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병호기자

광주·전남 소아외과 교수 단 1명…의료 공백 우려 크다

by 광주일보 2022. 8. 16.
728x90
반응형

광주 맹장염 3세아 대전 원정으로 본 지역 의료 실태
높은 근무강도·낮은 수입에 비인기 과목 기피…피부과·성형외과 쏠림
30분 걸리는 쌍꺼풀 수술과 5시간 걸리는 뇌동맥류 수술 의료수가 같아
대형병원도 외과계 의사 부족…의료수가 조정 등 근본 대책 마련 시급

/클립아트코리아

소아·청소년 외과 수술을 맡는 ‘소아외과’ 담당 교수가 광주·전남에 단 한 명뿐인 것으로 파악됐다.

맹장염 수술이 필요한 세 살배기 남아가 광주에선 수술을 맡을 의사를 구하지 못해 200㎞ 떨어진 대전 충남대병원으로까지 ‘원정’<광주일보 2022년 8월 16일 6면>을 떠난 데는, 대학병원 등 소위 대형병원에조차 필수 의료인력이 부족하다는 구조적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환자 생명과 건강에 직결되는 필수분야 의사가 아예 없거나 한 자릿수에 불과한 것은 소아외과 뿐 아니라 흉부외과, 산부인과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16일 광주일보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문의 상세정보를 확인한 결과, 전대병원에는 모두 278명의 전문의가 있는데, 이 가운데 비인기 진료과로 알려진 흉부외과 전문의는 5명(1.7%), 산부인과 9명(3.2%), 외과 21명(7.5%)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소아청소년 외과 수술을 맡는 전문의는 담당과 교수 단 한 명에 불과하다는 것이 전대병원 측 설명이다. 해당 교수가 자리를 비우면 전대병원에서 소아외과 수술은 어려워지는 것이다. 또한 흉부외과 등 일부 진료과의 경우 주·야간 당직을 서며 환자를 보려면 의사가 5명은 최소 있어야 하는데, 휴가 및 학회 참석 등을 이유로 병원을 비울 때 곧바로 ‘진료 공백’이 빚어지는 셈이다.

조선대 병원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이 병원에는 모두 168명의 전문의가 있는데 흉부외과는 3명(1.7%), 산부인과 5명(2.9%), 외과 11명(6.5%)에 그친다. 광주기독병원도 흉부외과 전문의 1명, 산부인과 2명, 외과 6명을 보유하는 데 그치고 있다. 지역에서 내로라하는 대형병원조차 소아외과 수술을 맡을 의사가 없고, 나머지 주요 과에서도 결원이나 휴가자가 나오면 환자 대응은 어려워지는 구조다.

조선대병원과 광주기독병원 측은 “우리 병원에도 몇 년 전까진 소아외과 의사가 있었는데 이직 또는 퇴직한 이후 충원되지 않고 있다”며 “현재 광주·전남 전체에서 소아외과 전문의는 전대병원에 딱 한 명 남아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촌각을 다투는 응급환자를 돌보는 소아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 기피 과목에 의사가 없거나 크게 부족하다는 것은 사실 해묵은 문제로 꼽혀왔지만, 이처럼 사회적 이목이 쏠리는 사건이 발생하지 않고선 공론화되지 않고 있다.

의료계에선 “노동강도는 센 데 수입은 낮기 때문”이라며 의료수가 조정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업무 강도는 센데 수입이 적다 보니 지역 대형병원조차 흉부외과 등에선 매년 전공의(인턴·레지던트) 선발 과정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사례가 이어졌다. 전남대병원조차 올 2월 보도자료를 내고 “채용시스템 혁신으로 비인기과를 포함해 인턴 정원을 모두 채웠다(91명 모집에 96명 지원). 10여 년 만의 일이다”는 입장을 낼 정도였다.

반면 상대적으로 수입이 많다고 평가되는 과목인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전공의 모집에는 의과대학생들이 앞다퉈 지원서를 내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 초 진행된 전공의 모집에서 피부과(지원율 163.8%), 안과(176.8%), 성형외과(171.8%) 등은 정원보다 많은 지원자가 몰려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여제형 광주의사회 공보이사는 “일각에선 의대 정원 증원만 언급하지만, 근본 처방 없이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외과 분야에서 특히 소아외과, 흉부외과, 뇌혈관외과, 분만 분야 등 의사들이 근무하기 꺼리는 ‘기피과’ 현상에 대응해 수가 조정 등 근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의료계에선 “30분 걸리는 쌍꺼풀 수술과 5시간 걸리는 뇌동맥류 수술 수가가 사실상 같은 수준이다. 의료 사고 등 분쟁 위험까지 고려하면 누가 기피 과에 지원하겠느냐”는 하소연도 이어진다.

김윤하 전남대 산부인과 교수도 “전공의 과정을 선택할 때부터 개원 이후 수입 구조까지 고려해 결정하는 추세”라며 “특히 광주·전남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전공의 때부터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라는 점에서 정부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대한의사협회 역시 최근 ‘아산병원 간호사 사망 사건’을 계기로 발표한 입장문에서 ▲필수 의료 인력 수련비용의 국가 보장 ▲신경외과 전공의 우선 배정 등 중증 진료 분야 인력 확보 ▲필수 의료분야 진료 수가 현실화 ▲지역 필수의료 육성 등을 정부·여당에 요구한 바 있다.

지역시민사회와 지역 정치권에선 ▲광주의료원 조기 신설 ▲의사 정원 확대 및 전남권 의대 신설 ▲특정과, 특정 지역 복무를 조건으로 한 지역의사제 도입 등을 지역별 의료 격차 해소 및 의료 공백 해소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일보

광주광역시, 전남·전북 지역 신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등 분야별 호남권 소식 수록

kwangju.co.kr

 

 

수술 급한 광주 맹장염 3세아 ‘병원 찾아 삼만리’

맹장염 수술이 필요한 세 살배기 남자아이가 광주에서 수술을 맡을 병원을 구하지 못하고 약 200㎞ 떨어진 대전지역 대학병원으로 이송돼 수술을 받았다. 또한 영광지역 사업장에서 작업 중 손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