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남도, 자립준비청년 첫 실태조사]
10명 중 3명, 1천만원 이상 빚…“경제문제 극단적 선택 생각·시도 경험”
친구 집·고시원·PC방 등 옮겨 다녀…가장 필요한 서비스는 자립정착금
열여덟살에 홀로 세상에 던져진 전남지역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10명 중 3명은 경제적 문제로 자살을 생각하거나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남 자립준비청년 10명 중 3명은 안정된 주거가 없어 친구 집이나 고시원, PC방·만화방, 여관·모텔 등을 옮겨 다니는 생활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에게는 정부가 지원해주는 주거지원통합서비스가 절실하지만 10명 중 8명은 서비스가 있는지 조차 모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남도가 최근 내놓은 전남지역 자립준비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자립준비청년 실태조사’ 결과〈관련기사 광주일보 2022년 12월 6일 1면〉이다. 이 결과는 전남지역 자립준비청년들 현황에 대한 최초의 실태조사이다. 전남도는 전남 아동복지시설(보육원 등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을 퇴소(5년 이내)한 1000여명에 달하는 자립준비청년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응답한 309명에 대해 생활 실태를 조사했다.
실태조사결과, 응답자의 15.9%의 자립준비청년들은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고, 이들 중 18.4%는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극단적 선택을 하게 된 주요 원인으로는 경제적 문제(31.9%)를 가장 많이 꼽았다.
10명 중 4명 꼴인 38.4%가 정부 지원이 이뤄지는 임대주택·자립지원시설에 살고 있지만 응답자의 8.9%는 기숙사, 고시원·모텔, 친구집 등에 머무르는 등 주거가 불안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31.4%의 자립준비청년들은 친구 집, 고시원, PC방·만화방, 여관·모텔 등 취약한 환경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임에도, 정부가 이들에 대해 제공하는 매입임대·전세임대 등 주거지원통합서비스를 모르는 경우도 많았다. 응답자의 84.7%(205명)는 ‘서비스 정보를 몰라서’ 이용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정책이 필요한 실소유자들에게 홍보가 되지 않아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보육원 등에서 나올 때 받는 자립지원금(500만원)으로 집을 구하고 생활비를 충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자립준비청년들의 실정을 감안한 지원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학업을 중단하는 경우도 여전했다.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거나 고등학교·대학교를 휴학·중퇴한 자립 청년들의 43.6%는 ‘경제 사정’을 중도 포기 사유로 꼽았다.
보육시설 퇴소 5년 이내의 자립준비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임에도, 33%의 응답자가 1000만원 이상의 빚을 지고 있다고 답했고 생활비를 마련(49.1%)하기 위해 빚을 졌다고 응답했다.
자신이 생활했던 양육시설 또는 위탁부모에게 연락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3.3%에 달한 반면, 자립서비스 지원 제공(17.8%), 자립생활의 어려움 상담(11.7%) 등으로 연락하는 경우도 많아 자립하는 데 의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어렵고 힘들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은 친구·선후배가 응답자의 63.1%로 가장 높았지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이 8.1%에 달한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적·공적 모임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응답(71.2%)도 많아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도 요청되고 있다.
가장 도움이 되는 자립지원서비스로는 자립정착금(1위)→자립수당(2위)→디딤씨앗통장(3위)→임대주택(4위)→등록·장학금(5위)→문화 지원 등의 순이었다. 접근하기 어려운 법률지원, 쓸 수 있는 곳이 한정된 문화지원, 까다로운 조건으로 제한적 혜택을 받는 청년내일채움공제 등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서비스로 꼽혔다.
이 때문인지 이들은 자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방안으로 경제적 지원(78%)을 1순위로 지목했고 주거지원(51.6%), 건강지원(26.2%) 등을 선택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전남지역 자립준비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실태조사인 만큼 실질적 도움을 주는 정책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남지역 아동복지시설의 16세 이상 보호아동 수는 2021년 기준 1064명에 달해, 전국에서 경기(1555명) 다음으로 많고 전남에서는 2021년 한 해 동안 222명이 발생했다. 전남자립지원전담기관은 또 18세가 되면서 보호가 종료돼 시설을 나와 자립한 청년 중 행정 시스템과 관계가 끊긴 136명과의 연락체계를 복원하고 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또 전남 자립준비청년 10명 중 3명은 안정된 주거가 없어 친구 집이나 고시원, PC방·만화방, 여관·모텔 등을 옮겨 다니는 생활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에게는 정부가 지원해주는 주거지원통합서비스가 절실하지만 10명 중 8명은 서비스가 있는지 조차 모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남도가 최근 내놓은 전남지역 자립준비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자립준비청년 실태조사’ 결과〈관련기사 광주일보 2022년 12월 6일 1면〉이다. 이 결과는 전남지역 자립준비청년들 현황에 대한 최초의 실태조사이다. 전남도는 전남 아동복지시설(보육원 등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을 퇴소(5년 이내)한 1000여명에 달하는 자립준비청년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응답한 309명에 대해 생활 실태를 조사했다.
