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희준기자

“물가 상승률 5% 안팎…오름세 둔화할 것”

by 광주일보 2022. 12. 21.
728x90
반응형

한은 물가점검…“국내외 불확실성 높아”
유가·환율·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 변수
전남·광주 10년간 물가 상승률 8~9위

<한은 제공>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가 당분간 5% 내외 상승률을 이어가겠지만 오름세는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0년 동안 소비자물가 평균 상승률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전남과 광주가 나란히 8~9위를 나타냈다.

이 같은 내용은 한은이 20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와 ‘지역별 자료를 이용한 필립스곡선의 추정’(BOK 이슈노트) 보고서에 담겼다.

한은은 “향후 물가 경로 상에는 유가와 환율 흐름,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 정도, 국내외 경기둔화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대국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6월과 12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올해 1∼11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상승하면서 물가안정목표(2%)를 크게 웃돌았다.

연간 기준으로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4.7%)을 넘어 1998년(7.5%) 이후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7∼11월)만 놓고 봐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7%로, 1998년 하반기(6.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올해 들어 11월까지 지역 소비자물가 누계 상승률도 광주 5.1%·전남 5.7%로,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한은 제공>

한은은 향후 물가여건과 관련해 유가의 경우 최근 세계 경기둔화로 하방압력이 커졌지만, 대러 제재,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의 대규모 감산 등 공급자 측 불안요인도 상존해있다고 진단했다.

곡물 등 국제 식량 가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곡물 수출 협정 연장 등의 하방 요인과 이상 기후, 경작비용 상승 등 상방 요인이 혼재해 있다고 평가했다.

수요 측면에서는 글로벌 통화 긴축에 따른 국내외 성장세 둔화 영향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약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유류세 인하 폭 단계적 축소, 전기·가스요금 인상 정도 등 정부 정책은 향후 물가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수요자 측 물가압력 약화 등으로 점차 둔화하겠지만, 개인 서비스물가의 하방 경직성, 일부 품목의 수급차질 해소 지연 등이 둔화 폭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5% 내외 상승률을 이어가겠지만, 석유류 가격 오름폭이 축소되고 국내외 경기 둔화압력이 커지면서 오름세가 점차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둔화 속도와 관련해서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고, 단기적으로는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상방 압력과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하방 압력이 상당 부분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한은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상반기 중 지역별 소비자물가 평균 상승률을 산출해보니 전남 1.38%, 광주 1.35% 등으로 각각 전국에서 8번째, 9번째를 차지했다.

물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1.54%를 기록한 제주와 대구였다. 대전은 1.19%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배기원 한은 조사역은 “최근 10년간 지역별 빈 일자리율을 보면 전남이 0.77%로 가장 낮았고, 광주는 1.17%로 대구(1.54%)에 이어 7대 특·광역시 중 두 번째로 높았다”며 “통상 실업률과 반비례한 빈 일자리율이 1%포인트 높아질 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56%포인트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기온 ‘뚝’…상추·애호박·오이값 ‘쑥’

쌀쌀한 날씨와 연말 수요 증가 영향으로 상추와 애호박, 오이 가격이 2주 사이 ‘두 자릿수’ 올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지난 19일 기준 광주 양동시장에서 팔린

kwangju.co.kr

 

나주 혁신도시 학생 2년 새 900명 증가…교육·편의시설 조성은 더뎌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나주 빛가람혁신도시)가 성장하면서 유아·청소년이 2년 새 900명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교생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지만 어린이집과 유치원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