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균형4

대규모 지역 프로젝트 발굴 성장 거점으로 지역 쇄신 노력 필요 인구가 급감하고 소득이 낮은 지역에 대해 국가 재정과 정부부처의 신규 정책을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소외·낙후지역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진정한 국가균형발전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1970~2000년까지는 경제 성장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수도권과 영남권에, 2000년대 들어서면서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을 해소하기 위해 충청권에 국가 재정 및 정책을 집중한 바 있다. 이로 인해 호남권만 개발과 발전에서 소외돼 낙후의 대명사가 됐다. 그러나 이에 대한 시정 없이 문재인 정부·더불어 민주당은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중심으로 한 국가균형발전에 나서고 있어 광주·전남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소외·낙후를 벗어날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해 5조원 이상의 국비가 투입되는 대규모 .. 2020. 10. 14.
뿌리깊은 차별·불균형 … 정치력 키워 바로잡자 지역 정치권 힘 모아야 광주·전남이 더 이상 낙후되지 않고, 그동안의 지역 간 불균형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지역 정치권의 분발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의 각종 정책 수립과 지역 현안사업의 국비 예산 지원은 정치적인 변수가 크게 작용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광주·전남은 과거 군부독재 시절과 보수정권에서 각종 국가 정책과 예산 등에서 소외와 차별을 받아왔다. 80년 5·18 민주화운동을 기점으로, 사실상 군부독재와 보수정권에 반대하는 야당 지지 기반이 되면서 차별은 더욱 심화됐다. 이 때문에 도로 뿐만 아니라 철도, 항만 등의 사회간접자본시설(SOC)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뒤떨어지는 등 지역간 불균형 격차는 커졌다. 호남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에 비해 26년이나 늦게.. 2020. 10. 13.
낙후·소외·차별 지역 없어야 어디서나 지속가능한 삶 가능 인구 감소지역 지원 정부가 지금까지 다양한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했지만, 낙후지역순위는 지난 20년간 변함없이 간격만 커졌다. 지난 2001년 지역낙후도가 가장 심한 지역은 전남, 전북, 강원 순이었으며, 2011년에도 결과는 같았다. 지난 2019년 8월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균형위)가 개발해 발표한 균형발전지표에서도 이들 지역은 같은 순위였다. 이 지표는 지자체의 1975~2015년 40년간 연평균 인구 증감률과 2015~17년 3년간 평균 재정자립도(핵심지표)를 기준 삼아 마련한 것이다. 인구(인구증가율, 노령화지수), 경제(재정자립도, 제조업종사자비율, 승용차등록대수), 기반시설(도로율, 의사수, 도시적 토지이용률) 등을 근거로 한 낙후지수에서도, 핵심지표를 바꾼 균형발전지표에서도 전남.. 2020. 8. 6.
호남 등 낙후지역 ‘차등 맞춤형 분권’ 정책 펼쳐야 [광주일보·광주전남연구원 공동기획] 인구·자본의 극한 수도권 집중 속에 논의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로의 국가 주요 기능 이전, 공공기관 이전 시즌 2 등이 호남권에 대한 새로운 낙후·소외·차별 정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정부가 표면적으로는 국가균형발전이라고 하지만 수도권과 인접한 지역(충청권)을 ‘수도권화’시키고, 이미 성장 경쟁력을 지닌 지역(영남권)과 호남권을 동일선상에 두고 절대적인 기준을 적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광주일보와 광주전남연구원은 진정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방안을 다섯 차례에 걸쳐 제시하고자 한다. 진정한 국가 재정 분배 해방 이후 수도권과 영남권으로 대표되는 ‘경부 라인’ 중심의 국가 주도 경제 성장 정책에서 소외된 호남은 인구·자본 유출이 가장 .. 2020. 8.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