실태조사결과, 응답자의 15.9%의 자립준비청년들은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고, 이들 중 18.4%는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극단적 선택을 하게 된 주요 원인으로는 경제적 문제(31.9%)를 가장 많이 꼽았다.
10명 중 4명 꼴인 38.4%가 정부 지원이 이뤄지는 임대주택·자립지원시설에 살고 있지만 응답자의 8.9%는 기숙사, 고시원·모텔, 친구집 등에 머무르는 등 주거가 불안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31.4%의 자립준비청년들은 친구 집, 고시원, PC방·만화방, 여관·모텔 등 취약한 환경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임에도, 정부가 이들에 대해 제공하는 매입임대·전세임대 등 주거지원통합서비스를 모르는 경우도 많았다. 응답자의 84.7%(205명)는 ‘서비스 정보를 몰라서’ 이용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정책이 필요한 실소유자들에게 홍보가 되지 않아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보육원 등에서 나올 때 받는 자립지원금(500만원)으로 집을 구하고 생활비를 충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자립준비청년들의 실정을 감안한 지원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학업을 중단하는 경우도 여전했다.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거나 고등학교·대학교를 휴학·중퇴한 자립 청년들의 43.6%는 ‘경제 사정’을 중도 포기 사유로 꼽았다.
보육시설 퇴소 5년 이내의 자립준비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임에도, 33%의 응답자가 1000만원 이상의 빚을 지고 있다고 답했고 생활비를 마련(49.1%)하기 위해 빚을 졌다고 응답했다.
자신이 생활했던 양육시설 또는 위탁부모에게 연락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3.3%에 달한 반면, 자립서비스 지원 제공(17.8%), 자립생활의 어려움 상담(11.7%) 등으로 연락하는 경우도 많아 자립하는 데 의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어렵고 힘들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은 친구·선후배가 응답자의 63.1%로 가장 높았지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이 8.1%에 달한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적·공적 모임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응답(71.2%)도 많아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도 요청되고 있다.
가장 도움이 되는 자립지원서비스로는 자립정착금(1위)→자립수당(2위)→디딤씨앗통장(3위)→임대주택(4위)→등록·장학금(5위)→문화 지원 등의 순이었다. 접근하기 어려운 법률지원, 쓸 수 있는 곳이 한정된 문화지원, 까다로운 조건으로 제한적 혜택을 받는 청년내일채움공제 등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서비스로 꼽혔다.
이 때문인지 이들은 자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방안으로 경제적 지원(78%)을 1순위로 지목했고 주거지원(51.6%), 건강지원(26.2%) 등을 선택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전남지역 자립준비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실태조사인 만큼 실질적 도움을 주는 정책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남지역 아동복지시설의 16세 이상 보호아동 수는 2021년 기준 1064명에 달해, 전국에서 경기(1555명) 다음으로 많고 전남에서는 2021년 한 해 동안 222명이 발생했다. 전남자립지원전담기관은 또 18세가 되면서 보호가 종료돼 시설을 나와 자립한 청년 중 행정 시스템과 관계가 끊긴 136명과의 연락체계를 복원하고 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728x90
반응형
'김지을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방부 “군 공항 지역경제 보탬” … 군민들 “반대” 피켓팅 (0) | 2023.02.08 |
---|---|
흑산공항 건설 본궤도 오른다…건설 예정지 국립공원구역 해제 (0) | 2023.02.01 |
소멸위기 지자체 ‘제2의 예산’…고향사랑기부금 쟁탈전 (1) | 2023.01.21 |
‘남도장터’ 지자체 쇼핑몰 매출 1위 (0) | 2023.01.19 |
‘노후 원전’ 한빛 1·2호기 위험한 수명 연장 (0)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