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영·진시영·조근호·김재현·최재영, 디자인 업체와 협업
스카프·휴대폰 케이스 등 제작…지난해 제작 5·18 향수도 눈길
화사한 나팔꽃과 종이비행기가 어우러진 정해영 작가의 작품 ‘유희 자연-희망’은 멋들어진 스카프로 거듭났다. 도회적 느낌이 물씬 풍기는 조근호 작가의 ‘도시의 창’ 시리즈는 휴대폰 케이스와 마그네틱으로 제작됐다. 구름과 집 등으로 구성된 3종세트는 상품 케이스와 잘 어우러져 마치 액자에 담긴 ‘작품처럼’ 보이는 게 특징이다.
지역 예술가들의 작품이 캔버스를 벗어나 다양한 아트상품으로 옷을 갈아 입었다. 예술의 거리에 작업실을 두고 있는 작가들과 지역 디자인 회사가 콜라보한 작품들이다.
광주시 동구 궁동 미로센터가 2019 광주동구문화적도시재생사업 일환으로 진행한 이번 기획은 센터측에서 디자인 전문회사를 먼저 정하고 이후 작가가 결합, 함께 협의 과정을 통해 제품을 개발했다.
이번 기획에는 DNA 디자인, 디자인 창작소 사월, (주)유니버셜트렌드센터가 함께했다. 참여작가는 정해영·진시영·조근호·김재현·최재영 등 모두 5명으로 휴대폰 케이스를 공통 제작했고, 각 작가의 작품 이미지에 맞는 아트상품 5점을 각각 선보였다.
디자인창작소 사월과 작업한 최재영 작가의 작품 ‘패스티벌’은 예쁜 용기가 돋보이는 향초(틴케이스 소이캔들)로 제작됐다. 화사한 꽃을 머리에 인 아이들의 모습이 인상적인 작품으로 같은 시리즈로 휴대폰 케이스도 제작했다.
(주)유니버셜트렌드 센터와 작업한 진시영 작가는 인간이 하나의 빛이라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영상, 사진, 회화 등 다양한 작품으로 제작중인 대표작 ‘Flow’로 상품을 제작했다. 검은 바탕에 빛의 파동을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담은 파우치다. 김재현 작가의 스카프는 봄날의 싱그런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산뜻한 녹색 화폭에 화사한 꽃들이 배치된 ‘가을에 앉아’를 모티브로 했다.
개발된 작품은 지난달 미로센터 2층에 자리한, 예술가와 디자인 업체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아트상품을 공유하는 공간 ‘아트웍스 쇼룸’에서 전시회를 가졌다. 이번 사업은 작가들의 문화활동을 촉진하고, 광주를 대표하는 아트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됐다.미로센터는 앞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 등 외부 공모를 통해 다른 작가들과 아트상품 작업도 진행할 계획이며 이번에 제작된 아트상품을 비롯해 광주 지역에서 제작된 아트상품, 관광상품 등도 상설 전시할 생각이다.
한편 미로센터는 지난해 개관 기념 전시로 준비한 ‘큐레이티드 광주’에서 소개돼 좋은 반응을 얻었던 ‘향수’ 개발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조향사이자 컨셉디자이너,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중인 정희경씨가 개발한 ‘광주의 향’(The Scent of Gwangju)은 민주(평화) , 창조(문화예술), 무등산, 빛(라이팅)을 상징하는 향으로 향수를 제작해 관심을 모았다. 특히 5·18 향수는 최루탄, 국화향기 등 당시 이미지를 현대적인 향으로 완성했다.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한 조근호 작가는 “서울 지역은 디자인업체와 작가들이 다양한 콜라보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우리 지역은 그럴 기회가 없어 아쉬웠는데 이번에 상품도 만족스럽게 나와 의미있는 작업이었다”며 “앞으로 판매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
영화 ‘페인티드 버드’ ‘주디’ ‘모리의 정원’ 개봉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주연상 수상작, 제76회 베니스영화제 경쟁작 등 이번주 극장가에 개봉하는 신작들이 눈길을 끈다.‘페인티드 버드(The Painted Bird)’는 26일 광주극장에서 개봉한다. 혐오와 적대가 넘쳐나던 세계 2차대전 시기, 동유럽 유대인 소년의 수난기를 담아낸 작품이다. 폴란드 출신의 작가 저지 코진스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바츨라프 마르호울 감독이 제작, 각본, 연출을 맡았다.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최초 공개 후 “기념비적인 작품”
kwangju.co.kr
코로나에 지친 마음 문화유산 영상으로 힐링
화면이 펼쳐지면 가장 먼저 새소리가 들린다. 새소리는 시종일관 영상이 끝날 때까지 지속된다. 새소리는 맑고 청아하다. 자연에서 듣는 소리 못지않게 생생하다. 비록 가상의 영상을 매개로 하지만, 새소리는 자연의 원음 못지않다. 담양 소쇄원. 실감형 콘텐트로 구현된 공간임에도 대나무는 곧고 푸르다. 도열하듯 길을 따라 이어진 대나무 군락에선 선비의 굳은 절의가 느껴진다. 제월당 아래로 흐르는 계곡의 물은 마음의 때마저 씻어준다. 제월당에는 양산보의 사돈 김인
kwangju.co.kr
'김미은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 한달 전남도립미술관장 왜 발표 안하나 (0) | 2020.04.01 |
---|---|
부치지 못한 오월편지 읽어드립니다 (0) | 2020.03.30 |
“음식과 5·18 접목한 전시 준비중이죠” (0) | 2020.03.23 |
아쉬웠던 문화생활 매일매일 온라인으로 즐긴다 (0) | 2020.03.18 |
“나의 ‘소박한 그림’은 행복했던 양림동 유년시절” (0) | 2020.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