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효인칼럼6

[서효인의 ‘소설처럼]살아야 한다 -현호정, ‘단명소녀 투쟁기’ 습작기의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설픈 결말은 주인공의 ‘죽음’이다. 고전이라 일컬어지는 많은 작품에서의 죽음은 논외로 하자.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장대하고 기구한 서사를, 이제 소설을 쓰기 시작한 이가 따라잡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니 탄생에서 죽음까지의 방대한 이야기를 풀어놓기보다는 역시 삶의 어느 순간을 포착해, 거기에서 생애 전반의 의미를 비추어 보는 것이 좋은 소설의 요령일지도 모르겠다. 좋은 소설에서 주인공은 쉽사리 죽지 않는다. 바꿔 말해 소설가는 주인공을 쉽게 죽이지 않는다. 주인공은 어떻게든 살아 내려 한다. 어떻게든 살고자 한다. 주로 이 ‘어떻게든’이 소설의 결정적 장면이 된다. 우리가 삶을 그렇게 살고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든 살아 내려는 삶에서 죽음은 일종의 회피다. 좋은.. 2021. 8. 16.
[서효인의 소설처럼]펭귄은 펭귄으로, 곰은 곰으로-루리의 소설 ‘긴긴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우리나라 전역에는 꽤 많은 곰이 살고 있다. 대부분 반달가슴곰으로 1981년 재수출 및 약재 사용 등의 목적으로 동남아 등지에서 수입된 곰의 개체가 400마리 가깝게 남아 있는 것이다. 한때 곰 쓸개가 몸에 좋다고 하여 찾는 이가 많았다. 웅담을 만드는 과정은 상상 이상으로 잔혹하다. 곰이 느끼는 고통 또한 그러할 것이다. 다행히 웅담을 대체할 수 있는 신약이 개발되면서 수요가 급격히 줄었다고 한다. 그간 발전한 동물 보호에 대한 인식도 한몫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 남은 곰들은 사육 농가에서 남은 생이 다하길 기다리는 처지가 되었다. 정책적으로 중성화가 되었다고 하지만, 불법 증식되는 경우도 허다하여 우리를 탈출한 어린 곰에 대한 소식도 종종 듣게 된다. 최근 경기.. 2021. 7. 18.
728x90
반응형