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물4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보물됐다 다산 정약용 ‘만덕사지’ 편찬…불교·유교 교류 거점 18세기 이후 불전 건축의 장식화 특징을 잘 보여주는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이 보물이 됐다. 특히 백련사는 승려들이 다산 정약용(1762~1836)과 협업해 ‘만덕사지’를 편찬하는 등 불교와 유교의 교류 근거를 보여주는 의미있는 사찰이다. 문화재청은 고려 말 원묘국사 요세(1163~1245)의 결사처(불교의 혁신운동)로, 조선시대 많은 승려들이 수행했던 강진 백련사의 대웅보전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백련사의 주불전인 대웅보전은 공포의 형식과 초각 등 세부기법이 화려하며, 기둥 상부의 용머리와 천장 상부의 용머리 장식 등이 해학적이며 섬세한 게 특징이다. 1760년 화재 이후 1762년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단층 .. 2023. 6. 24.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보물 된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불상 양식을 지닌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삼불좌상)이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1657년 동화사 대웅전에 봉안된 삼불상인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3일 밝혔다. 삼불좌상은 17세기 중엽 대표적인 수조각승인 계찬을 비롯해 인계, 영언 등 7명의 조각승들이 작업에 참여했다. 계찬은 응혜와 승일 등 당대 조각승으로부터 기술을 배웠으며 이 작품은 계찬이 수조각승으로 참여한 유일한 사례다. 특히 세 불상의 복장에서 조성발원문이 발견돼 조성연대와 제작자 등을 알 수 있다. 불상 제작과 관련된 시주물목 외에도 협업과 분업 등 공정이 기록돼 있어 학술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다. 삼불좌상은 직사각형 평면을 가진 탁자(卓子) 형태의 수미단 위.. 2023. 5. 6.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보물 된다 문화재청, 지정 예고…불교 혁신운동 거점·관련 기록 풍부 18세기 불전 건축의 장식화 경향을 보여주는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특히 18세기 건축적 특징과 기록이 풍부하고 역사적 의미도 깃들어 있어 보물로서 가치가 크다는 평가다. 또한 백련사 승려들이 다산 정약용(1762~1836)과 협업해 ‘만덕사지’를 편찬하는 등 불교와 유교의 교류를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문화재청은 고려 말 원묘국사 요세(1163~1245)의 결사처이자 조선시대 많은 승려들이 수행했던 강진 백련사의 대웅보전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7일 밝혔다. 주불전인 대웅보전은 공포의 형식과 초각 등 세부기법이 화려하다. 기둥 상부의 용머리 조각과 천장 상부의 용머리 장식 .. 2023. 4. 29.
‘새 보물 납시었네-新국보보물전 2017~2019’ [역대 최대 국보·보물전] 국내 전시회 사상 국보와 보물이 최대 규모로 출품되는 전시회가 열린다. 특히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지정된 국보와 보물(157건) 중 이동이 어려운 건축 문화재와 중량이 무거운 문화재를 제외한 83건 196점이 공개된다. 문화재청은 국립중앙박물관과 함께 ‘새 보물 납시었네-新국보보물전 2017~2019’를 21일부터 오는 9월 27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코로나로 지친 이들에게 선현들의 지혜가 담긴 문화재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전시는 3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1부 ‘역사를 지키다’에서는 기록 유산을 소개한다. ‘삼국사기’(국보 제322-1호)와 ‘삼국유사’(국보 제306-3호),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 등이.. 2020. 7.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