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혁신적인 지역 맞춤형 교육 정책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미래를 개척해 소멸 위기를 극복하자는 취지로 6개 시·군, 교육청, 11개 대학과 손을 맞잡았다.
전남도는 1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전남도교육청, 6개 시·군, 11개 대학과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 및 전남 교육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공공기관 등이 교육공동체로 뭉쳐 교육혁신과 인재 양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면서 지역 발전을 이끌어나가기 위한 것으로, 지역 스스로 주민들이 요구하는 교육정책을 마련해 유아부터 초·중등, 대학까지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전남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지역사회의 이해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협약에는 목포·나주시와 강진·영암·무안·신안군 등 6개 시·군과 한국에너지공대, 목포·목포해양대, 동신대, 한국폴리텍대 전남캠퍼스, 동아보건대, 목포가톨릭대, 목포과학대, 세한대, 초당대 등 11개 대학이 참여했다.
이들은 협약을 통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한 ▲교육 발전전략 수립 ▲지역인재 양성시스템 구축 ▲공교육 분야 지원 확대 ▲지역균형 발전 및 지역 정주 여건 개선방안 등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전남도는 시·군별 특색이 반영된 ‘전남형 교육발전 모델’을 개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오는 9일까지 1차 공모를 통해 3월께 시범지역을 지정할 예정으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 지자체는 3년 간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특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 개혁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전국자치단체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돌봄부터 교육, 취업, 정주 여건 등을 연계해 지역 인재들이 지역에서 교육을 받고 지역에 정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꼼꼼하게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스쿨존 불법주정차 전면금지 2년…광주서 8만건 적발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내 불법 주·정차 전면금지 이후 단속 시작(2022년 2월 1일) 2년만에 광주지역에서 총 8만 건 넘게 적발됐다.매일 110대 넘는 차량이 광주지역 스쿨존에서 적발됐고 단속시
kwangju.co.kr
광주·전남 현역의원 재지지 여부 여론조사 논란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이하 공관위)가 4·10 총선 후보자 선출을 위한 경선을 앞두고 광주·전남지역 현역 의원만을 대상으로 한 ‘재지지 여부와 교체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를 진행하
kwangju.co.kr
'김지을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띄어쓰기 챌린지’로 100만 조회수 돌파한 시골 도의원 화제 (1) | 2024.02.05 |
---|---|
설 명절 앞두고 전남 21개 시·군 임도 한시 개방 (1) | 2024.02.02 |
귀성객 대이동하는 설 명절 코앞인데...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초비상 (0) | 2024.01.29 |
전남에 국립의대 설립, 총선 앞 전국 이슈 되나 (3) | 2024.01.25 |
깜깜이 선거구 속타는 후보들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