으로 수요자의 접근성이 떨어져 고르게 지원되지 못하고 있는 점과 각종 청년 정책 간 연계성이 미흡해 중복되는 사업들이 많아 정책에 대한 집중과 홍보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청년 유출은 무엇보다도 지역경제에.. 2023. 1. 17.
[2022년 균형발전 원년으로] 이대론 소멸…지방대학 살아야 지역 살리고 청년 유출 막아 [광주일보·광주전남연구원 공동기획] 광주·전남 청년 수도권 유출 심각…대학 진학·양질의 일자리가 원인 정부 수도권 대학 위주 지원 되풀이…‘지역 국립대 무상’ 대선공약도 나와 광주·전남의 청년 유출이 심각하다. 지역균형발전의 키를 쥐고 있는 청년들을 지역에 머물게 하기 위해선 지방대학 무상교육 등 파격지원과 함께 비수도권 지역 중심의 청년 일자리 선 순환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나온다. 11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광주의 최근 10년동안 전체 인구 중 청년인구(15~29세) 변화 비율은 2010년 22.27%에서 2020년 20.10%로 2.17%p 감소했다. 같은 기간 청년 인구수는 32만 3902명에서 29만 1413명으로 3만 2489명이 줄었다. 더 심각한 문제는 2010년 이후.. 2021. 8.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